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V. 미국 SF영화, <스타트랙>의 셰익스피어

Ⅵ. 결 론

지금까지 상호텍스트성의 측면에서 소네트를 적용한 셰익스피어 후대의 다양 한 영상물과 사회 문화적 양상을 조망하며 살펴보았다. 21세기에 들어서 문학과 다른 분야의 예술적 관계를 논하며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 현상은 국제적 으로 다양하게 확인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의 영향 속에서, 새로운 학문적 시 도가 요구되는 바이다.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는 쓰여진 지 400여년이 지난 오늘 날까지도 연극은 물론이고 영화와 음악, 심지어 회화의 영역에서도 상호텍스트성 의 원전으로서 다채로운 역할을 해 오고 있다. 당시에는 소네트가 셰익스피어와 친구들 사이에서 재미를 더하려고 회자되었을 것이라는 추측할 수 있는 것처럼, 오늘날에도 영화를 비롯한 여러 문화장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시되고 있 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낭만적 애정시로 널리 알려진 소네트가 현대에 다른 장르 로 전이되어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청소년이 즐기는 시트콤에서나 공상과학 영화 에도 빈번하게 등장해 왔는데, 이를 받아들이는 독자와 관객들은 오히려 400년 이 지나도록 계속 읽혀온 소네트의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들이며 특별히 연구의 대상으로 여기지는 않았다.

상호텍스트성의 원전으로서 현대의 영상매체에 미친 소네트의 영향력과 독특 한 우월성은 매우 다양하게 드러났다. 첫째, 셰익스피어 소네트는 페트라르카 시 풍의 전통을 사용하고 있다. 애인에 대한 애정과 이별에 대해 암흑 속에서도 보 인다는 모순어법으로 설명한 제43편처럼 그의 이야기들은 애정시의 맥락을 잃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로미오와 줄리엣 은 연인 간의 사랑을 표현하는 형식으로 서 소네트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I.v.92), 끝이 좋으면 다 좋아 (All’s Well that Ends Well)에서 헬레나(Helena)는 자기희생적 이별을 노래하며(III.iv.5), 관심 없는 버트람(Bertram)이 자신의 짝사랑을 거절하지 않기를 못내 바란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서 사랑의 헛수고 (Love’s Labour’s Lost)에서 시를 통한 구애가 주요 테마로 사용되는데, 페르디난드(Ferdinand) 왕과 귀족들인 배룬(Berowne),

뒤멘느(Dumaine), 롱거빌(Longaville)은 성적 쾌락을 추구하지 않고 학문에 열 중하기로 결심하지만, 프랑스 공주와 그녀의 여성 동행인인 로잘린(Rosaline), 마리아(Maria), 캐서린(Katherine)이 나바르 왕국에 들어오자 결심이 흔들린다.

이때 베룬은 “오 이런, 나는 정말 사랑하고 있구나, 그래서 시를 읊게 되었 어”(By heaven, I do love, and it hath taught me to rhyme)라고 말하고 있는 데(IV.iii.217-70), 그의 연인은 소네트의 검은 여인을 연상하게 하는 외모를 지 니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소네트는 위에서 보았던 애정관에 희극적 요소를 더하는 경 향을 띠고 있다. 무엇보다도 셰익스피어의 희극이 유머와 재치가 섞인 언어들을 통해 독창적이면서도 유희적인 내용으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표현해 냈다면, 셰익스피어 소네트는, 그러한 내용을 시가 지니는 함축적인 특성으로 드러내고 있다. 제125편에서 보듯이 시인은 애인에게 소박하면서 진실한 애정표현을 간절 히 원하고 있음을 표현하며 불만족스런 운명을 한탄함으로써 희비극적 연애상황 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셰익스피어에게 있어서 진정한 애정이란 서로에게 의 리를 다하는 것이고, 이것이 어겨진 경우에는 결국 무책임에 대한 비극적 단계로 들어가게 된다. 단순하면서도 준엄한 애정의 속성을 확실히 밝히지 않았다 하더 라도 수많은 희비극적 연애주제는 문학과 영화 작품들의 단골 소재가 되었고, 오 늘날 청소년 영상물들은 이것을 상호텍스트성의 측면에서 활용하고 있음이 분명 하다.

