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음악석사학위논문
북관 세곡 소군화번 이패 와 < >
여창 가곡 우조 두거 < >
비교 연구
년 월 201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국악기악 전공
許紜佩
북관 세곡 소군화번 이패 와 < >
여창 가곡 우조 두거 < >
비교 연구
지도교수 김 우 진
이 논문을 음악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18 10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국악기악 전공
許紜佩
의 음악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許紜佩
년 월 2018 12
위 원 장
( ) 인 부위원장 ( ) 인 위 원 ( ) 인
국 문 초 록
한국의 전통음악 중 중국에서 유래하여 향악화된 음악이 있듯 대만의 전통 음악 중에도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대만의 고유한 특 성을 담게 된 음악이 있다 대만의 북관음악은 중국 북쪽 지역에서 유래하였으. 나 현재 중국에 남아있지 않고 대만에서만 전승되고 있다 북관음악 중 세곡은 . 기악반주가 따르는 성악이다 본 연구는 대만의 북관음악 중 예술음악인 세곡.
소군화번 이패 와 한국의 예술음악인 여창가곡 우조 (細曲) < (昭君和番 貳牌)> <
두거 의 형성과정 악곡구성 공연형태 등 갈래적 특징을 살펴보고 음악적 특> , , , 징을 비교한 연구이다 .
고려시대 정과정에서 비롯된 만 중 삭대엽이 조선시대에 시기를 달리하여 ‧ ‧ 분화 발전하였으며 그 중 삭대엽은 중거 평거 두거 소용 농 낙 편 ‧ , ‧ ‧ ‧ · ‧ ‧ 등 변주곡을 파생시키며 현재의 가곡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비해 세곡은 세곡. 을 배우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였던 북관관각(館閣, 류파와 유사 의 형성시기) 에 따라 약 300여년 전 대만으로 전래되어 왔음을 추정할 뿐 유래가 정확하지 않다 세곡은 악곡 구성방식에 따라 대소패연투. (大小牌聯套), 독립식소패(獨立
독립식대패 소곡 으로 나뉜다 연구대상인 소군화
), ( ), ( ) .
式小牌 獨立式大牌 小曲 《
번(昭君和番 》) 은 두 개 이상의 곡패체가 모인 연투로 구성된 독립식대패이며, 다섯 개의 곡패로 이루어졌다 여창 가곡은 우조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 ‧ ‧ ‧ 거 우락 계면조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평농 계락 편수대엽 ‧ ‧ ‧ ‧ ‧ ‧ ‧ ‧ ‧ 태평가 반우반계 반엽 환계락의 한 바탕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곡마다 대여‧ ‧ , 음 장 장 장 중여음 장 장 순으로 반복된다 가곡의 대여음은 가락이 정·1 ·2 ·3 ‧ ·4 ·5 . 해져 있지만 세곡은 전주곡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악기 편성과 공연형태의 . 경우 세곡은 제현 화호 삼현 적자 양금 판의 편성으로 가곡은 거문고 가, , , , , , , 야금 양금 대금 해금 장고의 세악 편성으로 이루어진다 세곡을 공연할 때 , , , , . 남창과 여창의 구분 없이 악곡의 순서대로 부르며 공연시간을 맞추기 위해 핵, 심부분만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노래 부르는 사람이 판을 들고 노래한다 가. 곡은 초창기에는 남창만 있었을 것이나 현재는 남창과 여창 남녀창의 형태로 , 공연하며 우조와 계면조 두 악조의 곡 조가 있다, .
세곡과 가곡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세곡 소군화번 이패 와 가곡 < >
우조 두거 의 가사 발성법 박자와 악조 반주음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
< > , , , .
사를 보면 두 곡 모두 상류층이 쓰는 언어를 사용한다 세곡에서는 . 노래할 때 가사의 음절을 분해하여 노래하는 분해자음창법‘ (分解字音唱法)’과 의미가 없 는 성사를 추가하여 부르는 가성사창법‘ (加聲辭唱法)’을 사용하는데, 이는 가 곡에서 모음을 분해하여 부르고 의미가 없는 으, [ ], [ ]ㅎ를 첨가하여 부르는 것 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발성법을 보면 북관 세곡에서 조구. , (粗口)는 진성으 로 발성하고 세구, (細口)는 가성으로 발성하여 가곡의 속소리와 비슷하지만 찌 르는 듯한 강한 소리를 발성한다는 점에서 곱고 매우 꿋꿋한 느낌을 주며 음, 역에 따라 소리의 음색이 달라지지 않는 가곡과 다르다 발성법 운용방식에 있. 어서도 세곡에서는 한번 사용했던 방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해야 하지만 가곡은 구절마다 발성법이 정해져있다 가곡의 악조는 모두 . 솔- - - -라 도 레 미의
음 음계를 주로 쓰나 시김새가 정해져 있고 종지음에 규칙이 있다 세곡은
5 . 7
음 음계를 사용하고 곡마다 같은 악조로 자유로운 가락 진행을 보이지만 종지 음에 규칙은 없다. 박자를 보면 세곡은 2 , 4박 박으로 되어있는 반면 가곡은 ,
박과 박이 결합되어 박을 이룬다 반주음악을 살펴보면 소군화번 이패
3 2 16 . , < >
의 노래 가락은 제현과 비슷하고 제현이라는 악기를 중심으로 연주한다, . <우 조 두거 는 반주가락과 > 노래가락이 거의 일치하며 악기끼리 같은 가락을 연주 하나 거문고가 중심역할을 하며 대금과 해금은 시김새가 많아 다른 악기보다 , 가락이 복잡하다.
