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油類汚染損害賠償保障法 改正案

가 유배법 개정안의 개요.

현행 유배법은 유조선에 의한 油類汚染損害賠償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 다 그런데 선박연료유협약이. 2008년 11월 8일에 국제적으로 발효함에 따라 이 협약을 국내법에 수용할 필요가 있었고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이후 국제기금의 보상한도액을 초과하는 유류오염손해 배상 및 보상 등을 보 장하기 위해 2003년 추가기금협약의 가입에 대비한 法制整備도 필요하게 되 었다 또한 현행 유배법 대상이 아닌. 油類貯藏艀船의 유류오염사고에 대비하 기 위한 제도적 보완도 요청되었다 이에 따라 유배법 개정안은. 船舶燃料油協 및 2003년 추가기금협약의 국내수용을 위한 규정과 고정용 유조부선의 보 約

장계약 의무화 등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면서 유배법의 체계도 전면적으로 개 편하였다.

나 유배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

유배법의 체계 개편 (1)

현행 유배법은 제 장 총칙 제 장 유류오염손해배상책임 및 책임제한 제1 , 2 , 3 장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계약 제 장 국제기금에 대한 청구 및 국제기금 분담, 4

또는 배당표 등본의 송달을 받은 날로부터 14일의 불변기간 내에 법원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고 이러한 이의신청이 있는 때에는 이의에 대한 재판이 확정된 후가 아니면 배당을 실시, 할 수 없다 선박소유자등의책임제한절차에관한법률 제 조 및 제 조( 66 69 ).

금 등에 관한 규정 제 장 책임제한의 절차 그리고 제 장 보칙 및 제 장 벌, 5 , 6 7 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배법 개정안은 유배법에 일반선박 및. 油類貯藏艀船 에 관한 규정과 追加基金協約 관련사항을 신설하기 위해 현행 유배법의 체계 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였다 즉 현행 유배법의 유조선에 관한 규정인 제 장부. ‘ 2 터 제 장 을 유배법 개정안 제 장 제 절 내지 제 절 및 제 절 로 변경하면서5 ’ 2 ‘ 1 3 5 ’ 제 장의 명칭을 유조선 으로 하고 제 장 제 절에는 추가기금에 대한 청구2 “ ” , 2 4 “ 및 분담금 등 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였다 제 장은 일반선박 및 유류저장부선” . 3 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제 절은 일반선박 및 유류저장부선에 의한 유류오. 1 염손해배상책임 및 책임제한을 제 절은 일반선박 및 유류저장부선에 의한 유, 2 류오염손해배상보장계약을 각각 다루고 있다 현행 유배법의 제 장 보칙 과. ‘ 6 ’

제 장 벌칙 은 제 장 보칙 과 제 장 벌칙 으로 각각 장을 변경하였다

‘ 7 ’ ‘ 4 ’ ‘ 5 ’ .

선박의 정의규정 개편 (2)

현행 유배법의 선박소유자의 유류오염손해 배상 및 보상제도는 유조선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개정안은 그 적용대상을 일반선박 및 유류저장부선으로, 확대함에 따라 기존의 용어정의를 일부 개정하고 일반선박 유류저장부선 및, , 연료유의 정의를 신설하였다 즉 적용대상선박을 유조선 일반선박 및 고정용. , , 유조부선으로 분류하고 일반선박 및 고정용 유조부선의 정의는 신설하였다, . 일반선박 은 이외의 화물 및 기타 물품 또는 여객의 해상운송을 위

“ ” 散積油類

한 선박 노도 또는 주로 노도로써 운전하는 선박은 제외한다 과 선박안전법( ) 제 조의2 2규정에 의한 어선으로 정의하고 개정안 제 조 제 호( 2 2 ), “유류저장부 선 은” 浮遊式海上構造物로서 선박안전법 시행규칙 제 조 제 호의 적용대상이3 3 되는 유류를 저장하는 부선으로 정의하였다 개정안 제 조 제 호( 2 3 ). 선박연료유 협약은 적용대상선박을 모든 형태의 항해선 및 해상 항해용“ 舟艇”으로 정의 하고 있는데 협약 제 조 제 호( 1 1 ), 유배법 개정안의 일반선박의 정의 규정은 이 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

