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사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8-72)

북관 세곡과 한국 가곡은 각각 쓰는 언어에 따라 가사의 발음방식이 다르다.

또한 소군화번 이패 와 우조 두거 의 가사내용도 살펴보겠다< > < > .

가. 북관세곡

(1) 언어

년대의 북관 예인들이 노래하는 언어

1960 78)를 고찰하여보면 성모와 운모는

현재 대만에서 쓰고 있는 국어 혹은 중국에서 쓰는 보통말(표준어 에 제일 가)

깝다 중국어의 성모는 발음기호

. b[ : ],

p[발음기호: ],

m[발음기호: ],

f[발 음기호: ]

,

d[

발음기호: ],

t[발음기호: ],

n[발음기호: ],

l[발음기호: ],

ㄌ g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 : ],

ㄍ k[

: ],

h[ : ],

j[ : ],

ㄐ q[

: ],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

x[

: ],

ㄒ zh[

: ],

ch[ : ],

sh[ : ],

r[

78) 북관음악에서 언어를 관화 (官話)’ 또는 정음 (正音)’이라고 하며 관화는 , 명나 라와 청나라를 통치하는 지배계층에서 썼던 언어였다 관화는 주로 지식층이 소통하는 . 어이다 중국은 . 어서 지역마다 는 방언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어가 요해서 관화라는 언어가 발생하게 되었다 정음의 의미는 정확한 발음이라는 . 뜻이 다.

호: ], z[

발음기호: ],

c[발음기호: ],

s[발음기호: ],

y[발음기호: ],

ㄧ w[

발음 기호: ],

i[발음기호: ],

ㄧ u[

발음기호: ],

yu[발음기호: ] 24

개가 있다. 운모 는 발음기호a[ : ],

o[발음기호: ],

e[발음기호: ],

ai[발음기호: ],

ei[발음기 호: ],

ao[발음기호: ],

ou[발음기호: ],

ie[발음기호: ],

er[발음기호: ],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발음기호 개

an[ : ],

en[ : ],

ang[ : ],

eng[ : ] 13

가 있다.

예를 들어 pu( )不는 성모 와 p 운모 를 조합해서 발음을 한다

u

. 운모79)는 시 를 지을 때 사용하던 운( )韻이다.

(2) 가사 처리방식

북관음악 중에서 희곡과 세곡은 쓰는 언어가 똑같고 연주할 때에 가사를 , 처 리하는 방식이 비슷하다 고로희 신로희. , , 분선희 등 희곡과 세곡에서는 가성 사창법(加聲辭唱法)과 분해자음창법(分解字音唱法)이 쓰인다.

( ) 가성사창법

가성사창법은 노래를 부르면서 가사의 발음이 어렵거나 가락선이 많아서 음 시가가 길 때, 쉽게 가락을 노래할 수 있도록 의미가 없는 성사를 추가로 넣어 서 노래하는 방법이다 성사. ‘ (聲辭)’는 본래 가사의 발음에 추가되는 의미 없는

또는 를 가리킨다 이러한 성사는 추가하는 방식은 정해져 있는 규칙이 [a] [i] .

있다기보다는 선생님에게 배울 때 추가 성사가 필요한 부분을 임의로 알려주 었던 것이 현재까지 전해져 왔다.

예를 들어, <소군화번 이패 의 > 첫구절 본래 가사는

후이

지안 한

“ [hui;

]- [ɕiu; ]- [uaŋ; ]- [p首 望 不

u; ]- [ʨian;

見 ]- [han; ]-

리우 지아 인데

[liu; ]- [ʨia; ]” ,

劉 家

노래 부를 때에는 후이

“ [hui;

]-

[i; ]이 - [ɕiu; ]- [uaŋ; ]-首

望 왕

[i]- [pu; ]- [ʨian;不 부 見 지 안]- [han; ]- [liu;

한 劉 리우]-

[i]~~~家[ʨia;지아]-

[a]- [i]

”와 같이 노래한 다 여기서 로 . □ 표시한 a( )

와 i( )

는 의미 없이 추가되는 성사이다 그러므. 79) 한국의 모음과 받침(자음 을 ) 치면 대만의 운모(韻母)가 된다.

