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고 시김새도 정해져 있어 세곡에 비해 창자나 연주자의 자율성이 제한된다.
북관음악은 일판삼요와 일판일요로 되어 있어 세곡은 2박자 아니면 4박자로 구성이 됨을 알 수 있다 가곡은 . 3-2-3-3-2-3박으로 된 16박자로 되어 있다. 세곡은 2박자 계열의 박이 기본인 것에 비해 가곡은 3박과 2박의 결합이 기본 이다.
함을 주었다. a, f,
g, k
는 노래 가락에 비해 악기 가락을 간단하게 하였고, b, 는 노래 가락에서 음가가 길어질 때 가락을 추가하여 복잡하게 하였 c, e, h, i다. 또 박자에 변화를 주어 같은 가락을 보다 풍부한 느낌이 들도록 하기도 한 다.
가락이 복잡해진 경우를 살펴보면 악보 , < 15 의 는 노래 가락이 분음표과 > a 8 분음표 두 개로 구성될 때 화현 가락은 분음표를 개로 나누어 연주하였
16 , 8 2
고 는 , f 노래 가락이 분음표 개로 구성될 때 제현과 양금은 분음표 하나로 8 2 , 4 연주한다.
g
는 분음표과 분음표로 8 16 노래할 때 화현은 분음표 하나로 연주, 4 한다.k
는 노래가락은 첫째 박에 분음표8 , 16분음표 두 개로 연주할 때 화현, 은 분음표로 하나를 연주를 한다4 . 둘째 박은 분음표 두 개로 연주할 때 화8 , 현은 분음표 하나로 연주한다4 . 셋째 박에서 노래 가락은 분음표 하나와 8 16 분음표 두 개를 노래할 때 화현은 분음표를 개로 연주하여 , 8 2 단순화시켰다. 가락이 단순해진 경우를 살펴보면, b는 노래 가락이 분음표로 구성될 때2 , 화현과 삼현은 분음표 하나와 분음표 두 개로 구성되거나 4 8 또는 분음표 개8 4 로 구성된다. c는 노래 가락이 분음표를 연주할 때 화현은 분음표 개로 연4 , 8 2 주한다. e는 노래 가락이 분음표인 4 것을 삼현과 양금은 분음표로 연주한다8 .는 노래 가락이 점 분음표와 분음표로 연주할 때 삼현은 분음표 개로 연
h 4 8 , 8 4
주한다 는 . f 노래 가락이 분음표일 때 삼현은 4 , 점8분음표과 16분음표로 연주 를 한다.
가락의 박에 변화를 준 경우도 있다.
d
는 노래 가락이 점4분음표과 분음표8 로 구성될 때 화현 가락은 분음표 개로 연주한다 는 , 4 2 . j 노래 가락이 분음표8 로 구성된 것을 점8분음표과 분음표로 연주하였다16 .악보
< 15> <소군화번 이패>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 간의 관계
(2) 여창 우조 두거
우조 두거 에서 악기 가락은 노래 가락과 거의 동일하게 움직인다 가곡은
< > .
노래 가락 자체에 시김새와 장식음이 많아 거문고와 양금은 주가락을 단순화 하여 연주하고 관악기인 해금 대금은 , , 노래의 주가락을 보다 복잡하게 연주한
다.
악보
< 16>의 제 마디에서 25 노래 가락은 ‘ - -미 레 도(c-b♭ ♭-a )’로 노래하고, 거문고와 양금은 ‘ - -미 레 도(c-b♭ ♭-a )’로 연주한다 해금 가야금 대금은 라. , , ‘
를 중심으로 연주를 하고 악보
(f)’ (< 16>의 a, b, c 참조 특히 대금은 다른 장식), 음이 사이사이에 추가되었다 악보 (< 16>의 c 참조).
악보
< 16> <우조 두거>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 간의 관계 제 ( 20 ~25마디)
악보
< 17>의 제 26~27마디에서 노래 가락은 시김새를 뺀 중심음이 도‘ -미 인데 거문고 가야금 양금 해금 대금도 도 미 를 연주하며 (a -c)’♭ , , , , , ‘ - (a -c)’♭
다만 장식음이 추가되어 있을 뿐이다 제 마디를 보면 . 28 노래 가락은 도 라‘ - (a 를 노래하고 거문고는 레 라 로 연주를 한다 해금은 라 가
-f)’ , ‘ - (b -f)’ . ‘ (f)’,
♭ ♭
야금은 ‘ -레 라 (b♭-f)’, 양금은 ‘ -레 도(b♭ ♭-a )’로 연주를 한다 대금은 . ‘ -레 라 (b♭-f)’로 연주를 한다 제 마디를 보면 . 29 노래 가락은 라‘ (f)’로 노래를 부 른다 거문고 가야금 해금 양금 대금은 라 를 연주를 하지만 해금 가야. , , , , ‘ (f)’ , 금 대금이 더 다양한 장식음을 , 넣었다 이처럼 거문고 양금은 중심 가락을 연. ,
주하고 가야금 해금 대금은 보다 많은 시김새를 추가한다, , .