대만과 한국은 직접적인 교류 관계는 없었지만 이처럼 비슷한 형식으로 연 주하는 전통음악이 전승되고 있어 그 특성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앞으로도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교류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주요어 대만음악 북관 세곡 소군화번 한국 여창 가곡 우조 두거: , , , , , , , , 공척보 발성법,
학 번: 2016-22144
제목 차례
< >
서 론
I.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선행연구 검토
2. ··· 4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 6
북관 세곡과 한국 가곡의 갈래적 특징
II. ··· 10
1. 북관음악과 정악의 갈래 ··· 10 형성 과정
2. ··· 14 전주곡 및 악곡구성
3. ··· 22 악기편성 및 공연형태
4. ··· 33 소결론
5. ··· 44
북관 세곡 소군화번 이패 와 가곡 우조 두거 의
III. < > < >
음악적 특징 ··· 46 1. 가사 ··· 46
발성법
2. ··· 60 박자와 악조
3. ··· 63 반주 음악
4. ··· 68 소결론
5. ··· 80
결론
IV. ··· 83
참고문헌 ··· 86
Abstract ··· 88
표 차례
< >
표 세곡과 가곡의 전주곡
< 1> ··· 25
표 세곡의 악곡 구성 분류
< 2> ··· 27
표 벽파옥 의 악곡형식 구성
< 3> 【 】 ··· 31
표 기곡 한 바탕의 악곡구성
< 4> ··· 33
표 대만 북관음악의 악기와 한국 가곡의 악기 역할 비교
< 5> 41
표 남녀창 구분 곡명
< 6> ··· 43
표 가성사 추가 전후
< 7> ··· 48
표 소군화번 이패 의 가사 설명
< 8> < > ··· 52
표 가곡에서 음성모음의 사용
< 9> ··· 54
표 가곡에서 중모음 의 변화
< 10> ( 重母音 ) ··· 55
표 가곡에서 강세에 따른 발음의 변화
< 11> ··· 55
표 우조 두거 의 가사 내용
< 12> < > ··· 57
표 가곡 우조 두거 의 가사분석과 설명
< 13> < > ··· 58
표 세곡과 가곡의 창법 언어 비교
< 14> ‧ ··· 60
표 세곡과 가곡의 발성법 비교
< 15> ··· 63
표 북관음악 공척보의 박 부호표
< 16> ··· 64
도판 차례
< >
도판 대만과 중국의 지도
< 1> ··· 16
도판 북관음악이 흥성한 지역
< 2> ··· 16
도판 북관 세곡의 공연 형태
< 3> ··· 42
도판 가곡의 공연 형태
< 4> ··· 44
악보 차례
< >
악보 곡명과 곡패체의 표기
< 1> ··· 28
악보 곡패체의 표기
< 2> ··· 28
악보 벽파옥 곡패체 기본 형태와 가락선
< 3> ··· 29
악보 소군화번 이패 에서 사용하는 제현의 음역대
< 4> < > ··· 35
악보 소군화번 이패 에서 사용하는 화현의 음역대
< 5> < > ··· 35
악보 소군화번 이패 에서 사용하는 삼현 음역대
< 6> < > ··· 36
악보 소군화번 이패 에서 사용하는 양금 음역대
< 7> < > ··· 36
악보 소군화번 이패 에서 사용하는 적자의 음역대
< 8> < > ··· 37
악보 가성사창법과 분해자음창법 예시
< 9> ··· 48
악보 여창 우조 두거 악보
< 10> < > ··· 56
악보 조구 세구 두거의 발성 시 음고
< 11> , , ··· 61
악보 북관음악 공척보의 박
< 12> ··· 65
악보 가곡의 기본 장단 점 박 장단 역보
< 13> (10 16 ) ··· 66
악보 우조 두거 의 스케일
< 14> < > ··· 67
악보 소군화번 이패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 간의 관계< 15> < > ··· 70
악보 우조 두거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 간의 관계 제
< 16> < > (
마디
20~25 ) ··· 71
악보 우조 두거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 간의 관계 제
< 17> < > (
마디
26~29 ) ··· 72
악보 소군화번 이패 제 마디 총보
< 18> < > 1~4 ··· 73
악보 소군화번 이패 제 마디 총보
< 19> < > 5~8 ··· 74
악보 소군화번 이패 에서 악기끼리의 음악적 구성 관계< 20> < > ·· 76
악보 우조 두거 에서 악기끼리의 음악적 구성 관계
< 21> < > ··· 77
악보 우조 두거 대여음 제 마디
< 22> < > 8~13 ··· 78
I. 서 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문화교류가 늘어가는 21세기에 아시아의 전통음악은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각 나라별로 독특한 문화 배경에 따라 그 나라 고유의 음악양식이 나타. 나며 시대에 따라 다른 연주 형식과 악기가 발생하였다 이 중 대만과 한국에 , . 비슷한 연주 형식을 가진 음악 양식이 있다 대만의 남관음악. (南管音樂)과 북 관음악(北管音樂), 한국의 가곡이 그것이다.
남관음악과 북관음악은 모두 중국에서 유래하였다 남관음악은 중국 . 동남부 지역 복건성 남부 지역에서 유래하였고 북관음악은 중국 북쪽 지역에서 유래, 하였다 대만의 남관음악 은 중국의 남음. ‘ ’ ‘ (南音)’과 그 용어만 다를 뿐 음악적 인 면에서 동일하다 중국 남음. (南音)1)은 중국 동남부 지역의 복건성‘ (福建省) 남부 지역 사람들과 해외에 거주하는 민남(閩南) 사람들의 문화를 담고 있는 음악 이며 현재는 중국과 ’ , 동남아 국가의 화교사회에서 그 전통이 이어져 내려 오고 있다 중국 . 민남 지역의 사회생활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남음(南音) 은 음악의 신‘ ’인 맹창(孟昶)을 기리기 위한 봄·가을 축제와 결혼식 장례식 들, , 녘이나 시장 거리에서 , 벌어지는 흥겨운 축제 행사 등에서 연행된다 이에 비. 해 대만의 남관음악은 낭군제(郎君祭)2)와 여러 제사(祭祀)음악에만 쓰이고 있 어 연행목적에 차이가 있다.
북관음악 은 중국에서 전승되는 북관음악 과 대만에서
‘ (北管音樂)’ (北管音樂)
전승되는 북관음악(北管音樂)의 양태가 다소 다르다 중국의 북관음악은 . 실내 악 구성만 존재하지만 대만의 북관음악(北管音樂)은 실내악을 포함한 가지 4 구성의 음악이 존재한다. 또 고대 민속음악으로부터 전래된 시가(詩歌)가 가
1) 남음은 남관음악을 의미하기도 하고 남관음악을 연행하는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沈冬, 『南管音樂體制及歷史初探』, 台大出版中心, 2005.
2) 낭군제 의식 제사의 대상은 : 낭군(郞君)와 선현(先賢)이다. 낭군은 맹부낭군(孟府郎君), 선현(先賢)은 관각(館閣) 들어가신 관원(館員)을 의미한다 음악 분야에서 . 신격화 된 선 현의 제사를 지내기도 하고 음악을 가르치기도 하는 관곽은 한국에서 제사와 교육의 기능이 있는 사당과 흡사하다. 林珀姬, 『南管曲唱研究』, 文史哲出版社, 2004.
극, 인형극 등에 보존 전승되고 있는데 이러한 공연 예술에도 북관음악이 사용 된다.
북관음악은 고취악인 패자“ (牌子, pai chi)”, 사죽악(絲竹樂)인 현보“ (絃譜 )”3), 희극류(戲劇類)인 “희곡4)(戲曲)”, 예술가곡(藝術歌曲)인 “세곡(細曲)”5)으 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 가악은 . 희곡과 세곡이 있고, 희곡과 세곡은 곡사
가사 와 방백
(曲辭; ) (謗白)6)이 들어 있는 음악형태이다 그 중에 . 희곡(戲曲)은 창자가 다수 출연하고 연극적인 요소가 들어간 성악곡이고 세곡, (細曲)은 한 사람의 창자가 관현악 반주와 함께 연주하는 성악곡이다.