셋째, 셰익스피어의 동성애적 경향에 대한 주장은, 오늘날 독자나 관객들에게, 그것을 받아들이는 부류에 따라서 애증의 대상으로 여겨졌음을 보았다. 전통적인 작가로서 우월한 위상의 셰익스피어는 소네트에서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그의 희곡작품과 같이 상상력에 의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을 수 있으므로, 셰익스피어의 성적 지향에 대해 각색된 작품들 속의 이야기가 그의 실제 삶과 반드시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렇지만 흥미롭게도 이러한 추론은 수많은 변 주작품들을 양산해내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새로운 제작을 시도하는 작품이 많아 질수록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는 시어가 내포하고 있는 함축적 의미의 다양성만큼 이나 여러 가지의 상호텍스트성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매력을 지닌 원전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 파트리지(Eric Partridge)가 말하듯이 미남 청년과 검은 여인, 그리고 시인의 삼각관계에서 비롯된 풍부한 성적 표현들은 대부분 남성적인 화자를 전 제로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Partridge 159). 또한 45세에 출간된 이 시에서 시인은 스스로를 노쇠하다고 말한 것은 시의 수신자인 청년과 여성을 자신과 비 교하며 느낀 감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가 차지해 온 엄청난 문화적 비중을 고려해볼 때, 그의 삶에 대한 정보와 추측은 그 자체가 하나의 문화적 콘텐츠로 작용하고 있으며 비평가를 포함한 일반 독자들도 그들 이 원하는 방식으로 해석해 내고, 사실의 진위여부를 떠나서 다른 장르의 예술가 들에게는 호기심을 자극하여 작품을 창조하게 하는 소재가 되고 있다. 이런 의미 에서 보자면 소네트에 대한 동성애적 관점은, 앞서 보았듯이 학문적 내지 실증적 으로 확실한 입증은 불가능하지만 청소년의 이니시에이션 주제의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반경이 무척 크고 중요하다 할 수 있 다.

넷째, 소네트에 나타난 애정관은 인간의 진정한 사랑이 이성적 판단에 따라 단 순한 감각적 쾌락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남긴다. 즉 셰익스피어의 사랑 은 실재를 볼 수 있어야만 실현가능한 것으로서 애인들은 젊음과 아름다움을 보 존함을 의무로 여겨야 하며, 그 방법은 궁극적으로 결혼생활을 통해 2세를 출산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인습에 의해서 기대되는 것보다 상대방이 실제로 존재하는 모습을 받아들일 때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시인을 직접 주인공으로 한 영화는 물론이고, 경솔한 성적 일탈이 얼마나 커다란 대가를 치르게 되는 지를 특유의 낭만적 요소를 희생시키지 않고도 여실히 보여주었다.

다섯째, 소네트는 성숙함을 향해 나아가는 이니시에이션 맥락이 드러나는 청소 년 영상물에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사실 청소년 영화 에 소네트가 부분적으로만 인용되어왔던 이유는 시인의 성적 경향에 대한 논란 때문에 젊은 독자들에게 강조되지 않았던 탓이다. 그런데, 성적 경향에 따른 사 랑 이야기가 소네트의 내용을 좌우하는 주제인 동시에 동성애적 맥락에서라기보 다는 시인의 젊음에 대한 동경을 나타낸다고 보아야 한다. 셰익스피어에게 있어

서 사랑이란 성적 매력을 의미하지만, 그것은 일종의 우정에 가까운 것이다. 다 시 말해서 젊은 미남과 동침하는 과정에서 연상되는 동성애적 쾌감보다 신체적 으로 더 우월한 젊은이의 아름다운 모습은 노쇠해가는 화자에게 기운을 북돋아 주기에 충분하다는 의미이다.

소네트의 페트라르카적인 낭만성과 양성적 매력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전달 할 수 있으며, 셰익스피어가 페트라르카 문체의 시를 썼을 때, 그가 시도했던 다 른 모든 양식에서와 같이, 그의 우월성을 보여주면서, 셰익스피어의 희곡뿐만 아 니라 소네트도 성장영화에 좀 더 많이 이용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이성 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전달할 수 있으며 고전적인 시 작품 도 그것의 극적 연속성을 고찰하여 청소년들의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배 양하는 영화작품으로 각색될 수 있고, 앞으로도 성장영화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여섯째, 이 시의 동성애와 이성애를 동시에 추구하는 양성애적 경향은 적어도 그것을 각색한 영화들에게 오히려 신비스러운 매력을 더해주고 있다. 이렇듯 시 는 산문에 비해서 한 문화의 가치를 좀 더 다양하게 표현하고 해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의 특성를 문화적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에 입각하여 접근해보면 시 속 에는 패러디화한 기법으로서 파스티슈, 추적불능의 암호, 생략, 함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상호텍스트성의 원전으로서 소네트는 독자들에게 사회 와 문화를 연결 짓고 읽어내는 언어적 지식을 탐구하게 함과 동시에 보편적 성 윤리의 교훈도 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과거에 시로서 희곡의 이미지를 형성해 냈다면, 오늘날 영화는 운문이 지닌 함축적 메시지를 영상을 통해 극적으로 그려 내는 변화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셰익스피어가 세 아이의 아버지로 그들을 부양하는데 평생 일했던 편부이었음에도 그의 성적 경향에 대한 추측은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정체성과, 그리고 양성 평등과 더물어 인종의 다양성을 지향하는 미국의 정치·사회적 양상 을 논제로 삼을 만큼 현대의 문화적 창작물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소네트의 화자로서 셰익스피어는 동성애와 이성애가 선과 악의 기준을 전복시킨 결과를 낳는데, 루이스(Wyndham Lewis)는 시인이 “여성에 대한 정상적인 연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