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전주곡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4-43)

(1) 세곡 전주곡

북관 음악 중에 쓰이는 전주곡은 보‘ ( )’ 譜 또는 현보‘ (絃譜)’라고 한다 현보. 에서 현 은 ‘ ’ 활을 사용하는 악기58)이고 보 는 악보라는 , ‘ ’ 뜻이다 세곡의 반주. 가 현악기를 중심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현보라고 부른다 현보의 . 종류는 연장 현보와 단장 현보가 있다 보통 세곡 전주곡으로 많이 쓰이며 희

(聯章) (單章) . ,

곡의 중간에 가끔 쓰이기도 한다 연장 현보는 여러곡으로 구성되는 경우 주로 . 곡이 하나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단장 현보는 한 악장으로 독립 연주할 수

4 .

을 한 옥타브 높게 연주하는 것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래 남창의 가락. 높은 경우 여창으로서도 소화하기 어려운 음역이 것이므로 가성(假聲)과적 으로 활용하였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는 노랫말의 용 등과 관련하여 여창의 노래 가락을 낮은 음역으로 변주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김영, 󰡔가곡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166-201 .

57) 여창가곡이 19세기를 거치면서 지금과 은 연창의 틀을 갖추게 된 과정에 대하여는 경숙, 조선후기 여창가곡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1994) 김영 , 위의 참조.

58) 대만 전통악기는 타악기 관악기, , 발악기, 찰현악기로 나눈다.

있는 형태이다.

연장현보는 상사투《 (上四套) , 》 《하사투(下四套) , 》 《소사투(小四套) , 》 《사시 경(四時景) , 》 《사경찬(四景串)》 등이 있다 상사투. 《 (上四套)》는 <취부등루(醉扶

만당홍 매죽쟁춘 대팔판 네 곡으로

)>, < ( )>, < ( )>, < ( )>

燈樓 滿堂紅 梅竹爭春 大八板

구성 되어 있다 하사투. 《 (下四套)》는 <찬음(串音)>, <욕련환(欲連環)>, <월아고 만상포라 네 곡으로 구성 되어 있다 소사투

(月兒高)>, < (萬象包羅)> . 《 (小四套)》 는 <춘청정(春清井)>, <춘래향(春來香)>, <백가춘(百家春)>, <일찬련(一串蓮)>

네 곡으로 구성 되어 있다. 《사시경(四時景)》은 <춘경(春景)>, <하경(夏景)>, 추경 동경 네 곡으로 구성 되어 있다 사경찬 은

< (秋景)>, < (冬景)> . 《 (四景串)》

춘찬 하찬 추찬 동찬 네 곡으로 구성 되어

< (春串)>, < (夏串)>, < (秋串)>, < (冬串)>

있다.

단장 현보는 <일촌금(一寸金)>, <일지초(一枝草)>, <일주(一綢)>, <일년춘(一

일강풍 일찬련 일계춘 일지화

)>, < ( )>, < ( )>, < ( )>, < (

年春 一江豐 一串蓮 一季春 一枝

일지향 일지매 일봉서 일석주

)>, < ( )>, < ( )>, < ( )>, < (

花 一支香 一枝梅 一封書 一席

일조근 일립성 일립주 칠촌련

)>, < ( )>, < ( )>, < ( )>, < (

酒 一條根 一粒星 一粒珠 七寸

칠구반 칠구청 칠구시 칠성검

), < ( )>, < ( )>, < ( )>, < (

蓮 七句半 七句清 七句詩 七星

칠관반 칠현 구구시 구연환

)>, < ( )>, < ( )>, < ( )>, < ( )>,

劍 七管反 七賢 九句詩 九連環

이팔가인 이음 이금 팔구시 팔판

< (二八佳人)>, < (二音)>, < (二錦)>, < (八句詩)>, <

팔판두 팔미도 등 이백곡 정도가 기록에 남아

(八板)>, < (八板頭)>, < (八美圖)>

있다.

