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油類汚染損害 賠償 補償制度

년 캐나다 제 장은 해양오염배

1971 商船法(CSA: Canada Shipping Act) 20 “

상기금(MPCF : Maritime Pollution Claims Fund)” 설치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은 선박소유자에게 유류오염손해배상에 대한. 嚴格責任을 부여하면 서 동시에 일정한 한도 내에서 책임을 부담하는 책임제한제도를 인정하였다.

캐나다는 1989년에 국제유류오염보상체계에 가입하였다. 1969년 민사책임협 약 및 1971년 기금협약 수용을 위해 상선법(CSA)을 개정하면서 해양오염배상 기금(MPCF)도 船舶油類汚染基金(SOPF: Ship-source Oil Pollution Fund)으로 변경하였다. 한편 2001년 8월 8일에는 해사책임법(MLA)을 제정하였는데 이, 법 제 부는 선박소유자의6 油類汚染損害賠償 책임과 캐나다 선박유류오염기금

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SOPF) .

가 적용범위.

캐나다 해사책임법은 1992년 민사책임협약 및 기금협약 적용대상선박 이하(

협약 선박 이라 한다 은 물론 일반선박에도 적용된다 비지속성 유류를 운송

“ ” ) .

하는 선박도 포함되고 항해여부도 불문한다 법 제, ( 47 ).조

이 법이 적용되는 장소적 범위도 협약 선박과 협약 외 선박으로 구분하고 있 다 우선 협약 외 선박은 캐나다 영토 또는 영해와 캐나다 배타적 경제수역에. 적용되고, 協約船舶은 이에 더하여 캐나다 외 민사책임협약 체약국의 영토 또 는 영해와 내수 민사책임협약 체약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이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는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 이내의 해역에서 발생 한 오염사고에 적용된다 법 제( 41조 제 항 및 제 항1 2 ).

나 선박유류오염기금의 보상대상.

캐나다 선박유류오염기금(SOPF)의 補償對象은 선박에 의한 유류오염손해와 수산해양부 유류오염 대응기관 캐나다 및 민사책임협약 체약국 국민의 선박, , 에 의한 유류오염손해 방지나 제거 또는 최소화 조치에 따른 비용 그러한 조, 치에 의하여 야기된 손해 및 손실이다 다만 선박으로부터 유류 유출을 우려. , 하여 취한 조치는 그 조치와 비용 간에 합리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년 캐나다 상선법에 따라 수산해양부가 취한 조치비용 및 이 법에 의한 2001

모니터링 비용 강제지시에 따른 자연인의 조치 비용 등도 보상대상이다 법, ( 제51조 제 항1 ).

다 선박유류오염기금의 재원.

캐나다 선박유류오염기금은 캐나다로 수입되는 유류와 국내 운송되는 유류 에 대해 톤당 15센트 캐나다 화폐단위이다 이하 이절에서는 동일하다 를 부( . ) 과하여 조성하였으며,227) 2007년 기준으로 이 기금의 총액은 3억 6,300만 달

227) 캐나다 상선법 제20장의 선박소유자의 유류오염손해보상책임규정은 유류오염책임보상에 관한 세계 최초의 종합보상체제로 1969년 민사책임협약 발효 년전 그리고4 , 1971년 기금협 약 발효 년 전에 시행된 법이다7 (http://www.ssopfund.gc.ca/).

러이다 수입유류 및 유류운송에 대한 분담금은. 1976년까지만 징수하였는데 그 이유는 기금에서 지출하는 비용을 모두 이자수입으로 充當하고 있기 때문 이다.

라 선박유류오염기금의 사용.

선박유류오염기금은 캐나다의 1992년 국제기금에 대한 분담금 납부 피해, 자의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보상 운영비용 등에 사용된다, .

마 선박유류오염기금의. 補償限度額

년 기금협약의 인 억 만 은 캐나다 화폐로 약 억

1992 補償限度額 2 300 SDR 3

만 달러이다 그런데 캐나다 선박유류오염기금의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8,500 .

