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정책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측면이 많지만 도로명주소 미사용에 대한 처벌 등의 강압적 수단의 사용은 제한되며, 이러한 이유로 김태승,
권혁신(2015)은 중장기적 측면에서 “도로명주소 제도의 편리함과 우수성
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단순 경험으로서의 학습효과가 아닌 교육 수준의 학습효과가 필요하다”고 제안한 바 있다. 방윤식, 유기윤(2016)이 길찾기
(wayfinding) 과정이 “공간 탐색이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라
고 하였으며, 김경모(2015)는 보행자가 보행에 돌입하기 전인 이동 계획
하기(journey planning) 단계를 포함하여 길찾기의 모든 단계에서 필요
한 정보가 제대로 유통되고 있는지 관리감독하는 것이 공공기관의 역할 이라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주소 사용환경을 도로명주소 친화적으로 조성함으로써 국민 생활에 도로명주소가 자발적인 과정을 통하여 체험되 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25) 5.27. 행정안전부 주소정책과 관계자(C 사무관) 인터뷰.
제 5 장 경험시차의 발생 여부 확인
제 1 절 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 정책에 경험시차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통 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 패키지(R)를 이용하여 2017년~2019년 서 울시 도로명주소 여론조사 결과의 원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질문은 주소 정책의 인지도, 사용 경험, 사용 빈도, 도로명주소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영역, 도로명주소에 불만족하는 응답자의 경우 그 이유, 아 직까지 지번주소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영역이 어디인지이며,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2017년과 2018년, 2018년과 2019년의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ANOVA 방법 및 T-test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5-1]과 같다. 2014년~2016년은 원본 데이터가 없으므 로 통계 검증 대상은 아니나, 응답결과 수치 변화의 참고를 위하여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그래프에 함께 표시하였다.
변수 구분
2017년 평균 (표준편차)
2018년 평균 (표준편차)
2019년 평균 (표준편차)
Anova P-value
T-test (’17-’18) P-value
T-test (’18-’19) P-value
Q1
본인 집의 도로명주소 인지도
(1=정확히 앎, 2=어렴풋이 앎, 3=모름)
1.224 1.178 1.160
< 1e-5 0.0683
(0.465) (0.403) (0.403)
Q2 도로명주소 사용 경험 (1=있음, 2=없음)
1.071 1.040 1.053
(0.257) (0.197) (0.223) Q3
도로명주소 사용 빈도
(1=도로명주소, 1.825 1.653 1.555
[표 5-1] 서울시 도로명주소 여론조사 결과(2017~2019) 분석 결과
변수 구분
2017년 평균 (표준편차)
2018년 평균 (표준편차)
2019년 평균 (표준편차)
Anova P-value
T-test (’17-’18) P-value
T-test (’18-’19) P-value 3=혼용(도로명<지번),
4=지번주소) (0.891) (0.821) (0.777)
Q4 도로명주소 사용 경험(Q4_1~Q4_6, 1=있음, 0=없음) Q4_1 길을 찾거나 위치를
알려줄 때
0.267 0.307 0.379
(0.442) (0.461) (0.485) Q4_2 우편물이나 택배 등을
보낼 때
0.810 0.810 0.899
0.961 (0.393) (0.392) (0.301)
Q4_3 홈페이지 회원가입 시 주소를 작성 할 때
0.716 0.718 0.830
0.859 (0.451) (0.450) (0.376)
Q4_4 주민등록등본 등 민원서류 발급 할 때
0.538 0.545 0.673
0.576 (0.499) (0.498) (0.469)
Q4_5 내비게이션 검색 할 때
0.304 0.323 0.442
0.114 (0.460) (0.468) (0.497)
Q4_6 음식 등을 배달시킬 때
0.219 0.259 0.389
(0.413) (0.438) (0.488)
Q5
도로명주소 사용 만족도
(1=매우 만족, 2=만족, 3=만족하지 않음, 4=매우 만족하지 않음)
2.335 2.178 2.105
(0.855) (0.818) (0.786)
Q6 도로명주소 불만족 이유(Q6_1~Q6_6, 5에서 3,4 선택한 응답자만, 1=동의, 0=부동의) Q6_1 주소들 들어도 위치를
알기 어렵다.
0.683 0.691 0.700
0.721 0.6923 0.6923 (0.465) (0.462) (0.459)
Q6_2 집이나 건물을 찾아가기 어렵다.
0.375 0.389 0.464
0.4992 (0.484) (0.488) (0.499)
Q6_3 주소를 기억하기가 어렵다.
0.497 0.497 0.545
0.0555 0.9795 (0.500) (0.500) (0.498)
Q6_4 도로명주소 체계를 이해하기 어렵다.
0.416 0.382 0.493
0.1062 (0.493) (0.486) (0.500)
Q6_5 익숙하지 않아 불편하다.
0.530 0.516 0.581
0.5158 (0.499) (0.500) (0.494)
Q6_6 음식물 등 주문 시 지번주소 요구
0.297 0.323 0.341
0.0982 0.1909 0.4374 (0.457) (0.468) (0.474)
Q7
생활 속 도로명주소 사용 정도(1=대부분 사용, 2=대체로 사용, 3=별로 사용 안 함, 4=대부분 사용 안 함)
2.214 2.035 2.097
(0.715) (0.664) (0.629)
Q8 아직까지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곳(Q8_1~Q8_5, 1=동의, 0=부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