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거버넌스 구성요인 주민자치센터의 측정 구조로서의
로컬 거버넌스
제도적
측면 법적근거 관련 조항(운영, 내용, 환 류)
구성적
측면 주체간 관계 주민센터와 주민자치센터 관계
절차로서의 로컬 거버넌스
운영적 측면
자원
재정: 지원액, 자체재원 물적: 공간, 장비
인적: 프로그램 강사, 자원 봉사자, 주민자치위원
소통 주기 주민자치위원회 정기회의 개최현황
주민자치위
원회 구성 임명 및 활동기간 표 3 분석의 틀
제 2절 분석틀 및 분석방법
내용적 측면
주민 접근성 주민자치센터 개방시간 프로그램 및
사업 내용
개설 프로그램 수 및 종류, 사업 종류 및 내용
주민 참여 일반 주민의 참여
환류 환류체계 법적, 실질적 환류체계 여부
오늘날 지역의 정책과정은 지방자치의 발전에 따라 정부주도에서 주민 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구조로서의 로컬 거버넌스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변화는 지역 단위에서 주민자치를 보장할 수 있 는 제도적인 근거가 마련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흐 름 속에서 로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주체 간 관계가 어떠한 관계인지도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척도이다. 먼저 제도적 측면은 주민자 치센터의 법적 근거에 관한 내용이다. 두 주민자치센터가 어떤 법적 근 거에 의해 설치되고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관련 조항을 분석할 것이다 (김순은, 2013; 박성훈 외, 2008; 정진원 외, 2011).
구성적 측면은 로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주체 간 관계에 관한 내용으 로 지역의 일을 해결하는 데 있어 주민자치센터와 정부기관의 관계가 어 떠한지에 관한 내용이다(김순은, 2013; 박기관, 2009; 박성훈 외, 2008; 조승현 외, 2009; 김형양, 2006; 정진원 외, 2011; 최진학 외, 2006; 이동규 외 2013; 강황선, 2003; 박희봉2002). 주체간 관계는 주민자치센터와 정부기관과의 관계를 주민자치센터와 주민센터의 관계 측면에서 분석한다. 두 주체간 관계는 주민센터 공무원이 주민자치센터 의 활동에 강력한 통제를 하는지 자율성을 부여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 타난다. 주민자치센터의 활동이 정부의 통제를 받으며 자율성이 약하고, 정부 정책 의도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주민들이 자 발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공공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대
분될 수 있다. 이 때 주민자치센터는 주민센터 공무원에 대해 수평적이 고 대등한 위치에 있다. 두 형태의 중간 수준에서는 주민자치센터의 활 동이 비교적 활발하지만 정부 의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경우이 다(김순은, 2013; Pierre and Peters, 2000). 도화동 주민자치회는 도 화동 주민센터와의 관계를, 구좌읍 주민자치센터는 구좌읍사무소와의 관 계를 대상으로 조합주의, 다원주의, 조합다원주의의 형태 중 어느 것이 부합하는지 분석할 것이다. 관련 운영주체 역할 별로 주민자치위원과 주민센터 공무원의 역할 분담에 관하여 각각 어떻게 역할을 분담되어있 는지 분석한다.
구조로서의 거버넌스가 거버넌스의 하드웨어에 관련한 내용이라면, 절 차로서의 거버넌스는 거버넌스의 소프트웨어에 관련한 내용이다. 거버넌 스가 주민자치센터와 관련하여 잘 구조적으로 잘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 라도 주민자치센터가 실질적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주민자치 센터는 거버넌스의 주체가 될 수 없다. 절차로서의 거버넌스는 운영적 측면, 내용적 측면, 환류를 주요 변수로 사용할 것이며 주민자치센터가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관해 분 석한다. 운영적 측면은 조직의 현황에 관한 내용으로 조직의 자원, 소통 주기, 주민자치위원의 구성에 관해 분석할 것이다(김순은, 2013; 박성훈 외 2008; 최진학 외, 2006; 강황선, 2003). 운영적 측면에 대해 분석 을 하기 위해 구조로서의 로컬 거버넌스의 제도적 측면에서 조례에 명시 된 내용들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조례에 명시된 사항들이 운영 과정에 서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조직의 자원의 경우 최진학 외(2006)의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를 적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재정자원 은 정부로부터의 지원액과 주민자치센터 자체재원으로 측정하고, 물적자
원은 주민자치센터가 사용하는 공간과 장비에 관한 내용이다. 인적자원 은 프로그램 강사와 자원봉사자, 주민자치위원의 수를 측정할 것이다.
자원에 관한 내용들도 조례에 명시된 내용들과 비교하여 제대로 운영되 고 있는지 분석 할 것이다. 소통 주기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어떠한 주기 로, 얼마나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는지에 관한 요인이다. 회의가 조 례에 명시된 바대로 개최되고 있는지에 관해 분석할 것이다. 주민자치위 원회의 구성은 임명방식과 활동기간 등에 관한 내용이다.
내용적 측면은 주민자치센터의 활동이 얼마나 주민자치에 부합하는지 에 관한 내용이다. 주민자치센터는 주민자치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어 야 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주민 접근성, 프로그램 및 사업, 주민 참 여를 조사한다(김순은, 2013; 박기관, 2009; 박성훈 외, 2008; 조승현 외, 2009; 김형양, 2006; 정진원 외, 2011; 최진학 외, 2006; 이동규 외 2013; 박희봉2002). 주민 접근성은 주민들이 주민자치센터의 프로 그램에 참여하거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에 관련한 내용이다.
주민자치센터의 프로그램이나 사업은 주민들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주 민들은 개방시간에만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민자치 센터 개방 시간은 주민들이 이용 가능한 시간대에 개방함으로써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주민 접근성은 주민들이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시간에 관한 요인으로 주민자치센터의 개방시간을 조사할 것이 다. 프로그램 및 사업은 주민자치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사업이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에 관한 내용이다. 주민자치센터에서는 조 례에 명시된 기능에 따라 프로그램과 사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 서 시행 프로그램과 사업이 적절한 것인지, 더불어 그것이 지역의 인구 구성에 얼마나 부합하며,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지 분석할 것이다. 주민 참여는 일반 주민들이 프로그램 및 사업에 어떠한 방식으로, 얼마나 참
여하는지에 관한 요인이다. 주민자치센터가 실질적인 로컬 거버넌스 주 체가 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위원, 공무원들의 공간이 아닌 주민들을 위 한 공간이어야 한다. 주민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여 주민자치를 실현하 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민자치센터에 일반 주민들이 프로그램 및 사업에 얼마나 참여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참여하는지에 관하여 조사할 것이다.
환류는 환류체계에가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김순은, 2013; 박기관, 2009; 조승현 외, 2009; 정진원 외, 2011). 주민자치센터가 실질적인 주민자치를 위한 장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환류를 통해 그 운영의 질을 관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두 주민자치센터의 활동에 대하여 실질적 환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할 것이다.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의 선정은 통계청 e-나라지표 중 용도지역 기 준3)에 따라 제시한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에 부합하는 두 지역을 선정 하였다. 용도지역 기준에 따르면 도시지역 기준은 주거·상업·공업·녹 지 지역으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이 이에 해당된다. 농어촌지역은 관리·농림·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이 이 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