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유가의 상승이 우리 경제에 심각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심하기는 어렵다. 여러 연구들에서 이러한 유가충격의 영향이 경제의 변동에 기여 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지적한 것도 이러한 유가 영향의 심각성을 되새 기게 한다. 그러나 유가충격의 효과가 크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 으나 과연 그 효과가 어떠한 경로를 거치면서 확산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구조적 VAR 모형을 설정하고 거시부문과 산업부문에 대하여 유가충격이 경제와 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 그 경로를 분석하였다.

우선 거시경제부문에서 유가충격에 대한 거시경제변수들의 반응함수 를 도출함으로써 유가충격에 대해서 단기에 변동성이 존재하나 장기적 으로 산업생산이 지속적 둔화하며, 소비자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통화량, 이자율, 환율 등의 변화에 변동성을 심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거시경제부문에서 통화정책을 모형에 포함하여 통화정책의 유가충격에 대한 효과를 내재화할 수 있었고, 이는 유가충격의 고유한 영향을 도출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통화정책에 대한 충격반응을 도출한 바에 따르면 통화정책에 대한 거시경제적 반응은 기존의 실증연구나 경제이론에 부 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거시부문에 덧붙여 산업부문에 대한 세 가지 다른 모형을 분 석하여 보다 면밀한 형태의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의 반응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산업부문 모형에서는 산업생산과 가격을 산업모형으로 구성 하여 개별산업의 유가충격에 대한 생산과 가격의 반응을 추정하였다. 이 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업은 수요위축에 따른 유가충격반응과 공급둔화 에 따른 유가충격반응이 동시에 산업별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다소비산업에서는 생산비상승에 따른 직접적 생산둔화를 발생시키는 공 급충격 경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산업부문 모형에서는 산업출하와 재고/출하비율을 모형으로 구성하여 이들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응함수를 도출하였다. 이 충격반응 함수의 추정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공급측면의 충격과 수요측면의 충격이 산업별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에너지다소비산업에 서 공급충격의 경로를 통해 유가충격이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외수출가격과 수입가격을 생산자가격에 대비하여 산업생산과 함께 모형에 포함하여 구성한 모형에서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국내에서 의 생산비상승에 따른 생산둔화의 충격과 해외에서의 수출수요 위축에 따른 수요충격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는 우리 산업이 유가충격에 대해서 이중의 부담을 겪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하여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의 반 응을 도출한 결과, 거시경제의 유가충격은 기대한 바와 같이 장기적 생 산둔화와 물가상승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산업부문에서는 생산비 상승에 따른 생산둔화와 수요위축에 따른 생산둔화가 혼재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에너지다소비산업에서는 공급충격에 의 하여 유가충격이 확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별 산업에서 장기적으로 산업생산이 둔화되는 반응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유

가충격에 따른 산업간 요소이동은 유가충격의 영향 면에서는 비중이 작 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정결과는 유가충격이 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먼저, 유가충격에 대한 영향이 장기적으로 산업생산에 부(-) 의 영향을 미치며 개별 산업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개별 산업에서 장기적인 유가충격 영향이 유사하며, 그 구조도 유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가충격은 전반적으로 개별적인 산 업경기의 장기적 둔화를 초래하며, 산업의 구조도 같은 방향의 둔화를 초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유가충격이 개별 산업간에 충격의 차별성 보다는 전반적인 침체를 가져오는 것으로 산업구조나 시장구조가 유가 상승에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가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완 화하기 위해서는 산업의 에너지의존도 및 에너지집약도를 낮출 수 있는 정책과 동시에 개별 산업의 시장구조를 경쟁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산 업의 경쟁강화 정책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유가상승 이후 발생하는 수 요위축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이다. 산업제품의 생산비 상승과 수요의 위축은 유가충격을 더욱 심각한 방향으로 전개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에너지집약도가 큰 에너지다소비산업에서의 유가충격은 생산성 둔화, 생산비 상승 등의 공급충격에 의하여 확산되고 있다. 이는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비용구조가 유가충격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 미한다. 따라서 유가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에너지다소비적 산업구조 에 대한 탈피도 필요하지만, 개별 산업의 에너지다소비적 비용구조에 대 해서도 전환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대다수의 산업에서 유가상승을 경험하였을 때, 국내 생산비 상

승과 더불어 해외 수출 수요의 감소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생산비의 상승은 국내 물가 상승을 유발하여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이는 다시 산업에서의 생산 위축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해외 수출 수요의 감소는 제품의 해외가격을 하락시키며 국내 산업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수익구조를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은 유 가상승에 대하여 이러한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 라서 이러한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의 산업구조 전환이 필요하 다고 볼 수 있다. 해외의 수출 수요가 줄어드는 것은 유가상승으로 인하 여 해외의 제품수요가 탄력적으로 줄어드는 제품을 우리나라 제조업이 생산하여 수출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유가상승에 대하여 비탄력적 인 제품의 수출을 전략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모 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빈약한 국가이며, 이러한 구조 적인 단점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중심의 수출전략을 구사하며 운영되었 다고 해도 무리가 없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유가충격에 대하여 취약한 경제구조로 우리경제를 유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가 등 해외 경제변수의 변동은 우리 경제의 수익성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왔다. 이러 한 구조적 취약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가 변동할 수 있는 고 려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인적 자원이 풍부한 국가이며 이러한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수익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의 산업구조 전환이 모색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지식산업 및 고부가가치산업으로의 산 업전환은 에너지 측면만이 아니라 경제 전반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 임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성현․김영덕․조경엽 (1999), “국제유가상승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 향―연산일반균형모형에 의한 분석,” 『국제통상연구』제4권 제1 호, 293-314

김영덕 (2002), 『유가변동 충격의 파급경로에 관한 연구』기본연구보고

서 02-07, 에너지경제연구원

손양훈(1999), “원유가격 하락의 거시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자원 경제학회지』제8권 제2호, 한국자원경제학회, 207-225.

