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거버넌스는 합의된 개념이 없는 만큼 그것을 분석하는 변수들 또한 합 의된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학자마다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요인을 다 양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로컬 거버 넌스를 구성하는 핵심 변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는 참여, 협 력, 네트워크의 속성을 지닌 변수가 사용된다(조승현 외, 2009; 김형양, 2006, 최진학 외, 2006, 이동규 외, 2013; 박희봉, 2002). 여기에 추 가적으로 법적 측면을 다루는 연구로는 김순은(2013), 박성훈 외 (2008), 정진원 외(2011) 등이 있고 그 중 김순은(2013), 박성훈 외 (2008)의 연구는 그 외에도 거버넌스 주체의 운영 자체에 관련한 변수 를 다룬다.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거버넌스의 구성요인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램 평가체제 구축, 참여·책임·투명성에 관한 조례 발의

박 기 관 (2009)

- 지역환경여건 - 네트워크 - 사회적 자본 - 참여 및 협력

- 이해관계자 역량(주민, 공무원, 민간 및 NGO) - 사업내용(실천의지 및 변화도)

박성훈 외 (2008)

주체

- 지방의원: 1인당 의원발의 건수, 1인당 조례제정 건수 - 지방정부: 재정자립도, 지역내총생산(GRDP)

- 시민단체: 심의위원 참여수 질적 측면

- 제도적 측면: 인상근거, 위원회구성 및 운영 - 내용적 측면: 주체간 권력관계, 인상 및 삭감논거 - 기술적 측면: 시민단체 참여전략, 협상방법 조승현 외

(2009)

- 환경여건

- 행위자들의 참여

- 행위자들의 이해관계 조정 - 각 행위자간의 상호작용 김 형 양

(2006)

- 자발적 참여: 자발성, 참여정도 - 협력: 상호 신뢰, 공동목표 인식 - 공동결정: 대등한 권력, 책임분담 인식 정진원 외

(2011)

- 법제도적 측면(관련 법률, 조항의 유무) - 네트워크 형성

- 상호의존성 - 지속적 상호작용

최진학 외 (2006)

- 자원: 재정자원, 물적자원, 인적자원

- 파트너십: 파트너 특성, 파트너 간의 관계, 주민자치센 터특성

- 외부환경: 지역사회 특성, 지자체의 특성 - 기능: 제공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용

이동규 외 (2013)

- 참여 요인: 행위자들의 민주적 참여 - 정보 요인: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 - 협력 요인: 민관 파트너십 구축 강 황 선

(2003)

- 리더십

- 이해관계자의 신뢰와 파트너십 - 참여자의 자체역량

- 정부유인체계

박 희 봉 (2002)

- 신뢰와 참여 - 수평적 시민단체 - 개방형 네트워크 - 정책결정의 합의

앞의 거버넌스 구성요인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김순은(2013)의 연구를 참고하여 거버넌스를 크게 구조로서의 거버넌스와 절차로서의 거 버넌스로 구분할 것이다. 구조로서의 거버넌스에는 제도적 측면, 구성적 측면, 운영적 측면을 주요 변수로 사용할 것이다.

제도적 측면을 구성요인으로 사용한 연구는 김순은(2013), 박성훈 외 (2008), 정진원 외(2011) 등이 있다. 구성적 측면은 주체간 관계와 관 련 운영주체의 역할에 관한 요인으로, 이를 분석 요인으로 사용한 연구 는 김순은(2013), 박기관(2009), 박성훈 외(2008), 조승현 외(2009), 김형양(2006), 정진원 외(2011), 최진학 외(2006), 이동규 외(2013), 강황선(2003), 박희봉(2002) 등이 있다. 운영적 측면은 조직의 현황과 관련한 내용으로 조직의 자원, 소통 주기, 주민자치위원의 구성에 관한 요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운영적 측면의 구성요인은 김순은(2013), 박 성훈 외(2008), 최진학 외(2006), 강황선(2003) 등의 연구에서 구성 요인으로 사용되었다.

절차로서의 거버넌스는 내용적 측면과 환류를 주요 변수로 사용할 것

연구 문제점 김 일 태

(2003)

- 참여의 문제: 인지도나 참여 의지는 높으나 참여도는 낮 음

- 구성과 운용방식: 단순 서비스 전달기구로 인식 - 획일적 프로그램 운용과 비용조달방식

강 동 식 (2004)

- 주민자치센터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의 다양 성, 참여계층의 다양성 문제, 전문강사 확보의 어려움,

표 2 선행 주민자치센터 문제점과 구성요인

이다. 내용적 측면은 두 주민자치센터의 주민접근성, 프로그램 및 사업, 주민 참여에 관한 요인이다. 내용적 측면에 관한 요인은 김순은(2013), 박기관(2009), 박성훈 외(2008), 조승현 외(2009), 김형양(2006),;

정진원 외(2011), 최진학 외(2006), 이동규 외(2013) 박희봉(2002) 의 연구에서 구성요인으로 사용되었다. 환류는 주민자치센터 사업이나 운영에 관한 환류체계에 대한 내용이다. 김순은(2013), 박기관(2009), 조승현 외(2009), 정진원 외(2011)에서 주요 구성요인으로 사용되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