선박연료유협약 관련 규정 신설 (3)

가 의

( ) 責任 主體

선박연료유협약은 일반선박에 의한 오염사고시 책임의 주체를 등록선박소 유자 이외에 船體傭船者, 관리자 및 운항자로 확대하고 있으나 유배법 개정안 은 유조선에 의한 오염사고와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즉 유조선과 일반선박. 의 사고시 책임의 주체는 선박소유자로 등록된 자이고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때에는 선박을 소유하는 자이다 개정안 제 조 제 호( 2 4 ). 또한 외국정부가 소유 하는 일반선박의 경우에 그 국가에서 일반선박의 운항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회사 또는 기타의 단체가 있는 때에는 이 회사 등을 이 법에 의한 선박소유자 로 보며 대한민국 국민이 외국국적을 가진 유조선 또는 일반선박을 선체용선, 한 경우에는 선박의 소유자로서 등록된 자와 선체용선자를 모두 이 법에 의한 선박소유자로 본다 개정안 제 조 제 호 가목 단서( 2 4 ).

나 의

( ) 責任 性質

일반선박 소유자는 일반선박의 연료유에 의해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때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고 유조선 선박소유자와 동일한, 免責事由의 경우 에만 책임을 면한다 개정안 제( 47조). 이와 같이 유배법 개정안은 일반선박 소 유자에게도 유조선 선박소유자와 같이 엄격책임을 지우고 있다

( ) 責任制限

일반선박의 소유자 법인인 일반선박소유자 등의 무한책임사원을 포함한다( ) 는 해당 선박에 의한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채권과 관련한 책임제한에 대해서 는 상법 제770조 제 항의 책임제한 규정을 적용한다 이는 선박연료유협약이1 . 선박소유자 등이 국내법에 따라 책임제한을 할 수 있도록 한 규정 협약 제( 6

조 에 따른 것이다) .

라 보험강제가입 ( )

유배법 개정안은 총톤수 1천 톤을 초과한 대한민국 국적의 일반선박에 대해 체결을 강제하고 있다 개정안 제( 47조 제 항1 ). 그 油類汚染損害賠償保障契約

보장계약은 일반선박의 소유자가 해당 일반선박에 적재된 燃料油에 의한 유류 오염손해배상책임을 지는 경우에 그 배상의 지급 및 해당 일반선박의 소유자 에게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지급을 약정한 保險契約 또는 그 배상의무의 이행 및 비용의 지불을 擔保한 계약이어야 한다 개정안 제( 47조 제 항 제 호1 1 ). 그 리고 그 보장계약 금액은 일반선박마다 상법 제770조 제 항 제 호의 책임한1 3 도액 금액보다 적어서는 아니 된다 개정안 제( 48조 제 항3 ).

( ) 保障契約證明書

일반선박의 소유자는 保障契約證明書를 선내에 비치하여야 하며 개정안 제( 조 관계공무원은 일반선박의 보장계약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관계 출입검 50 ),

사 및 서류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개정안 제( 55 ).조

바 벌칙 ( )

보장계약의 미체결 또는 미체결한 채 운항한 선박에 대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개정안 제( 60 ),조 보장계약증명서 미비 치 또는 미비치한 채 운항한 선박에 대해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개정안 제 조 제 호 내지 제 호 그리고 보장계약 정보를 통보하지 않거

( 62 1 3 ).

나 虛僞 通報한 자 등에게도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개정안 제( 62 조 제 호 내지 제 호5 7 ).

( ) 船舶優先特權

유조선의 유류오염손해에 관한 채권과 마찬가지로 일반선박 유류오염손해에 관한 制限債權者는 그 제한채권에 관하여 사고선박 그 속구 및 수령하지 아, 니한 운임에 대하여 우선특권을 가진다 개정안 제( 51조 제 항1 ).