로 한 가사의 가락선이 너무 길게 연주될 때 가락선과 가사가 조화되지

못할

경우 의미가 없는 성사 [a] 혹은 를 [i] 끼워 넣어 가락선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악보 9 에서 번 > 3 째 마디의 [li], [i], [i], [iu] 표현이 나오는데, 실제 가사는 [liu]이나, 첫 박의 [li]는 자두이고, 2번째 박과 번 3 째 박의 [i], 는 자복이고 번 째 박의 는 자미이다 또 악보 첫 마디의 번째 박을

[i] , 4 [iu] . 4

보면 가 나오는데 이것은 원래의 가사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성사 로 가사[i] ‘ ’ , 의 음을 편하고 자연스럽게 가락으로 이끌기 위해서 발생한 것이다 여기에 있. 는 [a] 혹은 는 가사와 전혀 상관없이 가락을 이끌기 위해 발음하는 성사일 [i]

뿐이다.

악보

< 9> 가성사창법과 분해자음창법 예시

回(hui) 首(ɕiu)望(uaŋ) (hui)

(i) 首(ɕiu)望(uaŋ)(i)

< 7> 가성사 추가 전후

( ) 분해자음창법

분해자음창법은 노래를 부를 때 가사의 음절을 분해하여 노래하는 것이다.

가사의 음절은 자두(字頭), 자복(字腹), 자미(字尾) 세 가지로 분해된다 예를 . 들면, <악보 9 에서 > han, liu를 노래 할 때 ‘h’ 는 자두이고, ‘a’ 는 음시(音

가 제일 긴 자복이고 는 자미이다 또는 는 자두이고 는 자복이

) , ‘n’ . ‘l’ , ‘i’

고 제일 길며, ‘u’ 는 자미이다 북관 세곡은 가사를 부를 때 . 글자의 각 부분을 처리하는 방식이 다르고 분해된 각 음절에는 해당하는 가락이 있다 대부분의 , . 가락이 자복으로 진행하게 되어 자복의 음의 길이(音時: 자복의 음이 지속되는 시간 가 제일 ) 길고 자두과 자미의 음시, (音時)는 짧다 분해자음창법을 사용하.

기 때문에 북관 세곡은 다른 북관 음악 장르에 비해

읽는 방식이 특이하고 까

다롭다 예를 들어 . 劉

[

liu]를 살펴보면, [ ---ㄹ

ㅣㅜ

]라고

읽으면

자두가 긴 것이고, [ㄹㅣㅜ ---]라고

읽으면 자미의 음시가

긴 것이다 그러나 자미의 음시가 . 긴 발음은 세곡에서 쓰이지 않는다. [ㄹㅣ

라고

읽는

것은 자복의 음시가 길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 --- ]

식이 세곡에서 주로 쓰인다.

(3) 가사 내용 표

< 8>은 소군화번 이패< >80)의 가사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가사의 .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구는 가련나전리료경화지

1 “ (可憐我纏離了京華地)”81) 이고 그 해석, 을 살펴보면 가여운 나 서울 장안“ (현 서안)을 떠나 왔네.”이다 중국 한나라 시기. 의 장안에 대한 내용인데 그곳은 당시 제일 번화한 지역이다 자기의 나라 장. 안을 떠나야하는 가엾고 불쌍한 나의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제 구는 회수망불견한류가 생나나파인처량 생나나파인처량

2 “ (回首望不見

; )”

漢劉家

生哪哪把人淒涼 生

哪哪把人淒涼

82)이고 그 해석은 고개를 , “ 돌려

도 주군은 보이지 않네. 어찌 이리 사람을 처량하게 하는가요

?”

이다 화자가 .

80) 可憐我纏離了京華地 回首望不見漢劉家

心悲著這股相思好叫人都牽掛 生哪哪把人淒涼 生哪哪把人淒涼 動人愁野草閑花 動人愁野草閑花

那裡有真心插帶了它

路迢迢萬里長沙 路迢迢萬里長沙 總有那羊羔美酒咽喉難吞下

打哪蘇何曾沾牙 打哪蘇何曾沾牙 今日裡昭君出了嫁

彈一曲馬上琵琶 彈一曲馬上琵琶 眼觀見韃子們嘰哩咕嚕說出什麼番邦話 止不住兩淚汪汪 止不住兩淚汪汪 淚珠兒濕透香羅怕

81) 可憐: 가련하다 가, 엾고 불쌍한 보습 京華地: 경은 현재의 서울 것이다.

