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행정안전부, 2019년도 예산 사업설명자료
[그림 6-11] 신축 건물의 도로명주소 부여 및 민간 유통 절차
확대 시 새주소 정보(도로명, 건물번호, 출입구)를 표현하기 시작하였는 데, 이 작업은 2011년 8월 서울 및 경기 6개 시 지역(안양, 의왕, 군포, 과천, 광명, 성남)을 시작으로 2012년 12월까지 전국으로 확대 적용되었
다. 2011년 9월부터는 네이버 지도 모바일 앱에서도 도로명주소 정보를
표시하기 시작하였다.37) 2015년 12월 네이버 지도 모바일 앱에 내비게이 션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2018년 1월에는 종전의 래스터 지도를 벡터지 도로 교체하면서 2018년 9월 도로명 스타일을 개선하였다.
2) 다음 지도/카카오맵·카카오내비
다음 지도는 2012년 4월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지도 화면에 처음으로 표시하였다. 2013년 4월에는 도로명으로 검색 시, 해당 도로명을 사용하 는 전체 도로구간 및 구간 관련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장소 검색을 개편 하였다. 그전까지는 도로명을 검색하면 해당 도로구간을 라인으로 표시 하는 기능이 없었다. 이때부터는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 간의 관계를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검색결과 화면을 변경하였다. 2014년 11월부터는 정부가 제공하는 일단위 업데이트를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2015년 2월에 는 도로명주소와 지번주소의 매핑을 제공하고, 도로명주소에 대한 검색 성능을 대폭 개선하였다. 특히 다음은 우편번호가 6자리에서 5자리로 개 편된 2015년 8월 온라인쇼핑, 은행 등 사이트에 주소검색 API를 확산시
켰는데, 2014년 2월 다음 우편번호 검색 서비스 오픈 이후 2015년 2월에
는 12만 6천 개 사이트에 적용되었고, 매일 3~4백개의 사이트에 신규로 적용되었다38).
2016년 9월 다음 지도가 카카오맵으로 개편된 후에는 종전의 래스터 37) https://blog.naver.com/naver_map/10117431618
지도를 벡터 방식으로 전환하여 도로명 표현 스타일을 개선하였다. 카카 오는 월별 정기업데이트에서 검색데이터, 표출데이터(여기 주소 보기), 도로명 데이터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39)
3) 티맵·티맵 대중교통(SK텔레콤)
티맵도 네이버나 다음과 마찬가지로 정부에서 도로명주소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다. 2015년 이전까지는 특정 시설물의 주소를 지번 주소와 도로명주소로 병행 표기하다가, 2015년부터는 도로명주소를 기본 값으로 사용 중이다. “행정안전부 등 정부 관련 기관에서는 도로명주소 의 활성화를 원하는 지속적인 의견에 대응하여 티맵에서는 검색/도로 위 주소 표기, POI주소 표기 등에 도로명주소의 사용을 확대해 왔다”40).
4) 구글 지도
앞서 살펴본 네이버, 다음, 티맵이 우리나라 영토를 대상으로만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구글 지도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다. 한편 구글은 타 지도 서비스 공급자들과는 달리 국가 안보 상 이유로 인하여 국토부(국토지리정보원)로부터 국내 1:5000 수치지도의 사용 허가를 받지 못하여 SK텔레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데이터를 제공 받고 있으며41), 이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국내에서 최신지도 및 내비게이 션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없다.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된 2014 년에도 구글 지도에서는 일정 기간 도로명주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39) https://kakaomap.tistory.com/234?category=197647 40) 5.28. SK텔레콤(티맵) 담당자(X) 인터뷰.
41) 9년간 이어진 정밀지도 반출 논쟁, 종지부를 찍다...주요 쟁점과 향후 전망은
(조선비즈, 2016.11.20.)
것으로 나타났다.42)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구글 앱을 통하여 다른 나라 지도는 원활히 이 용할 수 있는데, 구글 지도 앱은 도로명주소가 오랜 시간 정착된 다른 나라의 지도 앱 기능의 영향을 받아 도로명주소와 관련한 기능 구현이 월등한 것으로 보였다.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 절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연도 네이버 다음/카카오 티맵 구글
2009 ∙지도화면에 도로명 표시 ∙지도화면에 도로명 표시 ∙지도 한글 검색 오픈(’08.10월)43)
2010
2011 ∙도로명주소 검색 지원(’11.4월)
∙지도화면에 도로명/건물번호 표시(’11.8월~’12년)
∙지도화면에 도로명 표시
2012
∙지도화면에 도로명/건물번호 표시(’12.4월)
∙도로명주소 검색 지원
2013 ∙도로구간 표시 등 개선 2014 ∙일변동 업데이트 반영
2015 ∙주소 및 우편번호 검색API 배포 ∙도로명주소 검색 지원 2016 ∙벡터 방식 스타일 개선
2017 ∙건물 출입구 정보 제공 기능 보강44)
2018 ∙벡터 방식 스타일 개선 ∙도로명주소 우선표기를 기본값 2019
2020
출처: 네이버 지도 블로그(blog.naver.com/naver_map/); 다음 지도 블로그
(blog.daum.net/daummaps/); 공간정보와 인터넷지도(www.internetmap.kr/681); 카카오맵 블로 그(kakaomap.tistory.com/); 주44를 종합
[표 6-6] 연도별 주요 4개 모바일 지도 및 내비게이션 업체 도로명주소 관련 기능 개선 사항(2009~2020)
42) 도로명 주소 쓰라는데…"구글 지도엔 없네"(머니투데이, 2014.1.17.) 43) https://www.internetmap.kr/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