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센터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민자치센터 설립 초기와 중기, 주 민자치회로의 전환을 앞둔 시기로 구분될 수 있다. 주민자치센터 설립
초기는 주민자치센터 활성화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는 김일태(2003), 강동식(2004), 김환철 (2004) 등이 있다. 김일태(2003)는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새로 도입된 주민자치센터에 대해 행정자치부에서 제시하는 조직과 운영방식의 틀 내 에서의 프로그램 운영방안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지역 주민의 의식과 욕구에 맞는 조직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관악구민의 의식을 살핀 결과 자치기구로서의 주민자치센터가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 램을 제공하면서 시민참여를 보장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강동식(2004)은 본래 의도와는 달리 지적되고 있는 주민자치센터의 문제점을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상 문제, 주민자치위원 구성의 자율성 제고 문제, 자원봉사자에 대한 배려 문제, 운영재원 확보의 문제, 평가시 스템과 feedback체제 미흡 문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에 따른 활 성화 방안을 제시한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참여와 중앙 및 지방정부의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김환철(2004)은 주민참여의 방법론으로서의 주민자치센터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의정부 사례 를 실증분석 하였다. 주민자치센터의 구조와 제도적인 측면, 운영적 측 면, 외부사례로 구분하여 활성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2006년 이후에는 주민자치센터를 평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연 구가 다향하게 이루어졌다. 주민자치센터를 평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 하는 연구에는 박세정(2008), 김순은(2012) 등이 있다. 박세정(2008) 은 주민자치센터를 주민자치를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보고 주민참여의 관점에서 주민자치센터를 평가하였다. 주민참여의 관점에서 주민자치센 터와 주민자치위원회의 문제점을 밝히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민
자치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처방으로 주민자치위원회에 자치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순은(2012)은 주민자치센터의 특징을 목적, 역할 및 조직, 운영위원 회의 선출, 활동과 프로그램, 시민참여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 민자치센터의 평가로 낮은 참여도, 대표성 문제, 차별성의 부재 등을 제 시하였다. 주민자치센터의 미래 지향으로 통합모델, 협력모델, 주민 조직 모델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무엇보다도 지역 현안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 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2011년 이후에는 주민자치회로의 전환을 앞두고 지방행정체제개편추 진위원회에서 제시한 주민자치회 세 가지 모델을 분석하며 주민자치회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이 주를 이룬다. 주민자치회의 방향을 제 시하는 연구로는 심익섭(2012), 김필두(2013), 김찬동(2010) 등이 있 다. 심익섭(2012)은 지방행정체재개편추진위원회가 제시한 세 가지 주 민자치회 모델을 비교평가 함으로써 한국적 지방자치회 모델에 관한 논 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그동안 한국 지방자치의 문제가 단 체자치에 치우쳐 나타났다고 보고 실질적인 주민자치를 통해 해결하여야 한다고 제언하며 협력형과 주민조직형의 중간 수준인 통합형이 바람직하 나 선택은 주민의 몫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필두(2013)는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 하여 근린자치 활성화방안을 논의하였다. 현행 주민자치센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방행정체제개편 추진위원회가 제시한 세 가지 기본 모형을 분석하여 근린자치의 강화의 조건을 지원제도 측면, 근린자치 주체 측면, 근린자치사업 측면으로 구 분하여 탐색하고 주민자치회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고 효율적으로 운영되 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김찬동(2010)은 지방의회와 지역자치의 단절을 지방의회의 역할과 위 상, 지방의화와 지역자치관리의 단절, 행정관리와 자치관리의 괴리의 측 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자치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방 향을 제시하였다. 그 방향으로 동주민센터와 자치회관, 아파트 관리조직 과 주민자치위원회, 지역종합자치관리 등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며, 지방 의회가 지역 주민의 실질적인 대표 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지역자치조직 으로서의 주민자치위원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