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박자와 악조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75-80)

다. 세곡과 가곡의 발성법 비교

다음으로 세곡과 가곡 발성법을 비교하겠다.

첫 번째, 세곡은 명확한 발성법이 있는데 조구과 세구를 말한다 조구는 진. 성으로 발성하고 세구는 가성으로 발성한다 가곡의 진성은 . 겉소리, 육성이라 고 부르고 가성은 속소리라고 부르나 소리를 내는 방식이 세곡과 다르다 세곡. 의 가성은

힘 있고

강하지만 가곡의 가성은 곱고 여리다.

두 번째, 세곡은 진성이나 가성 둘 중 한 방법으로 노래를 시작하여 끝까지 같은 방법으로 노래를 하며 중간에 발성법을 전환하지 않는다 반면 가곡은 , . 진성과 가성을 전환해 가면서 노래한다. 단 악보 표시한대로 가성을 쓰며 가, 창자가 자유롭게 전환할 수는 없다.

셋 번째, 세곡을 배울 때에는 남자든 여자든 다 같이 진성을 먼저 배운다. 이후에 가성으로 노래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은 가성이나 진성 중 어느 방법으로 노래해도 된다 이처럼 발성법 사용에 .

엄격하게 정해진

규칙이 없다 가곡은 . 남창은 남자만 노래를 하고 여창은 여자만 , 노래를 한다 학습할 때는 남자든 . 여자든 남창과 여창을 모두 배울 수 있다.

성악곡

발성법 세곡 가곡

악보 진성표시 없음 없음

가성표시 없음 있음

노래 진가성 전환 없음

진성 가성 섞인다.

전환 규칙 진성 또는 가성

< 15> 세곡과 가곡의 발성법 비교

가. 세곡과 가곡의 박자

(1) 세곡의 박자

북관음악에 쓰이는 악보를 공척보라고 한다 한국의 공척보는 . 박에 대한 언 급이나 부호가 없이 음고를 나타내는 문자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북관음악의 . 공척보는 음고를 나타내는 문자와 더불어 박과 강약을 표시하는 기호가 함께 있다.

북관음악 공척보의 박은 판( )板과 요( )撩로 표시한다 판. ( )板의 부호는 ‘ 。’ 이며 한 마디의 , 첫 박을 말한다. ( )요 撩의 부호는 ‘ 、’ 이며, 매 마디 첫 박 이후의 박을 말한다 판. ( )板과 요( ) 撩 외에 판후(板撩)와 요후(撩後)라는 것이 있는데 판후(板撩)는 판과 관계있는 것이고, 요후(撩後)는 요와 관계있는 것이 다 판후. (板撩)의 부호는 ‘ 』’ 또는 ‘ √ ’ 이며 마디의 , 첫 박인 판( ) 板 앞의 박 이 판( )板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요후(撩後)의 부호는 ‘ ’ ﹂ 또는 ‘ ’ △ 이며, 요( ) 撩 앞의 박이 요( )撩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북관음악 공척보에서 . 박을 기보하는데 사용되는 부호 및 내용을 다시 표로 정리하면 다음 <표 13>과 같 다.96)

명칭 판( ) 판후(板後) 요( )97) 요후(撩後)

부호 또는 또는

내용 마디의 앞 마디의 박이 이어지는 판( )

마디의 이후의

(또는 ) 이어지는 요( )

< 16> 북관음악 공척보의 박 부호표

북관음악에서 쓰이는 박 부호는 판 판후, , , 요 요후 이며 한마디가 분음표 , 4 개로 이루어지는 박자에 해당한다 세곡 연주 형태에서는 보통 일판일요

2 2/4 .

96) 許紜佩 ‧ 최지연, 대만 북관음악의 공척보, 󰡔동양음악 제 󰡕 40 , 서울대학교 동양 음악연구소, 2016.

97) ( )는 대만 북관음악에서 사용하는 음악용어이므로 이 , 에서는 두음법칙에 관계 없이 ‘ ’ 로 사용하고자 한다.

(一板一撩)와 일판삼요(一板三撩)를 사용한다 여기서 판요. (板撩)의 개념을 적 용하면 일판일요 각 마디가 2박이며, 첫박인 판( )板과 둘째박인 요( )撩로 구성 된다 마찬가지로 . 일판삼요는 4/4박자하며, 첫박인 판( )板과 둘째박인 요( ) 撩 셋째박인 요( ) 撩 넷째박인 요( )撩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판후. (板後)는 한 마디 의 첫박인 판( )板 이 첫박에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전 마디에서 시작하여 그 다음 마디의 첫 박까지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요후(撩後)는 요( ) 撩 앞에 음이 요( )撩까지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악보

< 12 북관음악 공척보의 > 박

(2) 가곡의 박자

가곡의 장단은 기본 장단과 편장단의 두 가지가 있다 기본 장단은 한 장단. 이 16박으로 구성된다. 박수(拍數)는 16박이지만 장구의 북편이나 채편을 치는 장고점(

杖鼓點

)은 모두 10점이다 가곡장단이 지니는 특징 중 하나는 한 장단. 이 두 부분으로 나뉜다는 점이다 가곡 장단은 . 16박 한 장단에 합장단이 두 번 들어가는데 제1박과 제12박이 그것이다 따라서 제. 1박부터 제11박까지의 11 박을 ‘왼각’ 또는 선‘ 7점(先七點)’이라고 한다 제. 12박부터 나머지 5박을 반각‘ ’ 또는 ‘후3 (점 後三點)’이라고 한다 이 . 같은 가곡 장단의 구조는 이들 16박이 의 대강 중 제 대강에서 시작하는 음악임을 알 수 있게 3-2-3-3-2-3 6 (大六綱) 3

