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온라인 주소 사용환경 구축을 위한 정부의 노력

도로명주소의 법정 주소로서의 사용 의무화, 정부 및 지자체의 캠페인 등 홍보 활동을 통하여 국민들 사이에서 정책순응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 다고 하더라도, 정작 국민들이 스스로 도로명주소로 길을 찾거나 상대방 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등에 있어서 도로명주소를 활용하는 시도를 하였 을 때 현장의 주소 사용환경이 그 시도를 뒷받침해 주지 못한다면 오히 려 그 경험을 계기로 정책순응이 감소하여 국민들은 종전의 대안인 지번 이나 시설물명을 사용할 것이다. 그러할 경우 주소의 ‘식별 및 위치찾기’ 의 기능의 발휘는 더 늦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오프라인 주 소 사용환경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구축될 때까지 지속될 것이며, 숙성 기 효과 발현 시점은 그만큼 더 지연될 것이다.

제 2 절 온라인 주소 사용환경의 지연

수 있다.

도로명주소는 수치지도 위에 최초로 구현되었는데, 우리나라의 공간 정보시장은 그 속성별로 소관 부처가 공간정보(국토부, 맵핑), 위치정보

(방통위, LBS), 주소정보(행안부, 위치표시) 등으로 나뉘어 있고 지적도

와 수치지도는 서로 정확한 위치가 결합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는 점 은 한계였습니다. 그러나 도로명주소기본도가 점차 고도화되면서 현재 는 현장의 변동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민간에 제공·유통체계를 구축하고, 건물의 주된 출입구까지 위치를 안내하고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등의 위치찾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 .”

(5.27. 행정안전부 주소정책과 관계자(C 사무관) 인터뷰)

이러한 도로명주소 정보와 갱신체계는 2012년 4월부터 10월 주요 온 라인 지도 공급자인 포털사(네이버, KT, 다음 등)와 업무협약을 통하여 민간에 무상으로 제공되어,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의 빠른 주소 전환을 지원하였다. 이후에는 금융, 택배/물류 등 대기업 외 “중소 법인 이나 영세업자의 주소 정제 및 주소 입력환경 개선을 목표로 2016년 7월 부터는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를 통하여 도로명주소 검색 및 입력

OPEN API를 배포하였으며,”34) 2016~2017년 약 30만 개 공공 및 민간분

야 인터넷 사이트를 대상으로 도로명주소 검색·입력 등 활용 실태를 조 사하고 개선하였다35). 2016년 12월부터는 주소DB 일변동자료를 민간 업 계에 제공, 일반에 배포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 및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관계자 인터뷰에서는 특히 일변동자료를 민간에 제공하는 측면에서 정부 와 민간, 특히 주요 모바일 및 내비게이션 지도 공급 업체인 네이버, 다 음, 티맵이 매우 협력적인 관계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34) 5.28. 행정안전부 주소정책과 관계자(B 서기관) 인터뷰.

35) 속 터지는 도로명주소 검색·입력… 사이트 18000곳 불편 없앤다(서울신 , 2018.6.18.)

네이버, 다음, 티맵과는 매우 협력적인 관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털 업체들이 정부가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일변동 데이터를 거의 그대 로 가져가서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업체들은 사용자들이 상호명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정부한테 상호명까지도 업데이트 해 달라고 요청을 하 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국가가 상호명을 제공할 수는 없는 것이, 국가 가 제공하는 정보에는 정확성과 최신성 등이 확보돼야 하는데, 상호명 체계는 민간 영역이기 때문에 그럴 수가 없습니다. 이에 민간은 정확 , 최신성이 확보된 정부제공 도로명주소 데이터에다가 민간이 자체적 으로 노하우를 붙여서 상호명 데이터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4.28.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관계자(S 책임) 인터뷰)

출처: 행정안전부, 2017

[그림 6-10] 국가주소정보시스템 개념도

출처: 행정안전부, 2019년도 예산 사업설명자료

[그림 6-11] 신축 건물의 도로명주소 부여 및 민간 유통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