82) : 돌다 : 머리 望不見: 보이지 않는다. 漢劉家: 한나라의 이 류씨이다. 生哪哪: 찌 이리 淒涼:처량하다 서글프다, .

고개를 돌아봐도 자기의 처량한 모습만 보이는 것을 노래하였다.

제 구는 심비착저고상사호규인도견괘 동인수야초한화 동인수야초한화 3 “

(心

悲著這股相思 好叫人都牽掛 動人愁野草閑花 動人愁野草閑花

)”83)이고 그 , 해석된 내용은 “슬프고

괴로운 이 마음 모든 이의 가슴에

스며드네, 쓸쓸한 저 들풀과 한가로운

.”이다.

제 구는 나리유진심삽대료타 로초초만리장사 로초초만리장사

4 “ (那

裡有真

)”

心插帶了它 路迢迢萬里長沙 路迢迢萬

里長沙

84)이다 그 해석된 . 내용은 진“ 심으로 이 들꽃을 아껴서 꽂는 곳 어디 있을까

?

끝에 보이지 않은 아득히 멀고 먼 모래 길.”이다 여기서 . 천리 만리 거리를 비유해서 소군이 자기 고향이 , 떠 나는 것이 계산할 수 없는 거리처럼

힘든 마음을

노래한 것이다.

제 구는 총유나양고미주인후난탄하 타나소하증첨아 타나소하증첨아

5 “ (總有

)

那羊羔美酒咽喉難吞下 打哪蘇何曾沾牙 打哪蘇何曾沾牙85)”이고 그 , 내용을 해석해보면 양고기 향기로운 술도 “ 먹기가 어렵고 북방의 술은 마셔본 적도 . 없네.”이다.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도 없고 북방지역의 술은 , 먹게 될 처지를 노래한 것이다. 打哪蘇는 북방지역 술의 종류인데, 그 곳에서 가 본 적도 없는 데, 어떻게 그 곳의 술과 안주를 먹고 보았겠는가

!

제 구는 금일리소군출료가 탄일곡마상비파 탄일곡마상비파

6 “ (今日

裡昭君

)

出了嫁 彈一曲馬上琵琶 彈一曲馬上琵琶86)”이고 그 해석된 , 내용은 오늘은 “ 소군이 시집을 가네 말 위에서 비파 연주하네. .”이다.

제 구는 안관견달자문기리고로설출십마번방화

7 “ (眼觀見韃子們嘰哩咕嚕說

지부주양루왕왕( ) 지부주양루와왕(

出什麼番邦話 止不住兩淚汪汪 止不住兩淚汪

)

87)”이고 그 해석된 , 내용은 “눈을 들어

흉노들을 보니 웅얼웅얼

(찌리꾸루)

83) 心悲著: 비상한 마음이 갖고, 這股相思: 이란 보고 싶은 마음 好叫人都牽掛: 마음속 에서 린다. 野草閑花: 한가한 꽃이

84) 那裡有: 디에 있어 真心: 진심 : 꽂다, 우다. 路迢迢: 길을 먼 보양이다. 萬里: 거리를 상징이다. 長沙: 끝에 보이지 않은 사막

85) 總有那:그래도 羊羔: 양고기 상징하는데, 모두 맛있는 음악들이 美酒: 맛있는 술 목구멍 먹기가 힘들다 중국 북방 술의 한 어디서

: : . : :

難吞下 打哪蘇 何曾

먹어 :

86) 今日裡: 오늘昭君: 소군이가 出了嫁: 시집을 간다. : 연주 一曲; 한곡이 馬上: 의 위에서 琵琶: 비파.

87) 眼觀見: 눈을 보다, 韃子們: 소군이가 데리고 가는 사람들이, 嘰哩咕嚕: 말을 이야기 하는 모습이다 소리의 어조사. , 番邦: 외국 이민족, . 여기서 흉노족이다; 止不住: 그치 지 않다 兩淚汪汪: 눈에서 눈물이 나온다.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가 없구나 두 . 눈에서 눈물이 그치지 않네.”이다. 제 구는

누주아습투향라파

8 “ (

淚珠兒 濕透香羅怕

)”88)이고 그 해석된 , 내용 은 “눈물이 방울방울

떨어져

손수건을 다 적셨네.”이다.

88) 淚珠兒: 눈물이 濕透: . 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香羅怕: 손수건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8-7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