세곡은 노래를 중심으로 반주악기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연주하는 것이 중요한 악곡이다 한국의 전통 음악 중 . 노래를 중심으로 반주악기가 서로 조화 된다는 점에서 세곡과 비교할 만한 특징을 가진 곡으로 가곡이 있다 한국 전. 통음악의 가곡은 관현반주(管絃伴奏)에 맞추어 시조시(時調詩)를 노래하는 성 악곡의 하나이며 모두 , 27곡으로 이뤄지는 큰 규모의 곡이다 남창과 여창의 . 구별이 있어서 실제의 곡목은 여곡이 40 넘는다.7)
북관음악의 세곡과 한국의 가곡은 두 나라의 예술음악8)에 해당하며, 노래 중심의 음악이 기악 반주를 수반하는 노래로서 기악과 성악이 조화를 이룬다, 3) 현보(絃譜) 또는 보( )譜라고 부른다 북관현보는 순 기악곡이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 . ,
곡명은 표제음악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패자음악과 두 . 종류 다 기악 중심으로 구성 되었지만 패자음익은 지금까지 아직 곡사(曲詞) 남았다 현보의 곡식은 . 단장(單章)과 연투(聯套) 형식으로 구성된다 현보는 관 현악기 . 포함되어 현악기 제현 중심으로 사 죽음악 방식 진행한다. 呂錘寬, 台灣傳統音樂概論 器樂篇, 五南出版社,2007.
4) 희곡(戲曲)은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극위주의 장르이다 북관희곡은 분선희. (扮仙戲)와 고로희(古路戲)와 신로희(新路戲)가 있다 분선. 희는 정극이 시작하기 전 축복하기 위한 의식극이고 고로, 희와 신로희는 대만에 전해진 시기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먼저 들 어온 것이 고로희, 나중에 들어온 것이 신로희에 해당한다. 呂錘寬, 台灣傳統音樂概
, 2007.
論 歌樂篇 五南出版社,
5) 세곡(細曲)의 세( )細는 세밀하다는 의미이고 이는 공연의 기교와 , 줄거리 구성의 세밀 함을 의미한다 세곡은 관현악기의 반주에 독창하는 형식으로. , 노래가 공연을 이끈다. 특히 세곡 중 소패류(小牌類) 곡조는 명 청시기로 거슬러 올라가 그 시대의 속요에서 부터 반전한 것으로 본다. 呂錘寬, 台灣傳統音樂概論 歌樂篇, 五南出版社, 2007.
6) 방백: 연극에서, 등장인물이 말을 하지만 무대 위의 다른 인물에게는 들리지 않고 관 객만 들을 수 있는 것으로 약속되어 있는 대사 판소리의 아니리의 해당. .
7) 김영운 국악개론『 』, 음악세계, 2015
8) 예술음악은 직업적인 전문음악인이 연주하는 음악을 가리킨다 대부분 예술음악은 기. 교적으로 세련되었고 정서적으로 깊은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음악적 요소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짠 작품이다 한국 예술음악의 대표. 적 장르로는 판소리, 산조, 잡가 등이 있 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20 . 쪽
는 점에서 비슷하다. 더욱이 대만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직접적인 교 류는 없을지라도 주변국을 통한 간접적인 문화 교류와 접촉이 가능하여 비슷 한 음악 양식에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더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서 말한 중국 남음과 북관음악 세곡은 그 기원이 원나라, 명나라, 청라나 의 잡극, 전기, 희곡에 있다는 점이 공통적이나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차이를 보이며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한국의 가곡에서 보이는 . 노랫말의 특성과 공연 방식 등이 중국의 전통음악인 남음과 유사하다는 선행연구는 있으나 북관음악 과 한국 가곡의 유사성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대만과 한국의 전통노래를 비. 교한 논문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관음악 세곡과 한국 전통성악안 가곡을 . 비교하여 음악적인 특징에서 어떤 유사한 점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 이다.
2. 선행연구 검토
본 연구와 관련된 중국 및 대만의 음악과 한국의 음악을 비교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현경채는 중국 고금과 한국 거문고에 기보법의 비교(中「 國古琴與韓國玄琴的 에서
)
技譜法之比較 」 9) 의해 중국의 고금 감자보(減字譜)과 한국의 현금의 합자 보(合字譜)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고금의 감자보과 거문고의 합자보는 같은 계 통임을 알 수 있음을 밝혔다.
이진원은 중국 「 퉁소음악문화 연구(中國洞簫音樂文化硏究)」10)에서 의해 퉁 소를 중심으로 한 중국음악의 특징과 한국과의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중. 국 복건(福建) 남음의 <梅花操>와 한국의 천년만세 중에 <兩淸還入> 을 비교 하였다 한국 . 단소의 가락과 중국 남음 퉁소의 가락을 비교하여 음악 특징(박 자 가락 구조 등 을 , ) 밝히고, 송나라의 사악(詞樂) <보허자 중 > 퉁소류 악기의 음악은 한국에 전한 일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인평은 중국 남음과 한국 가곡은 비슷한 공통점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장르 음악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중국 남음의 역사 악기와 . , 악대 편성법, 악조 관문; (管門), 장단 요박; (撩拍), 분류법; 곤문(滾門), 형식과 가락 전개 수법, 중국 남음의 사회적 기능을 논하였다.11)
송혜나는 한국음악의 고유성에 관한 「 일 고찰 한국과 중국의 전통악기가 - 지닌 연주법의 비교를 중심으로」12)에서 한국 악기의 원류로서의 중국악기와 그것으로 부터 비롯된 한국악기를 비교하여 한국음악의 정체성을 밝혀보고자 시도하였다.
팽려영는 한국 가야금과 중국 「 21현 고쟁의 연주법 비교: <우륵의 춤>을 중심으로」13)에서 동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이동 가능한 브리지(안족)를 가진 가
9) 현경채, 「中國古琴與韓國玄琴的技譜法之比較」, 國立台灣師範大學, 1989.
10) 이진원, 「중국 퉁소음악문화 연구」, 중국 중앙음악학원 음악박, 사, 2002
11) 전인평, 「한국 가곡과 중국 남음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음악과 문화 Vol.15, 2006.
12) 송혜나, 「한국음악의 고유성에 관한 일 고찰 - 한국과 중국의 전통악기가 지난 연주 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 문화연구원, 2009.
13) 팽려영, 「한국 가야금과 중국 21현 고쟁의 연주법 비교: <우륵의 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다란 지터류 악기 중 한국의 가야금과 중국의 고쟁은 외형뿐만 아니라 구조와 연주를 비슷하다고 주장하였다.
조해주는 한국의 가곡과 중국의 남음 비교연구「 」14)에서 의해 한국 가곡과 중국 남음은 선비계층의 음악이고 발음법, , 관련 기악곡 등을 비교하여 차이점 과 공통점을 밝혔다.
윤은화 양미지는 한국과 중국의 양금 기보법 비교연구 개량양금 기술표‧ 「 : 현체계 개발을 전제로」15) 에서 중국의 개량양금과 한국의 전통양금 개량양금, 의 표현기법과 그 기호체계를 연구 정리하였다 중국에서는 . 실정에 맞는 개량 양금을 활용한 다양한 표현기법이 있었고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 루어져 정확한 연주법 교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한국의 , 18현 개량양금은 연주자마다 표기가 달라 통일된 표현체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윤소희는 「범패의 우격과 율조 변화 에서 영남범패와 대만범패를 비교하는 」 연구16)하였다 대만은 각각 독립된 장르를 이루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한곡. , 을 여러 방식으로 늘이거나 줄여서 낭송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 차이 는 대만에서 승려와 대중이 함께 노래 부르는 반면 한국에서는 승려 혼자 노래 하며 의식의 특성에 따라서 낭송조가 바뀌는 데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중국의 악기와 연주법을 연구한 사례는 꾸준히 있어 왔고 중국 남음과의 비 교는 더러 있어왔으나 현재까지 대만 전통음악이 소개되거나 교류된 바가 많, 지 않았고 대만과 한국의 전통음악을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대만의 북관, . 음악은 물론이거니와 대만의 전통 음악이나 악기를 비교하거나 소개한 사례는 비교적 소략하다. 또한 대만 전통음악의 장르적 특성이나 음악 전문 용어에 대 한 인식도 부족하다.
