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4章 高速 컨테이너선 運航 의 經濟性 分析
2. 經濟性 分析 의 모델
선박의 收益性은 연간 운송된 컨테이너의 數에 달려 있다. 일년간 몇 항차로 운항하느냐는 유지․보수 등의 정지시간을 감안한 항차당 運航日數에 달려있다. 따 라서 年間 航次數를 k로 정의하면,
k = (365일 - 항해중단시간) / 항차당 운항일수
32) Bendall, H. B. and Stent, A. F. (1999), "Longhaul feeder services in an era of changing technology: an Asia-Pacific perspective",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 26, No. 2, 145-159.
한 항차에 소요되는 시간은 航海距離, 선박의 速力, 항차당 寄港港灣 數 그리고 각 항구에서의 소요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각 선박의 속력은 각 船舶의 技術 과 相關關係에 있다. 항구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하역하는 컨테이너의 수와 각 항구 의 荷役生産性에 따라 달라진다. 本 硏究에서는 동일한 항만에 기항하는 모든 선박 의 荷役生産性은 모두 비슷하다고 가정하며, 기항항만의 시간당 컨테이너 처리개수 를 기준으로 하역작업 소요시간을 산출하였다.
항차당 기항 항만수를 p로 하면 pk는 연간 寄港 港灣 數가 된다. 유사하게 n을 항차당 평균 컨테이너 수송개수라고 하면 nk는 연간 컨테이너 수송개수가 된다.
컨테이너선사는 정해진 운항일정에 따라 규칙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損益分岐 點分析을 수행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선사의 해운원가를 固定費와 變動費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컨테이너선사의 海運費用에는 정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 요되는 선박운항 固定費用 요소가 있고 貨物運送에 따라 달라지는 可變費用 요소가 있다. c를 항차당 선박운항 總費用이라 하면,
c = f + nv ---(1)
여기서 f는 항차당 선박운항 固定費이고, v는 TEU당 變動費이다. 선박운항 固 定費에는 入港料, 接岸料, 導船料, 曳船料, 燃料費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 비용들은 서비스 규정과 관련되어 운항 일정이 변하거나 운항자가 서비스를 그만둘 때까지 고정되어 있다. 일부 선사들은 특정 컨테이너 터미널과 장기사용계약을 체결하여 고정된 터미널 사용료를 지불하고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TEU당 變動費에는 荷役 料, 컨테이너 賃貸料, 컨테이너 修理費, 컨테이너 再配置 費用 등이 있다.
항차당 運賃收入은 항차당 컨테이너 수송개수에 TEU당 平均運賃을 곱함으로 써 계산된다. 따라서
항차당 운임수입 = nR ---(2)
여기서 R은 TEU당 平均運賃이다.
각 항차당 발생하는 純運賃 收入 π는 (2)에서 (1)을 뺌으로서 얻어진다. 따라서
π = nR - ( f + nv )
E로 나타나는 이자와 세금공제 이전 年間 純利益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 다.
E = kπ - F
= k(nR - ( f + nv )) - F ---(3)
여기서 F는 연간 船舶資本費 및 船舶運航 固定費를 제외한 年間 固定費用이다.
즉, 船舶資本費用, 減價償却費, 船舶保險料, 船員費, 管理費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간 총 固定費用은 다음과 같다.
연간 총 고정비 = F + kf
컨테이너 선사들은 이익을 발생시키는 最小 有效積載量을 알아야 한다. 항차당 컨테이너의 수에 대한 損益分岐點 n*은 방정식 (3)을 0으로 하고 n을 풀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n* = ( F + kf ) / ( R - v )
이 모델은 많은 수의 변수와 이들 변수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運航收益과 비 용을 비교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모델은 특정 항로에서 사용함으로써 고속 피더선 운항의 經濟性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