아 제소기간 ( )

유배법 개정안은 일반선박에 의한 유류오염손해배상에 관한 제소기간을 규 정하고 있지 않아서 일반불법행위에 의한 消滅時效가 적용된다 그러나 일반. 선박에 의한 유류오염손해에 대하여 유조선과 달리 취급할 특별한 사유가 없 으므로 유조선의 提訴期間에 관한 규정을 일반선박에도 적용하여야 한다.

자 유조선에 대한 규정 준용 ( )

일반선박의 보장계약 체결에 따른 보험자 등에 대한 직접청구권 보험자 등, 에 대한 유류오염손해배상청구사건의 관할 보장계약증명서 신청 교부 및 기재, ․ 사항의 변경 반납 등의 규정은 현행 유배법의 유조선에 관한 규정을․ 準用한다

개정안 제 조 ( 49 ).

관련 규정 (4) 油類貯藏艀船

가 의

( ) 責任 主體

책임의 주체는 200톤 이상의 유류저장부선의 소유자 또는 賃借人이다 개정( 안 제 조 제 호 나목2 4 ).

( ) 適用對象

유배법 개정안의 적용대상 유류저장부선은 200톤 이상의 持續性 油類를 저 장하는 고정용 유조부선이다 비지속성 유류 휘발유 경유 등 를 저장하는 고. ( , ) 정용 유조부선은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제 조 제 호( 2 3 ).

다 책임의 성질 ( )

유류저장부선의 소유자도 그 부선에서 유출된 유류로 인한 오염손해에 대 하여 유조선의 소유자와 마찬가지로 엄격책임을 지우고 있다 개정안 제( 43조 및 제44조).

라 책임제한 ( )

유류저장부선의 소유자는 상법의 책임제한 규정을 따르는 일반선박의 소유 자와는 달리 유조선의 소유자에게 적용하는 유배법상 책임한도액 규정의 적용 을 받는다 개정안 제( 46조).

마 보험강제가입 ( )

총톤수 200톤 이상의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부선의 소유자는 油類汚染 을 체결하여야 한다 개정안 제( 47조 제 항3 ). 그 보장계약 및 損害賠償保障契約

담보의 최저액은 유조선의 소유자에게 적용하는 유배법의 책임한도액이다 개( 정안 제48조).

바 기타 ( )

유류저장부선의 보장계약 체결에 따른 보험자 등에 대한 직접청구권 보험,

자 등에 대한 유류오염손해배상청구사건의 관할 보장계약증명서 신청 교부 및, ․ 의 변경 반납 등의 규정은 유배법의 유조선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記載事項 ․

개정안 제 조 보장계약 증명서 비치 개정안 제 조 개정

( 48 ). ( 50 ), 船舶優先特權(

안 제51조 제 항1 ), 유류저장부선에 대한 보장계약 확인을 위한 관계 공무원의 출입검사 및 서류제출 요청 개정안 제( 55 )조 은 일반선박의 소유자에 관한 규 정과 동일하다 그리고 벌칙도 유배법의 유조선에 관한 것과 동일하다 개정안. ( 제60조 및 제62조).

년 가입 관련 규정

(5) 2003 追加基金協約

가 년 추가기금 및 협약의 정의 규정 신설 ( ) 2003

유배법 개정안은 2003년 추가기금협약의 국내수용에 대비하여 추가기금협약 과 추가기금에 관한 정의 규정을 신설하였다 개정안 제 조 제( 2 16호 및 제17 호). “추가기금협약 의 정의는”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의 2003년 의정서 이며” , “추가기금 의 정의는 추가기금” “ 협약 제 조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유류오염손해의 보상을 위한 국제기금 이다2 1 ” .

나 추가기금에 대한 청구 ( )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손해액 총액이 1992년 국제기금의 한도액을 초과한 경우 추가기금협약 제 조 제 항에 의거하여 피해자가 추가기금에 대해 보상4 1 을 청구할 수 있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개정안 제( 30 ).조 또한 추가기금에 대한 청구 및 분담금 관련 규정은 1992년 국제기금에 대한 청구 및 분담금 관련 규정을 準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개정안 제( 31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