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대만 북관음악 중 세곡을 한국의 가곡과 비교하여 보았다 북관 세. 곡과 여창 가곡의 갈래적 특징은 형성과정 악곡구성 악기편성과 공연형태로 , ,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고려시대 정과정에서 비롯된 만중삭대엽은 조선시대에 시기를 달리하 여 분화 발전하였으며 그중 삭대엽은 농 낙 편 중거 평거 두거 소‧ ‧ ‧ ‧ ‧ ‧ ‧ 용 등 변주곡을 파생시키며 현재의 가곡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비해 세곡은 세곡을 배우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였던 북관관각의 형 성시기에 따라 약 300여년 전 대만으로 전래되어 왔음을 추정할 뿐 유래가 정 확하지 않다.
둘째, 세곡 전주곡은 보‘ ’ 또는 현보 라 하는데 자유롭게 선택해서 ‘ ’ 쓸 수 있 다 세곡은 악곡구성방식에 따라 대소패연투. (大小牌聯套), 독립식소패(獨立式 독립식대패 소곡 으로 나뉜다 또 소패와 대패는 단
), ( ), ( ) .
小牌 獨立式大牌 小曲
일곡으로 구성되는 단곡과 다양한 곡패체로 구성되는 연투로 나뉜다 연구대상. 인 소군화번《 (昭君和番)》은 연투로 구성된 독립식대패이다 가곡은 우조 이수. 대엽 중거 평거 두거 우락 계면조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평‧ ‧ ‧ ‧ ‧ ‧ ‧ ‧ ‧ 농 계락 편수대엽 태평가 반우반계 반엽 환계락으로 한 바탕을 구성한‧ ‧ ‧ ‧ ‧ 다 시조시 한 편을 장 형식으로 부르는 가곡은 전주곡인 대여음 과 간주곡. 5 ‘ ’ 인 중여음 을 ‘ ’ 넣어서 곡마다 대여음 제 장 제 장 제 장 중여음 제 장 제 · 1 · 2 · 3 ‧ · 4 ·
장 순으로 반복된다 가곡은 전주곡인 대여음이 바뀌지 않지만 세곡은 전주곡
5 .
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셋째, 악기 편성의 경우 세곡은 사죽 반주 형식으로 가곡은 , 실내악인 세악 편성으로 이루어진다 세곡은 본곡의 도입부에 무장단이나 창자가 자유롭게 음. 을 장식할 수 있어 노래와 기악의 호흡을 잘 맞추어야 하므로 제현과 노래 부 르는 사람이 양 끝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며 창자의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악 기들이 배치된다 반면 가곡은 . 노래에 따라 호흡을 맞춰 정해진 가락을 잘 연 주하면 되므로 창자가 가운데 앞에 위치하고 뒷줄에 거문고 장고 세피리 대, , , 금 해금 가야금이 배치된다, , .
다음으로 양국 음악의 구체적인 특징을 알기 위하여 대만의 북관 세곡 중 소군화번 이패 와 한국 여창 가곡 우조 두거 를 대상으로 가사와 가사처리
< > < >
방식 발성법 박자와 악조 반주음악의 특징을 살펴 비교 분석해보고 상호연, , , 관성 및 차이점을 도출해보았다.