Akaike, H. (1973), "Information Theory and the Extens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Principle," in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B.N. Petrov and F. Csaki (ed.), Budapest.

Balke, N.S., S.P. Brown and M.K. Yucel (2002), "Oil Price Shocks and the U.S. Economy: Where Does the Asymmetry Originate?" The Energy Journal, 23, 27-52.

Barro, R.J. (1984), Macroeconom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Bernanke, B.S., M. Gertler, and M. Watson (1997), "Systematic Monetary Policy and the Effects of Oil Price Shocks,"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1997(1), 91-157.

Bohi, D.R. (1989), Energy Price Shocks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Resource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_________ (1991), "On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Energy Price Shocks," Resources and Energy, 13(2), 145-62.

Brown, S.P.A. and M.K. Yűcel (1999), "Oil Prices and U.S. Aggregate Economic Activity: A Question of Neutrality," Economic and Financial Review, Federal Reserve Bank of Dallas, Second Quarter, 16-23.

Bruno, M.R. and J. Sachs (1981), "Supply versus Demand Approaches to the Problem of Stagnation," in Macroeconomic Policies for Growth and Stability, edited by H. Giersch, Tubingen, J.C.B.

Mohr.

Bruno, M.R. and J. Sachs (1985), Economics of Worldwide Stagfla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Burbidge, J. and A. Harrison (1984), "Testing for the Effects of Oil-Price Rises Using Vector Autoregression,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25, 459-484.

Christiano, L.J., M. Eichenbaum, and C.L. Evans (1999), "Monetary Policy Shocks: What Have We Learned and to What end?" In Friedman, R. and M. Woodford (eds.) Handbook of Macroeconomics, Amsterdam: Elsevier, 65-148.

Darby, M.R. (1982), "The Price of Oil and World Inflation and Recession," American Economic Review, 72, 738-751.

Davis, S.J. (1987), "Fluctuations in the Pace of Labor Reallocation,"

Carnegie-Rochester Series on Public Policy, 27, 335-402.

Davis, S.J. and J. Haltiwanger (2001), "Sectoral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Response to Oil Price Changes and Other Shock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48, 465-512.

Dohner, R.S. (1981), "Energy Prices, Economic Activity and Inflation:

Survey of Issues and Results," in K.A. Mork, ed. Energy Prices, Inflation and Economic Activity, Cambridge, Mass.: Ballinger.

Evans, C. L. (2001), "Comment on The Cost Channel of Monetary Transmission," NBER Macroeconomics Annual 2001.

Ferderer, J.P. (1996), "Oil Price Volatility and the Macroeconomy: A Solution to the Asymmetry Puzzle," Journal of Macroeconomics, 18, 1-16.

Finn, M.G. (1997), "Perfect Competition and the Effects of Energy Price Increases on Economic Activity," working paper,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Fired, E.R. and C.L. Schultze (1975), "Overview," in Fried and Schultze, eds. Higher Oil Prices and the World Economy,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Gisser, M. and T.H. Goodwin (1986), "Crude Oil and the Macroeconomy: Tests of Some Popular Notions,"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18, 95-103.

Gordon, R.J. (1998), Macroeconomics, 7th edition, Addison-Wesley, New York.

Greene, W.H. (1997), Econometric Analysis, 3rd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Hamilton, J.D. (1983), "Oil and the Macroeconomy since World War

I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1(2), 228-248.

Hamilton, J.D. (1988), "A Neoclassical Model of Unemployment and the Business Cycl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6, 593-617.

Hamilton, J.D. (1996), "This is What Happened to the Oil Price-Macroeconomy Relationship,"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38(2), 215-220.

Hamilton, J.D. (2000), "What is an oil shock?" NBER Working Paer 7755, NBER.

Hamilton, J.D. and A.M. Herrera (1999), "Oil Prices and Aggregate Macroeconomic Behavior," working pap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Hamilton, J.D. and A.M. Herrera (2001), "Oil Shocks and Aggregate Macroeconomic Behavior: The Role of Monetary Policy,"

Discussion Paper 2001-10, Dept. of Economic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Hickman, B., H. Huntington and J. Sweeney, eds. (1987), Macroeconomic Impacts of Energy Shocks, Amsterdam:

North-Holland.

Hoover, K.D. and S.J. Perez (1994), "Post Hoc Ergo Propter Hoc Once More: An Evaluation of 'Does Monetary Policy Matter?' in the Spirit of James Tobin,"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34(1), 47-73.

Jones, D.W. and P. Leiby (1996), "The Macroeconomic Impacts of Oil Price Shock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ssues," Oak 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