본고의 연구주제인 한국 가곡과 대만 세곡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17) 14) 조해주, 「한국의 가곡과 중국의 남음 비교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15) 윤은화 양미지 음악과 문화· , Vol. 32, p.137, 2015.
16) 윤소희, 「범패의 우격과 율조 변화」, 정토학연구 제 23 , 집 한국정토학회, 2015.
17) 세곡과 가곡의 개별 연구는 각 나라에서 진행되어 왔다 그 .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북관음악이 중국에서 전래된 음악이기에 중국 전통음악과 북관음악과 비교하기에 . 앞서 우선 중국 남음과 한국 전통음악의 비교 연구 사례를 살펴보았다 한국과 중국은 . 지리상 가까워 양국의 학습 배경을 갖고 있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양국의 전통음악 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세곡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대만에서 이루어졌으. 며 그 중 중요한 , 몇 편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莊雅如, 「台灣北管藝人所唱細曲初探─以曲文溯源及曲種比較為主」, 國立台北藝術大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가.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세곡 중에 소군화번 이패 와 여창가곡 우조 두거 를 대< > < >
상으로 한다 연구대상으로 세곡 음악을 선정한 이유는 한국 가곡과 비슷한 연. 주 형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세곡은 성악 중심으로 . 노래를 하면서 기악 반주를 한다 한국 가곡도 성악곡인데 노래 중심으로 . 노래를 부르면서 기악 반 주를 한다 세곡 중 소군화번 을 선택한 이유는 소군화번. 《 》 《 》18)이 단독곡이 아 니고 여러 가지 악곡을 합쳐서 한 곡이 된 것인데 이런 형식은 한국 가곡의 악 곡 형식과 가장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범위는 세곡과 가곡의 현재의 갈래적 특징과 역사적 형성과정 악, 기편성과 공연형태를 살피고 그 음악적인 특징을 가사와 가사처리방식 , 및 발 성법 박자와 악조 반주음악을 통해 살펴볼 , , 것이다 양국 음악에서 각 악기의 . 역할과 특성에 대하여 현악기 관악기, , 타악기를 모두 살펴보고 각 악기의 역, 할 분배(分配)를 살펴보고자 한다. 노래와 반주악기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비교 대상 악기로는 모두 비교하여 반주 악기의 역할을 비교해보겠다.
연구 대상인 소군화번 이패 는 대만 국립타이베이 예술대학교 전통음악학< >
과에서 출판한 북관 세곡 Ⅱ중에 북관 세곡 소군화번 이패 의 < > 채보악보를 중심으로 비교할 것이다. 명인들의 연주 대신 현재 학생들이 연주하는 음반을 선택한 이유는 대만 예인들의 음반은 명인 본인이 하나의 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경우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 인 합주 연주 음원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여창 가곡은 국립국악원에서 . 출간한 정간보를 필자가 역보한 것을 기준으로 진행할 것이다 가곡은 한국 전통 음악.
, 2003.
學
潘汝端, 「北管細曲 昭君和番 聯套之文本與音樂〈 〉 結構初探」, 『關渡音樂學刊第九期』, p.45-90 2008.
여창 가곡 두거 관련된 연구는 박사논문 두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이수진 남창가곡 노래 가락과 거문고 주법의 비교연 한양대학교
, 「 」, , 2015.
조수현 가곡의 가락형 연구 서울대학교
, 「 」, , 2014.
18) 소군화번 의 이야기는 많은 대만 국민들에게 《 》 잘 알려져 대표성을 띈 곡이도 하다.
으로 표본으로 삼을 수 있는 국립국악원의 악보19)를 기준으로 하였다.
나.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비교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세곡 소군화번 이패 와 여창가곡 . < >
우조 두거 는 각각 전통의 갈래음악을 대표할 수 있는 악곡으로 여러 측면에
< >
서 비교할 수 있다.
제 장에서는 북관 세곡과 한국 가곡의 갈래적 특성 형성과정 악곡 구성Ⅱ , , 과 전주곡의 형태 이러한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의 특성과 배치 공연형태를 , , 살펴본다.
첫 번째, 대만 세곡과 한국 가곡이 현재 각국의 전통음악 중에 어떤 음악적 갈래에 속해 있는지 살펴보겠다.
두 번째, 역사적으로 대만 세곡과 한국 가곡이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세 번째, 대만 세곡과 한국 가곡은 모두 전주곡이 포함되어 있는데 전주곡이 어떻게 쓰이는지 설명하고 고찰할 것이며 악곡을 구성하는 방식을 살펴보겠, 다.
네 번째, 세곡과 가곡에 쓰이는 악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편성 반주 악기. 의 역할이 악기 모양이나 분류에 따라 1:1 비교가 안되므로 악기의 역할에 맞 게 비교할 것이다 공연형태도 . 함께 비교해 보겠다.
제 장에서는 구체적인 악곡을 통해서 세곡과 가사의 음악적인 특징들을 Ⅲ 도출하였다. <소군화번 이패 와 우조 두거 의 가사와 가사 > < > 내용 분석, 발성 법과 가사처리방식, 박자와 악조 반주음악에 대해 비교해 보았다, .
첫 번째, 노래 연구에서 반드시 연구되어야 하는 것이 가사인데, 세 가지 측 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각 음악에서 가사로 . 쓰는 언어의 특징 음악에서 가사, 를 발음할 때 처리하는 방식 가사의 , 내용이다 특히 대만에서는 가사를 . 처리 하는 방식을 명명하는 용어가 있어 이를 가곡의 가사처리 장식과 비교해 볼 수 19) 해금정악보『 』, 국립국악원, 2015; 『거문고정악보』, 국립국악원, 2015; 崔忠雄, 『가야
금정악보』, 은하출판사, 2010; 『대금정악보』, 국립국악원, 2016.
있다.
두 번째, 가사를 노래로 부를 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발성법이다 대만 세. 곡과 한국 가곡에서 쓰이는 발성법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번째, 세곡이 기보된 공척보와 가곡이 기보된 정간보를 참고하여 북관 , 세곡의 노래가락과 각 반주 가락에서 진행에서 출현하는 주요음을 파악하였고, 역보한 가곡의 악보를 통해 출현음과 악조를 파악해 이를 비교해 보았다.