나. 반주음악에서 악기끼리의 음악적 구성 관계
악기 가락끼리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소군화번 이패 의 중심 악기인 < >
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조 두거 는 > 풍류방의 중심 악기인 거문고의 가락을 중심으로 다른 악기와 비교해보았다.
(1) 소군화번 이패
원래 전통방식으로 반주하는 형식의 북관 세곡 음악을 타이베이 예술대학교 전통음악학과에서 출판한 음반을 기준으로 채보한 것이다. <악보 18>을 보면 악기끼리 거의 같은 가락을 연주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중간중간에 , 각 악기 가락에서 조금씩 변화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악보 (< 18 표시 부분> ).
악보
< 17> <우조 두거> 노래 가락과 악기 가락 간의 관계 제( 26~29마디)
세곡 반주 악기는 보통 제현 가락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악기끼리 비교하는 제 현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보도록 하였다 화현은 제현보다 . 더 간단한 가락으로 연주하거나 악보 (< 18>의 a, d 참조), 더 복잡하게 연주를 한다 악보 (< 18>의 b, 참조 이처럼 화현과 제현은 같은 방식으로 연주하는 찰현악기이기 때문에 c ).
서로 가락을 보강하는 경우가 많다.
악보
< 18>에서 제현과 삼현의 관계는 삼현은 두 번째 마디 두 번째 박자에 서 제현은 ‘레(D5)’를 2박으로 지속할 때 삼현은 '레 솔 레 미- - - '(D5-G4-A5-E5)(8분음표)로 진행한다 악보 (< 18>의 부분 그리고 번째 마디 e ). 3
박에서 제현이 미 레를 박씩 연주하는데 삼현과 양금은 레 솔 미
3~4 ' - ' 1 , ‘ - - -
레’(D4-G4-E4-D4)를 연주하였다 악보 (< 18>의 f,
g
참조 이처럼 삼현은 제현).의 가락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제현과 적자의 관계를 보면 제현과 적자 마디부터 마디까지는 가락이 거1 4 의 동일하고 음역대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제현 중심인 세곡 반주에서 . 적자는 다른 음색으로 전체적으로 음악이 더 풍성하게 들리도록 한다.
악보
< 18> <소군화번 이패> 제 1~4마디 총보
악보
< 19 에서 제현과 화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현은 제 마디의 > 5 1~2째 박에서 분음표 한 4 박씩을 연주하며 화현은 각각 분음표로 라 라, 8 ‘ - - -솔 라 (A4-A4-G4-A4)’를 반박씩 연주한다(a 참조 하지만 제현은 번째 마디의 번). 5 4 째 박에서 제현은 분음표과 8 16분음표가 라 시 라' - - (A4-B4-A4)'로 연주했는데, 화현은 번째 4 박에서 분음표가 라4 ' (A4)'로 연주한다(b 참조 그리고 제현은 ).
제 마디의 8 첫 박에서 분음표과 분음표가 8 16 '레 레 미- - (D5-D5-E5)'로 연주하 고, 둘째 박에서 분음표 반박씩 8 '레-시(D5-B4)'로 연주하고, 셋째 박에서 분8 음표과 16분음표가 라' - -솔 라(A4-G4-A4)'로 연주를 한다 화현은 제 마디의 . 8 첫 박에서 분음표가 4 레로 연주하고, 둘째 박에서 분음표를 4 '레(D5)'로 연주하 고, 셋째 박에서 분음표가 라8 ' -솔(A4-G4)'로 연주를 한다(c 참조).
제현과 삼현의 관계를 살펴보면 번째 마디의 5 둘째 박에서 제현은 분음표 4 한 박씩 라' (A4)'로 연주하고 삼현은 분음표 반박씩 , 8 '솔-라(G4-A4)'로 연주를 한다(d 참조 제현의 번째 마디의 ). 6 1~2째 박에서 점4분음표와 분음표로 8 '솔- 도(G4-C5)'로 연주를 하고, 삼현은 8분음표 반박씩 '솔 솔 솔- - -도 (G4-G4-G4-C5)'로 연주를 한다(e 참조).
제현과 양금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 마디부터 마디까지에서 5 8 완전 똑같은 가락으로 진행했다 두 악기는 . 같은 가락을 연주하더라도 각각 지속하는 음과 타현하는 음으로 소리의 특성이 다름에 따라 악기의 역할이 다르다.