세곡의 전주곡은 단독 현보 또는 현보 연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주곡의 . 조(Key)는 노래와 같고, 속도는 노래보다 빠를 수도 있고 느릴 수도 있어서, 박자는 노래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세곡 곡에 어떤 전주곡을 반드시 써. 야한다는 규칙은 정해지지 않았고 연주자 마음대로 전주곡을 선택하여 , 쓰면 된다 어떤 곡이든 선택하여 . 쓸 수 있기 때문에 전주곡은 노래와 관계가 없다. 하지만 이번에 선정하는 음반에는 전주곡이 쓰이지 않았는데, 필자가 따로 전주곡 한 곡을 뽑아서 예시를 보여줄 예정이다 그 다음에 선정하는 곡은 소. 사투 중에 <백가춘(百家春)>이다. <백가춘(百家春)>을 선정하는 이유는 기본적 으로 북관 음악을 공부하는 사람이 쉽게 배울 수 있고, 빨리 암기하기 쉽기 때 문에 제일 많이 쓰이는 곡이다.

(2) 가곡의 전주곡 대여음 ( )

가곡의 전주곡은 대여음(大餘音)이다 대여음에서 대. ( )大는 ‘크다 는 ’ 뜻이고, 여음(餘音)은 소리가 그치거나 거의 사라진 뒤에도 아직 남아 있는 음향이다. 대여음은 악곡 중에 제 장과 제 장을 가져와서 대여음을 만들었는데3 5 , 대여음 과 노래의 관계가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 대여음과 . 노래의 조를 똑같이 쓰고, 박자와 장단은 노래와 같다 가곡에서 세곡 음악처럼 전주곡도 . 쓰이지만 세곡 , 음악처럼 곡마다 자유롭게 전주곡을 뽑아서 쓸 수 없다 한국 가곡은 곡마다 . 전주곡이 있는데, 전주곡은 아예 악보를 만들어 넣고 그대로 연주한다 한국 . 가곡에서도 악보가 다 기록되지 않았을 때는 세곡의 전주곡처럼 자유롭게 했 다고 하지만 현재 한국 음악은 그렇지 않다.

(3) 세곡과 가곡의 전주곡 비교

세곡과 가곡은 전주곡이 있다는 점은 같지만 전주곡을 진행하는 방식은 다 르다 세곡의 전주곡을 현보라 하는데 이는 현악기를 연주한다는 . 뜻이다. 단장 현보와 연장현보가 있으며 희곡 중간에 쓰이기도 한다 가곡의 전주곡은 대여. 음이라 하는데 이는 크게 남은 노래의 남은 소리라는 뜻이다 세곡에서 현보는 . 자유롭게 선곡하여 쓸 수 있으므로 노래와 관계가 없어 각곡과 무관하나 대여 음은 노래의 제 장 제 장의 가락과 관련이 있어서 각 곡마다 정해진 가락이 3 , 5 있다 세곡과 가곡에서 전주곡의 악조는 . 노래와 같다 그러나 세곡은 . 속도와 박자가 노래와 다르고 가곡은 , 속도와 박자가 같다.

악곡

내용 세곡 가곡

명칭 이유 ( )

현보 대여음

현악 연주 크게 노래의 남은 소리 유래( ) 악곡구성

명칭 ( )

단곡 연투/ 단곡

단장 연장/ 명칭 없음

노래 관계 노래와 관계가 없음 노래의 장3 , 5장과 비슷

각곡과 무관 각곡마다 고정

노래와 같음 노래와 같음

속도 노래와 다름 노래와 비슷함 같음( )

박자 노래와 다름 노래와 같음 장단( )

< 1> 세곡과 가곡의 전주곡

나. 악곡구성

(1) 세곡의 악곡

북관세곡은 크게 가지로 나눌 수 있다3 . 첫 번째는 대소패‘ (大小牌)’이며, 두 번째는 소곡‘ (小曲)’이고 세 번째는 , ‘곤강(崑腔)’이다.

대소패 는 다시 대소패연투 독립식 소패

‘ (大小牌)’ ‘ (大小排聯套)’, ‘ (獨立式小

독립식 대패 로 나눈다

)’, ‘ ( )’ .

牌 獨立式大牌

대소패연투 는 대패와 소패가 결합된 것인데 대만식 표현으로 연투 라 한

‘ ’ ‘ ’

다 예를 들어 비상. , 《 (飛霜)》은 소패 【碧波玉】 【, 桐城歌】 【, 數落】 【, 雙蝶翠】와 대패 대패 로 이루어져 있다. 【 】

독립식 소패 는 소패로만 구성된 곡이다 소패에는

‘ ’ . 【碧波玉】 【, 桐城歌】, 네 개가 있고 나머지 곡패를 대패라 이른다 단일곡으로 이

, .