네 번째, 제 장에서 살펴본 악기의 특징을 기반으로 반주음악의 특성을 노Ⅱ 래 가락과 악기 가락사이의 관계 악기 가락끼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 다 대만 세곡과 한국 가곡은 . 완전히 같은 음악이 아니기 때문에 가락을 대상, 으로 비교할 수 없어서 비슷한 연주 형식으로 비교한다 반주 악기와 . 노래가락 의 상호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는 가곡의 노래가락과 반주악기의 관계를 살펴보겠다 악기 가락 모두를 . 노래 가락과 비교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어서 세곡 반주 음악의 중심악기에 해당하는 제현만을 선택하여 비교하였으며 가곡, 에서는 제현에 해당하는 해금 가락과의 관계를 고찰할 것이다 비교 순서는 북. 관 악기에서 배치를 중심으로 한다 북관 반주 악기는 중요 순차로 배치한다. .
우선 비교대상이 되는 악보는 세곡은 , 2000년 출판된 북관 세곡의 공척보 골음20)를 연주하는 음반을 채보하였고 가곡은 , 합주 형식으로 연행되지만 총 보가 없어 각 악기의 정간보를 역보하였다 북관음악 계통의 악보는 전체적으. 로 상대음계를 쓰고, 실제 연주할 때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음역 음고 를 사용한( ) 다 따라서 대부분 공척보의 음고를 역보하고 역보할 때에는 . , C Major로 기보 하였다. 박자는 무 박자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공척보의 일판삼요21) 박자로 기보하였다 한국 전통 가곡은 로 기보를 하
(一板三撩) 4/4 . Ab major
며, ‘솔(e♭)-라(f)-도(a♭)-레(b♭)-미(c)’의 음계를 사용하였다.
세곡의 곡명을 지칭할 때는 다음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였다 곡패명은 을 . 【】
사용한다.22) 예시로 소패 중 【벽파옥】 【, 쌍접취】, 대패 중 대패【 】 【, 두패 등】 20) 대만 전통음악에서는 골음(骨音), 골간음(骨幹音)이라고 하며 한국에서는 , 골격음이라
한다 모두 선. 율의 뼈대[ ]骨를 가리킨다.
21) 한국어에서는 두음법칙에 따라 초성 ㄴ ㄹ이 , 첫 음절에 올 때 ㅇ으로 바뀌나 본고, 에서 ' / '료 요는 ' '요로 통일하여 쓰겠다.
22) 이는 대만 전통 악보에서 쓰는 기호로 원래는 곡패명과 하나의 곡패로 된 단일 악곡
이 있다 여러 곡패가 하나의 악곡을 이루는 연투의 악곡명은 을 사용한다. 《》 . 예로 소군화번 이 있다《 》 . 단곡의 악곡명이나 연투 중 하나의 악곡을 지칭할 때
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소패 단곡으로 도화찬 천산묘
<> . , < (桃花燦)>, < (青山
등이 있고 대패 단곡으로 소하월하추한신 고별 등
)> , < ( )>, < >
渺 蕭何月下追韓信
이 있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소군화번 은 연투이므로 . ‘ ’ 단독으로 연투를 지칭할 때는 소군화번 이라고 하였으나 이패 만을 지칭할 때는 소군화번 이패 로 《 》 【 】 < >
사용하였다.
본고에서는 대만의 전통음악에서 전문용어를 그대로 차용하여 쓴 경우가 많 은데 다음과 같다.
골음 은 대만 공척보에 나오는 선율의 중심 음을 의미한다 공척보는
‘ (骨音)’ .
대만 전통음악을 기보하는 악보로 특정 한자를 사용하여 약속된 음높이를 표 시하는 기보법이다.
곡패 는 단일 악곡을 의미한다 곡패체 는 소패에서 정해진 가락의 곡조를
‘ ’ . ‘ ’
의미한다 이를 소패균. ‘ ’이라고도 한다.
창법 은 가사를 발음하는 방법이라는 의미로 노래를 발성하는 방법을 의미
‘ ’
하는 한국의 창법‘ ’과 그 의미가 다르다 본고에서는 대만식 창법. ‘ ’이라는 용어 를 발음방법과 가사처리방법을 설명하면서 다음의 두 경우에 사용하였다 가. ‘ 성사창법’은 노래를 부르면서 가사의 발음이 어렵거나 가락선이 많아서 음시가 가 길 때, 쉽게 가락을 노래할 수 있도록 의미가 없는 성사를 추가로 넣어서 노래하는 방법이다 분해자음창법. ‘ ’은 노래를 부를 때 가사의 음절을 분해하여 노래하는 것이다.
현보 는 세곡의 한 갈래로 현악기 제현 중심이 된 사죽 형식 즉 관현악기가
‘ ’ ,
연주하는 기악곡이다 세곡의 전주곡으로 . 쓰인다.
연투 는 여러 작은 악곡이 하나의 큰 악곡을 이루는 것으로 소패가 두 개
‘ ’ ,
이상 모인 곡일때 쓴다 현보에서는 연곡 이라고도 한다. ‘ ’ .
세곡의 가사를 표기할 때는 한자 대만식 ‘ ( 표기 한글 , 표기 로 )’ 쓰고 음악용, 어를 표기할 때는 한글(한자 대만식 발음 로 , ) 쓴다.
명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II. 북관 세곡과 한국 가곡의 갈래적 특징
세곡과 가곡은 각 음악의 갈래적 특성을 가지므로 음악외적인 특성을 비교 해 볼 수 있다 각 갈래 곡은 역사적인 형성배경에 따라서 분류되고 구성되어 . 현재의 음악에 이른다 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형성배경과 악곡구성을 살펴보. 고, 또한 이에 따른 공연형태와 이에 쓰이는 악기의 역할을 살펴보도록 하겠 다.
1. 북관음악과 정악의 갈래
세곡과 가곡을 비교하기에 앞서 현재의 두 음악의 갈래적 특성을 파악하기 , 위해 북관음악과 정악이 어떠한 세부 갈래를 가지며 세곡과 가곡이 어떤 위치, 를 차지하는지 알아보겠다.
가. 북관음악의 갈래
북관음악은 크게 기악과 성악으로 나눈다 기악은 패자. (牌子) 세 가지와 현 보(弦譜) 한 가지로 성악은 , 희곡(戱曲)과 세곡(細曲)으로 나눈다.
(1) 기악
북관 패자는 지곡(支曲)23), 단곡연장(單曲聯章), 연투(聯套) 세 가지 종류로 나눈다.
지곡은 단일 악곡으로 이뤄진 패자이다 예를 들어 대감주가. 【 (大甘州歌)】가 있다.
단곡연장(單曲聯章)은 악장으로 구성된 악곡이므로 삼조궁3 , ‘ (三條宮)’이라 부른다 삼조궁은 모신. (母身), ( ), ( )청 清 찬讚의 세 가지 지곡으로 이루어졌다. 삼조궁(三條宮)의 이름은 첫 번째 지곡의 이름을 따서 부른다 예를 들어 . 《감 23) 지곡은 악장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주가 는 》 【감주가 모신(甘州歌 母身) , 】 【감주가 청(甘州歌 清) , 】 【감주가 찬(甘 으로 구성되어 있다
) .