보상한도액은 매 사고 당 5억 3,700만 달러로 1992년 기금협약의 보상한도액 보다 1억 5,200만 달러가 많다.228)

의 3. 船舶油類汚染基金 機能

가 최초 수단. (First Resort) 역할

유류오염 피해자는 선박소유자 등에 손해배상청구에 앞서 선박유류오염기금 에 오염손해배상 및 방제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기금은 이러한 청구에 대하. 여 손해조사 및 평가를 실시해서 피해자의 보상청구를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에 는 청구자에게 보상을 제의한다 청구자는 제의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집행관에게 수락여부를 통지하여야 하며 통지가 없는 경우는 거절한 것으로, 본다 기금이 청구자에게 보상한 경우 기금은 선박소유자나 그 보험자 등에. 대하여 청구자가 가지는 손해배상 청구권을 대위한다.

228) http://www.epa.gov/OEM/docs/oil/fss/fss02/macinnispaper.pdf, 2008.10.5일자 검색.

나 최후 수단. (Last Resort) 역할

유류오염손해를 입은 피해자가 선박소유자를 상대로 캐나다 법원에서 소송 을 제기하면 기금은 자동적으로, 訴訟當事者로 참가하게 된다 그리고 유류오. 염손해를 입은 피해자가 선박소유자나 국제기금으로부터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 기금이 보상한도 내에서 최종적인 보상책임을 진다.

캐나다의 년

4. 2003 追加基金協約 加入 推進

현재까지 캐나다는 2003년 추가기금협약에 가입하지 않고 국내 선박유류오 염기금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캐나다에서. 損害補償額이 10억 달러를 초과 하는 에리카호나 프레스티지호와 같은 대형 오염사고가 발생하며 현재의 캐, 나다 선박유류오염기금 총액인 3억 6,300만 달러에서 최대보상액인 1억 만 달러를 지급해야하므로 기금운영에 큰 차질이 생긴다 이 경우에는

5,200 .

년 이후 중단했던 유류수입이나 유류운송에 따른 분담금의 징수를 재개 1976

해야 하는데, 분담금은 消費者物價指數에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년 기준으로는 톤당 약 센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2007 43 .

한편 1992년 국제기금체제에서 최대 보상한도액은 매 사고 당 5억 3,700만 달러이다 그런데. 2003년 추가기금협약체제에서는 최대 보상액이 15억 달러 로 크게 늘어나다 이 금액은. 2003년 추가기금협약에 가입하지 않고 선박유, 류오염보상기금에서 보상할 경우 톤당 28센트 정도의 분담금을 징수하여야 하는 금액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볼 때 캐나다는. , 2003년 추가기금협약에 가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분담금을 납부하면서 대형사고시 적절한 보 상금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현재 이 기금협약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 물론 캐나다는 2003년 추가기금협약에 가입하더라도 선박유류오염기금은 계 속 운영할 계획이다.

제 절 5 美國

의 1. 美國 油類汚染法 變遷

대형 유조선의 출현과 그로 인한 유류오염사고는 1960년대말 이후에 나타 난 현상이다 미국에도 물론. 1899년의 하천 및 항구법(Rivers and Habour Act of 1899),229) 1924년 유류오염방지법(Oil Pollution Control Act, 1924 ),230) 1948년 연방수질오염관리법(FWPCA : Federal Water Pollution 등 오염방지관련 법률을 시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Control Act of 1948) .

같은 1970년대 이전의 법들은 주로 오염방지를 위한 기술적 측면에 관한 규 정과 주 정부에 대한 연방정부의 재정 및 기술적 원조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 을 뿐이고 오염손해 보상문제는 다루지 않았다 미국 최초로 선박에 대한 포, . 괄적 유류 유출 책임과 보상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법은 1967년 3월 발생 한 토리 캐년호 오염사고를 계기로 제정된 1970년 수질개선법(WQIA: Water 이다 이 법은 기술적인 면에서는 년 연방수 Quality Improvement Act) . 1948

질오염관리법에 대한 수정이었지만 실제적으로는 전혀 새로운 법으로서 최초 로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보상문제를 다루었다.231) 수질개선법(WQIA)은

년 연방수질오염관리법의 수정법 에 의

1972 (FWPCA Amendments of 1972) 해 수정 보완되었다가․ , 1977년 12월에 유류뿐만 아니라 위험물질(hazardous

의 배출금지와 벌금 그리고 육상 및 연안시설의 방제를 다루고 substances) ,

있는 수질청정법(CWA: Clean Water Act of 1977)으로 다시 개정되었다232).