數落 雙蝶翠

【 】 【 】

루어진 독립식 소패 단곡은 【碧波玉】의 곡조를 이용하며 가사의 앞 세 글자를 따서 악곡의 이름을 짓는다. <도화찬(桃花燦)>, <천산묘(青山渺)>, <삼경천(三

매유랑 소사부 등이 있다 독립식 소패 연투는

)>, < ( )>, < ( )> .

更天 賣油郎 小思夫

중 두 곡 이상의 곡패로 구성된다 민

, , , .

碧波玉 桐城歌 數落 雙蝶翠

【 】 【 】 【 】 【 】

간의 초본에서는 같은 발음을 가진 ‘小排’가 자주 쓰인다 이 . 표시는 가끔 초 본 악곡의 제목 아래에 나오고 대부분은 , 표시되어 있지 않다.59)

독립식 대패 는 대패로만 구성된 곡이다 역시 한곡으로 된 단곡과 여러 곡

‘ ’ .

으로 된 연투로 나눈다 독립식 대패 단곡은 소패 곡 . 4 외의 다른 곡패 한곡 단 위로 이루어진다 이런 악곡은 . 최초에 다수의 곡패로 조합된 것이 시간이 지나 면서 자연스럽게 하나의 악곡으로 된 것이며 때문에 곡패의 이름이 없는 경우, 도 있다 예시로 소하월하추한신. < (蕭何月下追韓信)>, <로지심취타산문(魯智深 교별 등이 있다 독립식 대패 연투는 다양한 곡패로 구성 )>, < ( )> .

醉打山門 橋別

되는데, 없어지거나 일부분만 남은 곡패도 있다 예를 들어. , 《소군화번(昭君和 은 두패 이패 삼패 사패 오패 의 대패곡으로 구성된다 복양

) , , , , .

番 》 【 】 【 】 【 】 【 】 【 】 《

가(復陽歌)》는 곡명이 없는 대패, 【복록수(福祿壽) , 】 【미성(尾聲)】 등 세 대패 곡으로 구성된다.

대패 는 한 장이나 몇 장이 특정한 곡패명으로 칭하기 어렵다 극소수

‘ (大牌)’ .

의 초본에서 대패 곡목 위에 곡패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것은 매우 드물다. 초 본이나 예인들의 말에 의하면 대패 악곡은 보통 그냥 대패(大牌 혹은 大排)라 한다 그래서 오랫동안 대패와 소패의 . 명칭은 정해진 바가 없고 대패라는 , 단 어는 명확하게 소패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쓰여 왔다.60)

소곡 은 짧거나 간단한 가락선에 다른 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곡을 말

‘ (小曲)’

한다 보통 사죽반주로 . 노래하고 북관 , 희곡에서도 중간중간에도 쓰인다. 단독 으로는 쓰이지 않는다.61)

곤강 은 곤곡의 노래하는 방식으로 반주 없이 노래만 하는 곡이다 나머지

‘ ’ .

세곡과 기보법이 다르고 수량이 얼마 없으며 북관 세곡 , 명인들도 모르는 경우 59) 小牌 是指包括碧波玉 桐城】【 】【數落 雙蝶翠 等幾個特定曲牌】【 在民間抄本ˊ中也常 常被寫成同音小排」,此標示有時會出現在抄本中的全套套名之下方但多數情況是不會

...

標示出來 且寫出 碧波玉 等曲牌名稱 這些曲牌在北管藝師們都稱之為小牌

60) 大牌 指一段或是數段難以標示特定曲牌名稱的樂曲極少數的抄本會在某幾首大排 曲目上標示出若干曲牌名稱 但 大牌樂曲在抄本或是藝師口中通常是就只是大牌 大排 長久以來 對於大小牌的名稱一直無所定論 大牌 一詞 明顯是相對 小牌

」,

而來。

61) 大小排這是一類具有特定形式的樂曲所有曲目的組成不論該樂曲是個單曲或者聯 其內容不是大牌就是小牌或是兩者連結成套除此之外 絕無其他樣式存在 小曲 通常雖然也是絲竹伴奏演唱但是通常用於北館的戲齣或者出陣當中較少拿來單獨演 唱。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4-4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