州歌 讚】
연투는 여러 개의 곡패로 구성되는 악곡이다 연투 패자는 대. ‘ 궁패자(大宮牌 라고도 하는데 여러 지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성하는 악곡의 수가 일정하 )’
子
지 않다 연투 패자를 . 명명하는 방법은 지곡의 수 또는 패자를 쓰는 용도에 따 라 정한다 예를 들어 . <십패(十牌)> 악곡은 총 10개의 장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 희곡(戲曲)의 이름을 이용하여 도기‘ (倒旗) 패자 라 한다 그리고 첫 번째 지’ . 곡의 이름을 따라 연투의 곡명으로 사용한다.
패자의 악기는 관악기, 타악기로 구성되는데, 유일한 가락악기로 소나[嗩 ]
吶24)가 있다. 타악기는 소고(小鼓), 통고(通鼓), 대라(大鑼), ( ), 라 鑼 대초(大 소초 향잔 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고는 두수고 라 불
), ( ), ( ) . ‘ ( )’
鈔 小抄 響盞 頭手鼓
리는 북으로 지휘역할을 한다 통고는 이수고. ‘ (二手鼓)’라 하고 두수고의 리듬, 을 더 풍부하게 만든다 소나는 다른 관악기와 달리 농취. ‘ (弄吹)’라는 순환호흡 법을 사용한다.
북관 현보는 단일 종류이다 보. ‘ ( )’ 譜 또는 현보‘ (絃譜)’라고 불리며 현악기, 와 관악기로 합주하는 형태이다.25) 보는 형식에 따라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 의 악곡으로 이루어진 ‘단장현보 여러 악곡으로 이루어진 연장현보 가 있다’, ‘ ’ . 보의 악기는 제현 화현 삼현 북관 양금 적자로 구성된다 성악곡의 반주 음, , , ( ) , . 악, 희곡의 중간에 사용되며 고쟁, (古箏), 생황(笙簧), 월금(月琴) 등 가락악기 가 추가될 수 있다.
(2) 성악
북관 희곡 연극( )은 동작과 함께 노래하는 부분(唱窓)과 반주음악으로 구성된 다. 희곡의 종류는 분선희(扮仙戱), 고로희(古路戱), 신로희(新路戱) 세 가지가 있다.
분선희는 희곡을 시작하는 의식이다 북관음악 연주할 때 여는 . 프로그램인 데 신에게 , 감사하는 마음을 올려드리는 것이 대부분이고 하늘의 , 신이 내려와
24) 민간에서는 대취‘ ’라고도 부른다 한국에서는 태평소. , 쇄납이라고 부른다.
25) 사죽합주 즉, 현악기와 관악기의 합주 형식은 대만 전통음악에서 대부분 쓰이는 반주 형식이다 남관음악의 보에서도 . 쓰인다.
서 음식을 먹고 이 땅의 백성을 축복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주로 . 신과 관련되 어 있지만 신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경우도 있다 분선희는 의식음악으로서 . 낮 에만 연행한다.
고로희는 신로희와 대조되는 이름으로 고로희는 구로, ‘ (舊路)’라고도 하고, 복로 신로희는 서피 혹은 서로 라고도 한다
‘ (福路)’, ‘ (西皮)’ ‘ (西路)’ .26) 고로희와 신로희는 낮에 연주하기도 하고 밤에 연주하기도 한다.
세 가지 희곡은 언어 반주악기 연주형태가 같다, , . 언어는 정음‘ (正音)’과 관‘ 화(官話)’27)를 쓰며 반주악기는 패자 반주악기와 세곡의 반주악기를 모두 아, 우른다 고로희의 중심악기는 제현. (提絃)이고, 신로희의 중심악기는 경호(京胡) 이다 이 두 악기는 동일 연주자가 연주하는데 중심악기를 통해 고로희와 . 신로 희를 구별할 수 있다. 연주형태는 경극처럼 과장된 화장과 무대동작을 하는 방식과 무대 위에 악사들이 반원형태로 앉아서 연주하는 방식이 있다 연주하. 는 악대는 위치에 따라 무대 위에 자리하는 전장음악(前場音樂)과 무대 뒤에 자리하는 후장음악(後場音樂)으로 구분된다 전장음악은 배우가. , 후장음악은 악사가 담당한다.
희곡의 대본은 ‘총강(總綱)’이라 부른다. 총강에는 역할마다 가사 대사 곡, , 패 간주음악, , 무대동작이 포함되어 있다 고로희는 . 205개의 총강이 있고, 신 로희는 110개의 총강이 있다. 총강에는 전본희(全本戱)와 단자희(段子戱)가 있 다 전본희. (全本戱)는 대본희(大本戱)라고도 하며 완전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단자희(段子戱)는 절자희(折子戱)라고도 하는데 부분적인 내용이 담겨있으며 이는 희곡 전체 내용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북관 세곡은 주로 독립식 대패 독립식 소패 대소패 연투 소곡, , , 28)이 있는데 상세한 설명은 제 장의 Ⅱ “3. 전주곡 및 악곡구성 중 ” “(1) 세곡의 악곡 에서 ” 기술하겠다.
26) 고로희와 신로희의 명칭으로 보아 형성된 시대의 선후는 알 수 있으나 정확한 시기 는 알려진 바가 없다.
27) 관화는 명나라와 청나라를 통치하는 지배계층에서 썼던 언어로 방언이 많은 중국에 서 표준어 역할을 하였다 정음의 의미는 정확한 발음이라는 . 뜻이다 주로 지식. 층이 소통하는 언어를 뜻한다.
28) 그 밖에 세곡의 종류에는 중국에서 경극보다 앞서 발달한 전통극에서 유래한 곤강(崑 이 있다 곤곡 이라고도 한다
) . ( ) .
腔 崑曲
나. 정악 풍류음악 의 갈래 ( )
정악은 민간의 상류층에서 개인의 성정을 다스리고 음악을 즐기기 위해 취 미삼아 연주되어 오던 음악이다 이러한 음악이 연주되는 . 곳을 풍류방, 율방이 라고 한다 아정한 음악이라는 . 뜻의 정악 의 ‘ ’ 좁은 의미를 일컫기도 하다.
(1) 기악
풍류방에서 연주되던 기악곡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양금 등 , , 줄로 된 현악기가 주를 이루고 단소 세피리 대금 해금 장고 등의 악기가 상황에 따, , , , 라 곁들여진다 대표 기악곡인 영산회상 은 원래 . 《 》 궁중음악에서 가사가 있는 무용반주음악이었으나 가사가 , 탈락되고 기악화되어 민간에 전승되었다가, 18 세기 다양하게 변주되어 세기 19 후반에 아홉곡의 모음곡이 완성되었다. <상령 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더리>,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 드리>, <타령>, <군악> 9곡이 느린 곡부터 점차 빨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 악기 중심이기 때문에 《줄풍류 라고도 한다 영산회상》 . 《 》 뒤에 이어지는 계면<
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의 > 《별곡 을 》 《뒷풍류》 혹은 《천 년만세 라고도 부른다》 . 《영산회상 의 파생곡으로는 》 낮은 곡으로 변주한 평조《 회상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대풍류 가 있다 영산회상》, 《 》 .《 》 외에도 풍류방의 대 표곡으로 도드리< >, <여민락 등의 악곡이 있다> .
