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한다. 주소 사용환경이란 주소 사용자가 주소를 접하는 모든 환경을 말한다. 주소 사용환경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오프 라인상 주소 사용환경은 보행자를 위한 도로명판, 건물번호판, 기초번호 판, 차량용 도로명 안내표지, 공적장부 상 주소, 광고물, 청첩장 등 각종 유인물 상 주소 등이, 온라인상 주소 사용환경에는 스마트폰 지도, 내비 게이션 등 경로탐색, 금융거래, 쇼핑, 배달음식 주문 시의 주소 입력 및 위치 안내 등이 있다.
도로명주소를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대부분 국가에서는 자연스럽게 도로명주소의 ‘식별 및 위치찾기’ 기능이 발휘되도록 주소 사용환경이 발달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소 사용환경이 지번주소 중 심이었기 때문에 이를 도로명주소 중심으로 바꾸는 새로운 노력이 추가 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정책이전 과정에서 기존 국가에서는 필요 없었던, 또는 자연스럽게 이행되었던 노력에 해당한다.
도로명주소 도입 초기 우리 정부는 오프라인상 주소 사용환경 구축에 중점을 두었으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상 주소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상 주소 사용환경 또한 도로 명주소 친화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2016년 이후 행정안전부와 한국지역 정보개발원은 도로명주소 안내 홈페이지에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 홈 페이지를 개설하여 최신지도 raw data 공간정보(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우편, 물류(택배) 등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정제한 문자형식 주소정보를
제공한다. 2019년 현재 주소정보 다운로드 수는 17만 건, 지도(공간)정보
다운로드 수 8천 건이다(행정안전부, 2019). 또한 개인 또는 사업자가 홈 페이지 상에 도로명주소 및 영문 도로명주소 입력시스템을 손쉽게 구축 할 수 있도록 OpenAPI 소스를 제공하며, 검색되지 않는 도로명주소가 없도록 일변동 도로명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여전히 주소의 표기방식을 전환하기 위 한 노력으로만 국한되며, 도로명주소의 ‘식별 및 위치찾기’ 기능이 발휘 되기 위한 기반조성으로 보기는 어렵다. 방윤식, 유기윤(2016)은 국민들 로 하여금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체계를 자리잡도록 하는데 ‘길찾 기’ 과정에서 도로명주소를 활용토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지적하였 는데, 이는 길찾기 과정이 공간 탐색이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행 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국민들이 길찾기 과정에서 도로명주소 를 사용토록 하는 기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김태승, 권혁신(2015)이 언 급한 도로명주소의 편리함을 경험하는 데 필요한 학습 시간, 즉 경험시 차를 단축시킬 수 있는 직접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경기연구원(2016)이 도로명주소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일상에서 자 주 도로명주소를 노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 것은 이와 같은 맥락이 다. 따라서 주소 정책의 이전과정요소이자 시차를 발생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주소 사용환경이 자주 도로명주소를 확인할 수 있 고 길찾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축되었는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도로명주소 전면사용 시점과 비교했을 때 주소 사용환경의 구축 시 점에 지연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지연이 있었다면 얼마만큼의 지연인 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 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하위 연구 문제 2. 주소 사용환경 조성이 지연되고 있는가?
주소 정책에 있어서 주요한 정책 주체는 주소 사용환경별로 다르다. 도로명판, 건물번호판 등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도로명주소 안내시설 의 신규 설치, 유지보수 등과 같은 오프라인 주소 사용환경의 조성은 주
로 관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온라인 주소 사용환경의 조성에 대 해서는 – 비록 지도 원본 데이터는 정부로부터 제공받더라도 -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 주로 IT 업계가 그 역할을 독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위치 찾기 패러다임의 변화’ 절에서 살펴보았듯이, 최근 10년간은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위치 찾기 시 모바일 지도와 내비게이션 앱 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소 정책에 있어서 민간의 기여도와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Dolowitz
와 Marsh의 논지와 최근의 위치 찾기 패러다임의 변화를 토대로 하여
도로명주소 정책의 완전한 이전에 민간기업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위의 연구 문제 2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주소 사용환경으로 분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하위 연구 문제 2-1. 오프라인 주소 사용환경 조성이 지연되고 있는 가?
하위 연구 문제 2-2. 온라인 주소 사용환경이 불완전하게 조성되어 있 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