•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韓․中․日 港灣別 컨테이너 流通現況

第2章 高速船 開發 現況과 海上 및 航空貨物 運送現況

第3節 韓國과 中國․日本 海上貨物 運送現況

3. 韓․中․日 港灣別 컨테이너 流通現況

국내에서 중국으로 수출된 화물은 Shanghai항이 전체 貨物量 569,122TEU 중 26.1%인 148,457TEU를 처리하여 가장 많은 物量을 處理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국내에서 일본으로 輸出된 貨物은 Tokyo항이 전체 貨物量 386,218TEU 중 21.9%인 84,523TEU를 처리하여 가장 많은 物量을 處理하였다. 중국의 港灣 中 上位 5개 港灣이 전체 貨物量의 71.8%를 처리하고 있으며, 이 중 Shanghai, Qingdao, Tianjin, Dalian 등 Ningbo 이북의 4개 항만이 전체의 2/3 이상인 67.1%를 처리하였고, 日本의 Tokyo, Osaka, Yokohama, Nagoya, Shimonoseki의 상위 5개 港灣은 전체 貨物量의 61.3%를 처리하였다.

2) 對中國 및 日本 換積 컨테이너貨物

<표 2-8>은 미주 및 구주 등을 기점으로 한 화물이 國內 港灣에서 換積된 후 중 국 및 일본으로 輸出되는 컨테이너 貨物의 處理量 및 比率에 대한 순위를 나타낸 다. 국내에서 중국으로 換積된 貨物은 Shanghai항이 전체 貨物量 187,793TEU 중 25.7%인 48,243TEU를 처리하여 가장 많은 物量을 처리하였으며, 일본으로 換積된 貨物은 Tomakomai항이 전체 貨物量 290,164TEU중 14.0%인 40,673TEU를 처리하여 가장 많은 物量을 處理한 것으로 나타났다. 中國의 港灣 중 Ningbo 이북의 상위 5개 港灣이 전체 貨物量의 64.2%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 며, 일본의 상위 5개 港灣은 전체 貨物量의 41.5%를 처리하였다.

<표 2-8> 對中國 및 日本 換積 컨테이너貨物

순위 중국 일본

항만 TEU % 항만 TEU %

1 Shanghai 48,243 25.7 Tomakomai 40,673 14.0

2 Dalian 23,849 12.7 Hakata 32,024 11.0

3 Qingdao 23,773 12.7 Niigata 18,729 6.5

4 Tianjin 23,082 12.3 Shimizu 15,562 5.4

5 Ningbo 9,838 5.2 Akita 13,223 4.6

6 Shenzhen 2,307 1.2 Hiroshima 10,672 3.7

7 Xiamen 2,185 1.2 Nagoya 10,210 3.5

8 Yantai 2,144 1.1 Tokyo 9,859 3.4

9 Lianyungang 1,630 0.9 Moji 9,828 3.4

10 NanJing 1,409 0.8 Yokohama 9,649 3.3

11 Zhangjiagang 1,023 0.5 Kobe 9,116 3.1

12 Fuzhou 752 0.4 Toyama 7,742 2.7

13 Nantong 526 0.3 Tokushima 6,849 2.4

14 Yingkou 288 0.2 Imari 6,721 2.3

15 Shantou 237 0.1 Hosojima 6,089 2.1

16 Zhuhai 137 0.1 Osaka 5,915 2.0

17 Taiping 99 0.1 Kanazawa 5,904 2.0

18 Zhongshan 20 0.0 Ishikari 5,669 2.0

19 Guangzhou 3 0.0 Hachinohe 5,064 1.7

20 Quanzhou 0 0.0 Yatsushiro 5,053 1.7

기 타 46,251 24.6 기 타 55,611 19.2

총 합 계 187,793 100.0 총 합 계 290,164 100.0

자료 :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중국 및 일본서안 컨테이너화물 유통실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 2002. 6.

3) 對中國과 日本 輸入 컨테이너貨物

<표 2-9>는 2000년도를 基準으로 중국 및 일본으로부터 우리나라로 輸入된 貨 物의 각 港灣別 貨物 處理量 및 比率에 대한 순위를 나타낸다.

<표 2-9> 對中國과 日本 輸入 컨테이너貨物

순위 중국 일본

항만 TEU % 항만 TEU %

1 Qingdao 103,970 26.4 Yokohama 48,004 16.4

2 Shanghai 79,677 20.3 Tokyo 37,082 12.6

3 Tianjin 54,358 13.8 Kobe 34,361 11.7

4 Dalian 41,905 10.7 Osaka 33,759 11.5

5 Xiamen 11,600 2.9 Nagoya 33,418 11.4

6 Lianyungang 8,243 2.1 Shimonoseki 18,492 6.3

7 Yantai 7,627 1.9 Moji 9,874 3.4

8 Ningbo 7,388 1.9 Hakata 6,988 2.4

9 Nantong 4,097 1.0 Yokkaichi 6,610 2.3

10 Shenzhen 3,698 0.9 Niigata 5,623 1.9

11 Zhangjiagang 3,633 0.9 Toyama 4,772 1.6

12 Nanjing 2,914 0.7 Shimizu 4,680 1.6

13 Yingkou 1,746 0.4 Tomakomai 4,619 1.6

14 Shantou 1,189 0.3 Tokuyama 4,465 1.5

15 Fuzhou 1,001 0.3 Naha 3,379 1.2

16 Zhuhai 66 0.0 Chiba 3,298 1.1

17 Zhongshan 14 0.0 Hiroshima 3,218 1.1

18 Guangzhou 0 0.0 Kanazawa 3,171 1.1

19 Quanzhou 0 0.0 Tsuruga 2,970 1.0

20 Taiping 0 0.0 Imabari 2,302 0.8

기 타 60,164 15.3 기 타 22,328 7.6

총 합 계 393,291 100.0 총 합 계 293,412 100.0

자료 :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중국 및 일본서안 컨테이너화물 유통실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 2002. 6.

중국으로부터 輸入된 貨物은 Qingdao항이 전체 貨物量 393,291TEU 중 26.4%인 103,970TEU를 처리하여 가장 많은 物量을 處理하였으며, 日本으로부 터 輸入된 貨物은 Yokohama항이 전체 貨物量 293,412TEU 중 16.4%인 48,004TEU를 처리하여 가장 많은 物量을 處理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港灣 중 상위 5개 港灣이 전체 貨物量의 71.2%를 처리하고 있으며, 이중 Ningbo 이북 의 Shanghai, Qingdao, Tianjin, Dalian 등 4개 港灣이 전체 71.2%를 처리하 였으며, 일본의 상위 5개 港灣은 전체 貨物量의 63.7%를 처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