(2) 성악
풍류방에서 스스로를 돌아보며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 부르던 성악곡을 정‘ 가(正歌)’라 한다 정가에는 한국의 고유한 시조시에 곡을 . 얹어 부르는 시조(時 와 가곡 긴 사설을 노래하는 가사 가 있다 노래를 잘 하는 사람
) ( ), ( ) .
調 歌曲 歌詞
을 가객‘ (歌客)’ 혹은 ‘율객(律客)’이라 불렀다. 느린 곡조에 맑고 청아한 음색 으로 절제된 시김새를 사용하여 노래하기 때문에 한가롭고도 꿋꿋한 맛이 느 껴진다.
시조는 조선시대에 성립된 초장 중장 ‧ ‧ 종장 장 구성의 시에 가락을 3 얹은 것으로 음악적 형식과 노랫말 형식이 동일하다 시 형식만 있고 음악이 없는 . 시조 시 와 구별하기 위해 시조창 이라고도 부른다 시조는 하나의 가락에 여( ) ‘ ’ . 러 가지 시조시를 부를 수 있으나 현재는 몇 가지만 전하여지고 있다 시조의 . 제목은 대개 노래의 첫음절을 따서 부른다. 느린 박자에 음 음계로 구성되며 3 장식음이 많지 않아 절제된 무릎 장단이나 장구반주만을 곁들이기도 하고 세 악 편성의 반주가 따르기도 한다 장단은 . 5박과 8박이 섞여 있다.
가곡은 시조창과 같은 시조시를 부르지만 장으로 구성된다 제 장과 제 5 . 3 4 장 사이에 중여음 이 들어가며 제 장 다음의 대여음 이라 부르는 간주가 들‘ ’ 5 ‘ ’ 어가 연창할 때 전주 역할을 한다 남창 곡과 여창 . 26 15곡의 총 곡이 전한41 다 거문고 가야금. , , 단소 대금 세피리 해금 장구 등 세악 편성의 반주로 연, , , , 주되며 장단은 , 16박과 10박이 쓰인다.
가사는 사설의 길이가 일정치 않아 사설마다 가락이 조금씩 다르다 연주형. 태가 비교적 자유로워 민요의 화려하고 섬세한 시김새를 넣기도 하며 시조와 , 가곡에 비해 장단과 가락이 훨씬 자유롭다 정해진 가락으로 반주하는 가곡과 . 달리 수성가락으로 반주한다. <춘면곡(春眠曲) ·> <백구사(白鷗詞) ·> <황계사
죽지사 양양가 어부사 길군
(黃鷄詞) ·> < (竹枝詞) ·> < (襄陽歌) ·> < (漁父詞) ·> < 악> <· 상사별곡(相思別曲) ·> <권주가(勸酒歌) ·> <수양산가(首陽山歌) ·> <처 사가(處士歌) ·> <매화타령(梅花打令)> 등의 12곡이 전하여 흔히 ‘12가사 라 ’ 부른다. 언제 발생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영조 이후 , 불렸을 것으로 추측하며,
어부가 가 가장 이른 시기에 불린 것으로 본다
< > .
2. 형성 과정
세곡은 북관음악으로서 중국에서 전래되어 대만에 정착되었다 현재 북관음. 악에 대한 문헌기록은 정확하게 남은 바가 별로 없으나 관련 유적을 통해서 , 유추해볼 수 있다 가곡은 한국의 자생 곡으로서 그 역사가 고려시대로 거슬러 . 가 긴 역사동안 분화되고 파생되어 현재에 이른다.
가. 북관 세곡
북관음악과 남관음악은 대만의 전통 음악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두 갈래이 다 남관음악은 중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음악 중 하나로 . 1000년 동안 천 주(泉州), 하문(廈門), 장주(漳州) 등 민남지역에서 전승되어 온다. 4세기와 13 세기 사이에 중국 중부의 음악 문화가 남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 지방 의 문화를 흡수하여 남음이 생성된 것이다.
역사적 배경을 보면 북관음악은 중국에서 대만으로 전승하였는데, , 현재 중 국에는 북관음악이 남아있지 않다 현재 대만에서 전승되고 있는 북관음악은 . 구성과 내용면에서 다른 음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독보적이다 그러나 북관. 음악은 복건(福建)지역에 전해지기 전의 기원을 현재까지는 알 수 없다. 20세 기 이전에 대만과 관련된 문헌 중에는 북관 용어가 없었고 대만의 ‘ ’ , 일본식민 지29) 시대에 문헌 자료 중에 북관 용어가 나타났다‘ ’ . 왕진의(王真儀)에 의하면 북관은 복건 이북 지역에서 전해내려오는 음악이다 그러나 . 언제 대만으로 전 하여져 지금까지 이어지는지 연구된 바가 없고 문헌에서도 정확한 기록을 , 찾 을 수 없다 여러 가지 주장이 있는데. , 북관음악이 청 건륭(清 乾隆,
과 가경 년간 대만으로 전해졌다는 주장이 있다
1735-1795) (嘉慶, 1796-1820) .
하지만 왕진의 등은 하정시기(荷鄭時期)30)에 북관음악이 이미 전해졌다고 주 장한다.
도판
< 1 의 장주> (漳州)31), 천주(泉州)32)는 민남(閩南)이라 불리는 곳으로 이 지역에 북관음악이 가장 많이 남아있었다 약 . 300년 전 장주, 천주의 민남 사 람들이 대만으로 이주하였다.33) 대만에서는 주로 기륭(基隆)34), 의란(宜蘭)35), 장화(彰化)36)등 세 곳에서 북관음악이 가장 흥성하였다 도판 .(< 2> 참조) 29) 1895년부터 1945년가지 일본식민지 시절, 대만 사람들이 일본시대가 부른다. 30) 하정시기(荷鄭時期)는 네덜란드[荷蘭]와 정성공(鄭成功)이 대만으로 항해했던 시기
년 년 를 말한다 (1662 ~1683 ) .
31) 중국(中國) 복건성(福建省) 남부(南部)에 자리 잡고 있는 도시(都市).
32) 중국 복건성 동남부의 도시 진강의 하구 북안. 에 위치하고 당나라때부터 상업항으로 개항했다.
33) 정확하게 쓰여 있는 기록은 없으며 추정할 뿐이다. 34) 대만 북부에 있는 대만에서 가장 , 큰 항구 도시.
35) 대만 북동부의 도시 대. 륙의 복건성(福建省) 이주자가 많다.
도판
< 1> 대만과 중국의 지도
도판
< 2> 북관음악이 흥성한 지역
대만에는 북관음악 관련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역사가 오래된 북관관각. ‘ (北 )’
管館閣 37) 또는 곡관‘ (曲館)’에서 대만 북관음악이 전승되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만 중부지방 태중시 남둔구 만화궁. (台中市南屯區萬和宮)의 북관관각 경락헌(景樂軒)의 유물 중 선배도에는 “건륭육년건치(乾隆六年建置)”
36) 대만 중서부에 있는 도시. 중국의 동해안 지역과 마주보고 있는 항구이다.