첫째, 두 음악에서 쓰이는 가사는 모두 각국의 상류층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발음된다 세곡은 . 언어의 성모와 운모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세곡은 가락을 노 래할 때 의미가 없는 성사를 추가로 넣어서 노래하는 가성사창법‘ (加聲辭唱 은 가곡에서 가사의 음을 편하고 자연스럽게 이끌기 위해서 의미 없는 으
)’ ‘ ’
法
등이 추가되거나 강세를 주기 위해 ‘ ’ㅎ를
삽입하는
것과 유사하다. 또 가사의 음절을 분해하여 자복을 길게 노래하는 분해자음창법‘ (分解字音唱法)’은 가곡 에서 한 음절에 여러 음이 붙으면서 복모음의 단모음화 양성모음의 음성모음, 화로 분해하는 현상과 유사하다.둘째, 세곡과 가곡은 모두 성악이 있는 곡으로 노래의 발성방법에는 진성과 가성이 있다 세곡에서는 조구. (粗口)는 진성이고 세구, (細口)은 가성이다 조구. 는 배에
힘을 주어
말하는 목소리로누구나
쉽게 낼 수 있다 세구는 배에서부. 터 턱까지힘을 주고 소리내므로
훨씬 강한 소리이나 많은 훈련이 필요하다.가곡의 속소리는 세곡처럼 강한 음색보다는 맑고 꿋꿋한 소리를 내며 목이나 턱에
힘을
빼고 여리고 고운 소리를낸다 음역을 비교하면 조구와 세구는
. 옥 타브 차이가 나는 한편 가곡의 진성은 태주 아래의 음역에서 , 쓰고 가성은 중 려 이상의 음역에서 쓴다 세곡은 발성법을 사용하는 . 데 있어 정해진 바가 없 고 남창이든 여창이든 어떤 발성으로도 노래할 수 있으나 다만 한 가지 방식으 로 처음부터 끝까지 불러야하는 반면 가곡은 여창에서만 가성을 , 쓰고 악보에 정해진 대로 부른다.셋째, 세곡의 박자는 2/4박자인 일판일요(一板一撩)와 4/4박자인 일판삼요 가 있는데 박자 아니면 박자로 구성이 되어 있어 박자 계열의
(一板三撩) 2 4 2
박이 기본인 것에 비해 가곡은 , 3-2-3-3-2-3박으로 된 16박자로 되어 있어, 박과 박의 결합형식이 기본이다 악조는 두 악곡 모두 오음음계가 주를 이루
3 2 .
지만 소군화번 이패 에서 과 가 < > 乙 凡 덜 쓰이는 ‘合( )-솔 士( )-라 乙( )-시 上( )-도 레 미 파 솔 라 의 음음계가 쓰이며 특별한 악조의 이름은 ( )- ( )- ( )- ( )- ( )’ 7
ㄨ
工 凡 六 五없고 종지음은 일정하지 않다 우조 두거 는 우조라는 . < > ‘黃( )-솔 太( )-라
仲
( )-도 레 미 의 음 음계의 악조가 쓰이며 종지음이 규칙을 갖는다 세곡은( )- ( )’ 5 , .
林 南
창자나 연주자에 따라 자유롭게 장식음을 넣을 수 있다 가곡은 시김새도 정해. 져 있는 편이라 세곡에 비해 청자나 연주자의 자율성이 제한된다.
넷째, 반주음악에서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을 분석해보면 세곡 소군화번 , <
이패 반주 악기의 중심이 되는 제현 가락은 > 노래 가락보다 복잡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화현은 . 옥타브 낮은 음으로 적자는 다른 음색으로 , 노래 가락을 연 주하고 삼현과 양금은 화음을 연주하여 음악의 , 풍성함을 보한다 가곡 우조 . <
두거 의 경우 악기 가락이 > 노래와 비슷한 가락을 연주한다 가곡은 . 노래 가락 자체에 시김새와 장식음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 현악기인 거문고와 양금은 주 가락을 단순화하여 연주하고 관악기인 해금 대금은 , , 노래의 주가락을 보다 다 양한 방식으로 수식한다.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가야금은 다른 현악기에 비해 수식음이 많다.
북관 세곡은 원래 전문성 없이 일반인들이 즐기기 위한 음악으로 반주도 노 래 가락과 같은 가락을 연주하였으나 현대에 전공자들에 의해 전승됨에 따라 , 악기별 특성에 따른 역할을 가지게 되었고 반주 가락의 구성이 복잡해진 것으 로 보인다.
두 번째로 악기끼리의 관계를 비교해보았다 세곡의 반주음악은 제현을 중. 심으로 구성되어 나머지 악기들이 그 역할을 보충하지만 가곡에서는 비슷한 가락을 함께 연주하기 때문에 특별히 리드하거나 중심이 되는 악기는 없었다.
중심 가락악기 역할을 하는 거문고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거문고와 가야금은 , 중심 가락을 연주하면서도 악기의 주법인 ‘슬기둥’, ‘살갱’을 표현하기 위한 장 식음과 도 간격의 장식음을 많이 8 쓴다 해금은 . 긴 음으로 지속시키며 양금은 , 생략음이 많은데 비하여 대금은 장식이 많은 특성을 갖는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연구자들이 대만과 한국의 음악 교류에 조금 더 관심 을 가지고 더 많은 학술 연구가 이루어져 발전이 있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