제현과 적자 관계를 살펴보면 제현은 제 마디의 번째 , 5 2 박에서 기본음이 4 분음표가 라' (A4)'로 연주하고 적자, (
笛子
)는 분음표가 8 '솔-라(G5-A4)'로 연주 한다(h 참조 적자의 가락은 제현 가락의 기본음이 발전하여 분화된 ). 것이다.악보
< 19> <소군화번 이패> 제5~8마디 총보
세곡 반주에서 각각의 악기가 리듬을 분할하여 연주하지만 제현 가락선 중 심으로 진행한다. <악보 18>과 악보 < 19 을 보면 제현과 부분적으로 도나 > 2 3 도 관계를 이루는 진행을 하게 되어 있고, 5도 관계도 있긴 하지만 그런 경우
가 많지는 않았다 발전해서 도과 도의 관계를 유지하며 음의 . 2 3 길이 변화하는 경우가 많았고 기본 형태는 제주하는 형식을 , 볼 수가 있다.
악보
< 18>과 악보 < 19 를 보면 비슷한 가락을 연주하며 악기끼리 조화를 >
이룬다 이런 형식은 오늘날까지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 . 타이베이예술대학 교 전통음악학과에서 중국 전통음악의 바탕이 있는 학생들이 많이 진학하면서 예전의 나이 많은 연주자들에 비해 전문적인 훈련을 받아 좀 더 기술적인 연주 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는 세곡 반주에서 악기끼리의 관계가 더 . 복잡해져 보다 풍성한 연주 양상을 보인다 현재에 전승되는 세곡의 악기 관계. 의 변화를 간략하게 악보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악보
< 20> <소군화번 이패 에서 악기끼리의 음악적 구성 관계 >
악보
< 20 을 보면 제현과 화현의 관계는 위에 > 설명한 내용이 크게 차이가 많지 않았고 원래 악기 개방음의 기준 음이 도 관계 , 5 차이가 있어서 화현은 제현보다 낮은 음색으로 저음을
깔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현과 화현은
. 가락의 차이가 별로 없지만 악기의 음색에 따른 역할이 다르다 삼현은 . 항상 제현보다 더 많은 음을 내야 한다고 여긴다 제현이 분음표를 연주하면 삼현. 8 은 더 풍성하게 가락선을 진행해야 하므로 분음표로 다 16 채울 것이다 삼현은 .항상 제현보다 복잡하게 연주를 한다 제현 화현 삼현은 . , , 왼손의 포지션이 고 정이 되어 있으므로 옥타브를 벗어나면 한 옥타브 올려서 연주하거나 내려서 연주한다 이에 비해 양금은 . 쉽게 한 옥타브 올려서 연주를 하거나 한 옥타브 내려서 연주를 하거나, 혹은 쌍음(雙音)102)으로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이다 양금. 은 악기 특성상 다른 현악기와는 다르게 쌍음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있다.
(2) 여창 우조두거
악보
< 21 의 제 마디에서 보면 거문고는 라 도> 5 ‘ - (f-a♭)’를 연주한다 거문. 고와 가야금이 제일 가까운 가락선을 연주하며 가야금의 제 마디를 보면 라5 ‘ - 도(f-a♭)’를 연주한다 제 . 6~7마디를 보면 거문고와 가야금이 동일한 가락을 연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거문고와 가야금에서 라 음 . (f) 앞의 음들은 장식하는 음이다.
양금은 한 손으로 연주하여 철사 줄로서의 음색과 음향을 갖고 있다 한 . 손 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복잡한 가락은 어렵고 기본 가락을 연주한다 양금의 제 .
마디처럼 대개 거문고과 일치하게 연주를 한다
5~7 .
해금은 지속음 역할을 한다. <악보 21 에 보면 거문고는 라 도> - (f-a♭)를 연 주한다 해금은 . 레-도(b♭ ♭-a )를 연주한다 해금은 장음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 있다 가야금 선율을 장식하는 방법은 . 슬기둥, 살갱인데, 특징상 도 음이 많8 이 쓰인다. <악보 20> 제 마디의 5 2~3째 박에서 보면 해금이 레(b♭)을 연주 할 때 가야금 거문고 양금 등은 라 음을 연주하면서 한 , , , (f) 박을 소박으로 나3
누어 연주한다
(a, b, c,d
참조 거문고과 대금의 관계는 거문고 제 마디에서 ). 5 라 음을 연주하면서 한 (f) 박을 소박으로 나누어 연주한다 대금은 제 마디는 3 . 5 분음표과 분음표로 레 도 를 연주한다 하지만 대금은 장식음이 2 4 ‘ - (b♭ ♭-a )’ .많은 특징이 있어 추가한 가락을 연주한다(e 참조 장고는 ). 3-2-3 박으로 나누 어 박자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102) 옥타브 연주법으로 병음(幷音)이라고도 한다. <악보 20> 제 마디1 제 2박에서 솔(G4 와G5)음을 쌍음으로 연주한다 그 . 밖에도 연주자가 쌍음으로 연주할 수 있는 음을 임 의로 연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