한다.98)

98) 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악보

< 13> 가곡의 기본 장단(1016박 장단) 역보

나. 세곡과 가곡의 악조

(1) 세곡의 악조

세곡의 악조(樂調)는 세곡이 기록된 공척보99)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제현. 을 기준으로 하여 개방음은 공척보의 合으로 맞추고100), 음역은 ‘合( )-솔 士 라 시 도 레 미 파 솔 라 한 옥타브가 쓰이지만 ( )-乙( )-上( )-

( )-工( )-凡( )-六( )-五( )’

과 은 쓰임새가 줄어들어 ‘ - - - ’ 7개의 문자를 쓴다 하.

乙 凡 合 士 上

工 六 五

지만 과 合 六, 士와 은 五 같은 계이름이므로 실제로는 음이 많이 5 쓰인다. , 즉 음을 위주로 하는 음 음계를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곡에서는 특별히

5 7 .

조의 명칭을 사용하지 않으나 동일한 스케일을 사용한다. <소군화번 오패 에>

99) 북관음악 공척보에서 음고(音高)를 나타내는 문자는 (: ho), (: su), ( :

yi), (: syang), (: tshe), (: gong), (: huan), (: liu), (:

wu), (: yi), (: hoo), (: su), (: gong)으로 모두 개의 문자를 사13 용한다 공척보에 . 이는 각각의 문자는 약속된 계이름을 의미한다 북관음악 공척보. 는 이동도법으로 수 있는데 각 문자와 계이름을 연결하면 다음과 같다. ( ) 솔 솔( ), ( )는 라 라( ), ( )은 시 시( ), ( )은 도 도( ’), ( ) 레 레( ’), ( ) 미 미( ’), ( )은 파 파( ’), ( )솔 솔( ’), ( )는 라 라( ’), ( )은 시 시( ’), ( ) 도 도( ’’), (亻 )레 레( ’’), (亻 )미 미( ’’)를 나타낸다 공척보의 문자는 . 솔 솔( )부터 옥타브 위 미 미( ’’)까지로 두 타브에 가까운 음역을 나타낼 수 있다.

대만북관 음악

문자 合 仩 亻ㄨ 亻工

발음 Ho Su i 시ang tshe gon huan liu u i 시sn

g tse gon 계명 솔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최지연 대만 북관음악의 공척보 동양음악 제 서울대학교 양음 許紜佩 ‧ , , 󰡔 󰡕 40 ,

악연구소, 2016.

100) 대만의 공척보는 이동도법이므로 가창자의 가창능력에 따라 음역대가 바뀔 수 있으 며 그때마다 제현을 새롭게 조율한다.

서도 종지음은 모두 다르나 쓰이는 스케일은 같으므로 같은 악조로 인식을 한 다.101)

(2) 가곡의 악조

현행 가곡의 악조에는 우조평조 를 ‘ ’ 줄인 우조 와 우조계면조 를 줄인 계면‘ ’ ‘ ’ ‘ 조 가 있다’ .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가곡의 개 악조가 우조와 계면조의 두 악4 조로 정착되었으며, 20세기를 거쳐서 현재까지 전승되었다 가곡의 평조. (平調) 는 ‘黃( )-솔 太( )-라

( )-도 林( )-레 南( )’미 의 음 음계이며 계면조는 5 , ‘黃( )-라 夾 도 레 미 솔 의 음 음계로 구성되었으나 도 과 솔 의 쓰임 ( )-

( )-林( )-無( )’ 5 , ( )夾 無( )

새가 줄어들어 ‘ - - ’ 3黃

林 음이 가락의 골격을 형성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 우조 두거 는 우조평조를 쓰므로 황 태 중 임 남 의 음으로 구성된다

< > ‘ - - - - ’ 5 . 악보

< 14> <우조 두거 의 스케일 >

다. 세곡과 가곡의 박자 및 악조 비교

소군화번 이패 는 음 음계를 사용하지만 주로 솔 라 도 레 미의 음 음

< > 7 ‘ - - - - ’ 5

계의 가락이 쓰인다 장식음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창자나 연주자에 따라 변한. 다 가락이 정해져있긴 하지만 그 진행이나 . , 종지음은 특정한 규칙이 없다 가. 사가 끊기는 것에 따라 곡이 끝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우조 두거. < >

는 음음계의 5 ‘ - - - - ’솔 라 도 레 미의 가락만을 사용하고 가사에 따른 가락도 정 해져 있다 그러나 가사에 따라 하나의 악곡을 . 갖기 때문에 종지음이 규칙을

101) 소군화번 외의 세곡에서 명인들은 악조의 변화를 인지하였으나 특별히 악조를 칭하는 명칭은 없어 악조는 없었거나 전승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세곡이 곡. 패체에 따른 곡조에 새로운 가사를 부르는 형식이므로 상대적으로 악조에 대해서는 정확히 구분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갖고 시김새도 정해져 있어 세곡에 비해 창자나 연주자의 자율성이 제한된다.

북관음악은 일판삼요와 일판일요로 되어 있어 세곡은 2박자 아니면 4박자로 구성이 됨을 알 수 있다 가곡은 . 3-2-3-3-2-3박으로 된 16박자로 되어 있다. 세곡은 2박자 계열의 박이 기본인 것에 비해 가곡은 3박과 2박의 결합이 기본 이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75-8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