229) 하천및항구법은 일반적으로 쓰레기법(Refuse Act)이라고 불린다. 이는 법 제 조13 에서 미국 가항수역에 쓰레기를 폐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Section 13) .

230) 미국의 연해와 내수에서의 유류오염을 금지한 최초의 연방법이다 불가피한 사고나 비상. 조치에 의한 유류의 배출을 제외한 모든 유류 배출을 금지하고 있다.

231) 이상돈, “유류에 의한 오염피해를 전보하기 위한 미국의 법제”,『한국해법회지』, 제 권6 제 호1 (1984.8), 33 .쪽

232) 조동오목진용․ ,『해양환경손해에 대한 국가의 배상청구권에 관한 연구』(서울 해운산업: 연구원, 1998), 52 .쪽

년 민사책임협약은 모든 오염손해 및 예방조치에 대한 배상을 규정한 반 1969

면에 이 법은 연방정부가 지출한 방제비용의 회수만을 규정하고 있었다233). 그 외 유류오염 및 위험물의 오염으로 인한 손해 구제를 위한 연방법은 알 래스카횡단수송관허가법(Trans-Alaska Pipeline Authorization Act of 197 3)234), 심해항구법(Deepwater Port Act of 1974)235), 외대륙붕법수정법 (Outer Continental Shelf Lands Act Amendments of 1978)236) 등이 있고, 주법으로 플로리다주의 유류오염방지법(The Oil Spill Prevention and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오염손해배상 관련 법제는 너무 Pollution Control Act) .

복잡하여 정비가 필요하였다 이에 이러한 연방법 및 주법을 철폐하는 대신에. 포괄적인 입법방안으로 제안한 것이 有害物質에 의한 오염책임에 관한 超基金 과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책임에 관한 초기금법이다. 그 가운데 전자는 法

년에 위험물로 인한 오염책임 종합법적인 환경대응 보상및책입법

1980 ․

(CERCL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일명 라 한다

Liability Act: Superfund )237)으로 제정되었고 후자는, 1989년 3월 에 발생한 엑슨 발데즈(Exxon Valdez)호 오염사고 이후에 유류오염에 관한 포 괄적 연방법인 유류오염법으로 제정되었다238).

233) 이장기, “OPA 1990의 재정책임문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한국해법회지』, 제 권 제25 1 호(2003. 4), 237 .쪽

234) 알래스카횡단송유관허가법은 피해자가 선박소유자의 책임한도액인 1,400만 달러 내에서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알래스카송유관책임기금(Trans-Alaska Pipeline

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Liability Fund) . 이 기금은 알래스카산 석유가 하역될 때 그 석 유의 소유자로부터 배럴당 센트씩 부과하며 기금의 최고한도액은 억 달러이다1 5 , 1 .

235) 심해항구‘ (Deepwater Port)’란 영해 밖의 망망대해에 부유하는 원유수유장치를 건설하 고 그로부터 송유관을 통하여 연안으로 원유를 운반하는 시설을 갖춘 항구를 말한다 이러, . 한 심해항구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대형 해양오염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이를 규제하기 위하 여 ‘1974년 심해항구법(Deepwater Port Act of 1974)’을 제정하였다.

236) 외대륙붕‘ (Outer Continental Shelf)’란 1953년 제정된 외대륙붕법(Outer Continental Shelf 에 의해 연방정부의 관할에 속하는 대륙붕을 뜻한다 년 수정법

Lands Act of 1953) . 1978

은 외대륙붕 해저석유자원 개발활동에서 발생하는 유류오염 규제를 규정 (Amendment of 1978)

하고 있다.

237) 이 법은 기존 법에 의해 조성된 기금(fund)을 철폐하고 새로운 종합적인 기금을 설치한다 는 뜻에서 초기금법(Superfund Act)이라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