37) 북관관각은 음악적으로 신격화된 선현의 제사를 지내고 세곡을 배운 사람들이 모이 는 장소이다 보통 관각 . 또는 곡관이라 부르며, 절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관곽. 의 이 름에는 헌( ), ( ), ( ), ( ), ( ), ( )軒 원園 당堂 사社 각閣 재齋가 붙는데 이 이름은 관곽마다 전 해지는 유파를 뜻하기도 한다.
라는 기록이 있어 경락헌 관각이 성립한 시기를 1740년으로 추측할 수 있다. 즉, 경락헌 관각의 유적을 통하여 북관음악이 1740년 이전에 대만으로 전해진 사실을 알 수가 있다. 또는 장화시 북관관각 이춘원(梨春園) 정문 위에 있는 편액38)(匾額)에 쓰인 내용에 근거하여 이춘원은 1811년에 설립되었다고 입증 된다.
여러 유적과 유물 또는 북관관각의 성립 과정을 통해서 북관음악이 약 300 년 전에 대만으로 전하여졌음을 알 수 있다 세곡은 북관음악의 가악 중 하나. 이다. 노래 부르는 사람이 판( )板을 들고 노래하며 사죽, (絲竹) 반주 형식으로 연주한다 지금까지 세곡 관련된 연구를 보면 세곡은 . 곤강(昆腔), 세곡(細曲), 유곡(幼曲), 대소패(大小牌)등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세곡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곡 중 연투곡은 유월비상《 (六月飛霜) , 》 《왕파매 계(王雞罵婆) , 》 《출새(出塞) , 》 《타번(打番) , 》 《기봉(奇逢) , 》 《점회(店會) , 》 《화판
김인귀가 란가산 사범 사부
(花判) , 》 《 (金印歸家) , 》 《 (爛柯山) , 》 《 (思凡) , 》 《 (思夫) , 》 사추(斯秋) , 사반(思潘) , 소군화번(昭君和番) , 소군원(昭君怨) , 추강회
《 》 《 》 《 》 《 》 《
부회 박휴 오분 추한신 두초
(秋江會) , 》 《 (赴會) , 》 《 (迫休) , 》 《 (烏盆) , 》 《 (追韓信) , 》 《
소분 망서루 살석 방보 복양가
(鬥草) , 》 《 (掃墳) , 》 《 (望西樓) , 》 《 (殺惜) , 》 《 (訪普) , 》 《
비파사 번자가 화용도 어가락
(復陽歌) , 》 《 (琵琶詞) , 》 《 (番子歌) , 》 《 (華容道) , 》 《 (漁
련화료 성시미 수욕기 권우
) , ( ) , ( ) , ( ) , ( )
家樂》 《 蓮花鬧》 《 醒時迷》 《 繡褥記》 《 勸友》 등이다 세곡 중 . 단곡은 <칠조만(七調灣)>, <삼경천(三更天)>, <소남사(小南
소사범 소사부 소추강별 단계표향
)>, < ( )>, < ( )>, < ( )>, <
詞 小思凡 小思夫 小秋江別
고성회 우미인 과자가 승평곡
(丹桂飄香)>, < (古城會)>, < (虞美人)>, < (瓜子歌)>, <
청산묘 소시사 남사 춘경
(昇平曲)>, < (青山渺)>, < (邵詩詞)>, < (南詞)>, < (春景)>,
도화찬 기서 보천동경 매유랑
< (桃花燦)>, < (寄書)>, < (普天同慶)>, < (賣油郎)>,
취도 교별 번문선 달주구 팔판두
< (醉倒)>, < (橋別)>, < (翻門扇)>, < (躂珠球)>, < (八
단청화 월아고 사계경 백가춘
)>, < ( )>, < ( )>, < ( )>, < (
板頭 丹青畫 月兒高 四季景 百家
석류화 춘경 장군령 조천자
)>, < ( )>, < ( )>, < ( )>, < ( )>,
春 石柳花 春景 將軍令 朝天子
수구천 등이다 연투와 단곡을 합하면 총 곡이다
< (繡球天)> . 69 .
북관세곡은 내용에 따라 의식류 서정류 , 또는 서사류 세 가지로 나뉜다 의. 38) 편액 내용이 「昭和庚午年荔月下完為祝梨春園嘉慶辛未年歲創立百二十週年紀念」;
1930 1811
昭和庚午為 ,嘉慶辛末為 。 축 이춘원 가경 신미년 창입 120년 축하 기념.
식류의 곡목은 복양가《 (復陽歌) , 》 《성시미(醒時迷)》로 신을 존경하는 장소에서 쓰이고 특히 성시미, 《 (醒時迷)》는 조상(弔喪)을 할 때 쓰인다 서정류의 곡목으. 로는 대부분이 단곡 혹은 소곡이 있고 곡의 , 길이는 짧으며 이런 곡목은 많지 않다 연구에 의하면 소남사. < (小南詞)>, <천산묘(青山渺)>, <보천동경>, <매유 랑(賣油郎)> 등이 있다 세곡 중 서사류의 곡목이 제일 많고 세곡은 모두 서사. , 성을 갖고 있다 원래 서사 . 내용의 대부분이 원나라와 명나라 시기의 잡극(雜
전기 곡이었으며 소군출새 유월설 란가산 등이
) ( ) , ( ) , ,
劇‧ 傳記 《 昭君出塞》 《 》 《 》
있다.39)
문헌기록과 곡패의 특성에 따르면 대패와 소패의 차이는 곡패의 연투적 특 성이나 기원의 차이에 있다 악곡의 형식을 보면 소패가 가리키는 . 것은 【碧波
등 몇 개의 특정 곡패이다
, , , .
玉】 【桐城歌】 【數落】 【雙蝶翠】 40) 소패에 따라 정해지는 특정한 곡조를 소패균이라 한다 예를 들어 . 【碧波玉】이라고 되어있 으면 그 악곡은 , 새로운 가사에 【碧波玉】 곡조에 맞는(동일한) 압운41)을 갖추 어야 한다 다른 소패인 . 【桐城歌】 【, 數落】 【, 雙蝶翠】의 곡조도 저마다 그 특성 이 있다 반면 대패는 위 곡의 소재를 제외한 모든 곡을 . 4 말하는데, 음악구조 는 소패처럼 고정되어있거나 뚜렷하지 않다.
북관 세곡 중 소패와 대패의 또 다른 차이는 그 기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곡패의 명칭을 보면 소패는 명청(明淸)시대에 발전한 속곡소조(俗曲小調)42)에 39) 呂錘寬, 台灣傳統音樂概論 歌樂篇, p.183-184, 五南出版社,2007.
40) 從上述所言可知,大曲與小曲之別並非出自結構篇幅 而是樂曲的來源有所不同 此一, ; 說法,亦可以解釋北管細曲中的小牌與大牌在來源上可能的差異 從曲牌名稱來看。 ,小牌 明顯是屬於明清俗曲系統,而大牌雖然在音樂結構上不像小牌那樣固定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