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II. 소네트와 청소년 영상물

3. 소네트와 성장영화

셰익스피어는 소네트 제17편에서 “미래에 누가 나의 시를 믿어주리오 / 시구 마다 그대의 미덕으로 충만해 있더라도.”라고 표현하여 자신의 동성애적 성향이 어쩌면 일반 독자들에게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듯하다. 물론 중년 유 부남으로서 시인은 이 시에 동성애적 맥락을 포함시킨 것에 윤리적 부담을 느꼈 을 수도 있다. 하지만 소네트 제77편, “그대의 거울은 그대 아름다움이 얼마나 깎이는가를 보여주리라,” 그리고 제122편에서, “그대가 주신 수첩은 지금 내 머 리 속에 있나니/잊을 수 없는 것을 빠짐없이 기록하였기에”라고 피력함으로써 세월이 지나 무색해질 젊음의 한계성와 그것을 시집에 담아 보겠노라고 한 약속 이 지금까지 400여년이 흐르도록 지켜진 셈이다.

제17편

누가 나의 시구를 믿어주리요?

시구마다 그대의 미덕으로 충만해 있더라도.

하늘은 알리니, 시란 한낱 무덤에 지나지 않는 것을,

그대의 진정한 생명 가리고, 그대의 천재를 반도 못 나타내는.

그대의 아름다운 두 눈을 글로 묘사하고, 새로운 노래로 그대의 우아를 예찬하더라도, 후세 사람은 말하니, ‘이 시인은 거짓이다,

인간의 모습이 이런 천국의 필치로 그려진 예는 없다‘고.

내 시집은 연륜과 함께 퇴색하여, 수다스러운 늙은이같이 비난을 받고, 그대의 탁월은 시인의 광상(狂想)이요, 옛 시에서 보는 과장된 표현이라고.

그러나 그때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에게서 그대 다시 살으리라, 그리고 내 시에서도.

Who will believe my verse in time to come, If it were filled with your most high deserts?

Though yet heaven knows it is but as a tomb Which hides your life, and shows not half your parts.

If I could write the beauty of your eyes, And in fresh numbers number all your graces, The age to come would say ’This poet lies;

Such heavenly touches ne’er touched earthly faces.’

So should my papers, yellowed with their age, Be scorned, like old men of less truth than tongue, And your true rights be termed a poet’s rage And stretched metre of an antique song:

But were some child of yours alive that time, You should live twice, in it, and in my rhyme.

제77편

그대의 거울은 그대 아름다움이 얼마나 깎이는가를 보여주리라.

그대의 해시곈 그대 귀한 시간이 어떻게 낭비되는가 보여주리라.

또 이 빈 종잇장은 그대의 마음의 자취를 지니리라.

그대는 이 책에서 이러한 교훈을 음미하리라.

그대의 거울이 진실하게 보여주는 이마 주름은, 입을 벌린 무덤의 기억을 주리라.

그대는 시계의 숨어서 가는 그림자를 보고 영원으로 향하는 시간의 밀행(密行)을 알리라.

보라! 그대의 기억이 간직하니 못하는 것은 이 빈 지면(地面)에 맡기라,

하면 그대의 두뇌에서 태어나 길러지는 아이들을 발견하고 그대 마음의 새 친교(親交)를 얻으리라.

거울과 시계를 들여다볼 때마다

그대는 이익을 얻고 이 책은 풍부해지리라.

Thy glass will show thee how thy beauties wear, Thy dial how thy precious minutes waste;

These vacant leaves thy mind’s imprint will bear, And of this book, this learning mayst thou taste.

The wrinkles which thy glass will truly show Of mouthed graves will give thee memory;

Thou by thy dial’s shady stealth mayst know Time’s thievish progress to eternity.

Look! what thy memory cannot contain,

Commit to these waste blanks, and thou shalt find Those children nursed, delivered from thy brain, To take a new acquaintance of thy mind.

These offices, so oft as thou wilt look, Shall profit thee and much enrich thy book.

제122편

그대가 주신 수첩은 지금 내 머리 속에 있나니 잊을 수 없는 것을 빠짐없이 기록하였기에, 헛된 종잇장들 이상으로

모든 시대를 초월하여 영원토록 남으리라.

적어도 뇌와 심장이

자연 법칙에 의하여 기능을 계속하는 한 메모 한 장이 그대의 기억을

완전한 망각에 내맡기기 전에는.

그 메모에는 그리 많이 적어 넣을 수도 없고,

내 또한 그대의 사랑을 기록할 나무쪽을 필요치 않노라.

그리하려 나는 겁도 없이 그 수첩을 다 버렸어라, 그대를 더 많이 기록할 내 기억을 믿고.

그대를 기념하는 부속물을 간직함은 내 건망증을 초래하게 하는 것이라.

Thy gift, thy tables, are within my brain Full charactered with lasting memory, Which shall above that idle rank remain, Beyond all date; even to eternity:

Or, at the least, so long as brain and heart Have faculty by nature to subsist;

Till each to razed oblivion yield his part

Of thee, thy record never can be missed.

That poor retention could not so much hold, Nor need I tallies thy dear love to score;

Therefore to give them from me was I bold, To trust those tables that receive thee more:

To keep an adjunct to remember thee Were to import forgetfulness in me.

비록 소네트 제52편과 제75편 그리고 제87편이 성적인 관계를 나타낸다고 주장 하는 의견도 있지만(Cox 481), 화자와 상대방이 동성애적 육체관계를 가졌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시인에 대한 동성애적 담론은 지극히 사변적 내용을 보여 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청소년 영화들은 시인의 성적 경향에 대한 편견 때 문에 소네트 제18편의 유명한 문장인 “당신을 여름날에 비교할 수 있을까” 정도 를 인용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이 소네트 전체가 하나의 연속체로서 이 니시에이션 주제에 해당하는 감정과 이 작품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앞 에서 제시된 것처럼 검은 여인을 상대로 화자인 시인과 청년 사이에 펼쳐지는 성적 유희가 담고 있는 교훈을 전하는 시각으로 이 작품을 해석한다면, 순수한 사랑과 양성적 매력을 추구한 이 로맨스 영화가 아름답고 진솔한 소네트의 시어 를 듬뿍 이용한 좀 더 완전한 성장영화로 제작될 전망은 밝다고 할 것이다. 더불 어 헤가티(Emily Hegarty)가 주장하듯이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는 고등문화의 상 징으로서 사랑의 욕망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도 청소년들에게 은근하면서도 좀 더 감동적인 영감을 주게 될 것이다(Hegarty 56).

이렇듯 셰익스피어 작품들을 영상화하여 현대의 청소년 세대에게 셰익스피어 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복합적인 각색과 인용을 더하는 작품들이 영상화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는 시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제는 청소년 또는 청년 독자들에게 이니시에이션 매개체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청소년대상의 코미디물과 소네트 간의 역설적 결합은 셰익스피어의 텍스트를 각색하거나 재창 조하여 또 다른 새로운 세대에게 부응하는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