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구조적 VAR의 추정
2. 구조적 VAR의 추정과 파급경로에 대한 가설
가. 구조적 VAR의 추정
앞선 언급한 모형의 설정으로부터 추정하는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설명 할 수 있다. 식(6)을 먼저 근접형 VAR(Near-VAR)로 추정하여 B(L)과 u의 추정치를 구하고, 사전적인 제약을 통하여 식별한 당기구조계수행
렬(A0)을 가지고 식(8)의 구조교란벡터와 축약형교란벡터와의 관계를 이
용하여 당기구조계수행렬(A0)을 추정한다. 이러한 당기구조계수행렬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식(4)의 관계식으로부터 과거시차구조계수행렬(A0)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으며, 이는 식(2)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외생적인
충격(e)에 대하여 거시경제부문 변수와 산업부문 변수의 반응함수를 도
출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앞서의 모형에 대한 변수 선택과 AIC 등을 이용한 시차 선택에 따라 모형을 구성하고, 이러한 모형을 가지고 추정에 임하게 된 다. 우선적으로 근접형 VAR 모형의 SUR추정방법을 이용하여 B(L)과 u를 추정하고 이를 통하여 근접형 VAR 모형의 교란항벡터의 공분산인 Ω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B(L), u 및 Ω 추정치를 이용하여
구조적 VAR의 당기구조계수행렬인 A0를 MLE를 이용하여 추정하게 된
다. 이러한 모수추정으로부터 VAR 모형을 이동평균(MA) 모형으로 표시 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거시경제와 산업부문 변수의 반응함수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경제부문 변수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 응과 함께 화폐정책, 긴축적 통화정책 충격에 따른 경제의 반응을 살펴 보고, 이러한 거시경제의 반응이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지를 살펴 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거시경제의 반응이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지를 살피고 산업부문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응 을 도출하는 방향을 취하였다.
나. 유가충격의 파급경로에 대한 가설
산업에서의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의 반응을 추정하는 것은 유가 충격의 파급경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우선,
유가충격이 수요측면의 경로에서 출발하는지 또는 공급측면의 경로를 거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급측면의 경로로 출발하는 유가충격의 경우에 유가충격은 유가상승 에 따라 산업의 생산비를 상승시키고 에너지공급의 부족으로 산업의 생 산성이 하락하고 생산이 감소하게 됨에 따라 산업의 수요를 변동시키지 않고 생산의 위축을 가져올 것이다. 이는 산업생산이 위축되어 공급곡선 을 좌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수요함수의 변동을 가져오지는 않게 된 다. 이러한 변동은 산업생산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개별 산업의 제품가격 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에너지집약도가 높은 산업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을 것 이다. 에너지집약도가 높은 산업은 유가상승시 생산성 하락이 더 심화될 것이고 이는 공급함수의 이동이 다른 산업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날 가능 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너지집약도가 높은 산업에서 생산둔화와 가격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지를 살피는 것은 유가충격이 공급측면의 충 격으로부터 발생하는지를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분석이 될 것이다.
또한, 유가충격이 공급측면에서 생산비상승에 의하여 발생된 것이라면 단기적으로 출하의 변동 없이 생산을 둔화시키게 되며, 이는 출하의 변 동이 없기 때문에 재고가 줄어드는 형태를 발생시킬 것이다. 따라서 유 가상승시 단기적으로 산업출하의 변동이 적은 상태에서 재고/출하비율 이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는 유가충격이 생산비상승에 의한 공 급측면의 충격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면 에서 에너지집약도가 높은 산업에서 출하의 적은 변동으로 재고/출하비 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피는 것은 유가충격이 공급경로 를 거치는지를 살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유가충격은 수요측면의 경로를 거치면서 확장될 수도 있다.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가가 상승하는 경우, 석유를 연료로 또는 에너지 를 필요로 하는 내구재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소비행태가 변화하게 된다.
유가가 상승하면, 자동차 등 내구재에 대한 수요를 줄이게 되고, 내구재 구매를 연기하거나 에너지소비적인 투자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소비자들의 수요는 급격히 둔화되는 현상이 나 타날 것이다. 이는 이러한 내구재의 생산 활동의 변화 없이 내구재의 소 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가의 상승은 에너지와 관련한 내구재를 생산하는 산업의 수요를 위축시키고 이는 산업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 시킨다. 이 경우 산업의 제품에 대한 수요에 대한 위축이 먼저 단기적으 로 발생할 것이다. 제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되면 수요함수가 좌하방면으 로 이동하게 되고 산업생산과 가격은 공급곡선을 따라 이동하여 산업생 산은 감소하고 가격도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유가충격이 수요측면에서 발생하여 파급된다면, 산업생산은 감소하고 가격도 하락하는 현상이 나 타날 수 있으며, 자동차와 같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내구재산업의 경우에 는 이러한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산업과 같은 경우에 이러한 산업생산 감소와 가격하락이 나타나는지를 살피는 것이 수요측면의 유가충격 경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개별산업은 단기적으로 수요의 위축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때 산업은 수요위축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산을 둔화 시키지 않고 생산의 가동을 유지하는 것이 적정한 행동일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수요위축에 따른 출하의 감소를 나타낼 것이며, 산업의 생산수준 이 유지되기 때문에 재고/출하비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와 같이 유가충격은 그 파급성격에 따라 수요측면과 공급측면의 성 격을 가지며, 그 성격에 따라 산업생산, 가격, 출하, 재고/출하비율에 다 르게 반응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변수들의 반응을 각 산업에 대 해서 도출함으로써 각 산업이 가지는 특성, 예를 들면 에너지소비형 내 구재 산업이나 에너지집약적 산업 등의 특성에 따라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 변수들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 다. 여기서는 에너지소비형 내구재 산업으로 가장 대표적인 산업은 자동 차산업일 것이며, 이러한 산업으로서 사무기계 등의 내구재산업 등도 주 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에너지집약도가 높은 산업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다음의 표는 제조업에서 생산비에서 연료비나 전력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제시하였다.
제조업에서 생산비중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이며, 제조업 중에 서 이 비중보다 높은 산업은 섬유제품, 종이펄프, 석유정제, 화합물및화 학, 비금속광물, 제1차금속산업이다. 전력비비중은 제조업 전체로 보았을 때, 2.1%이며, 제조업전체보다 높은 산업은 섬유제품, 목재, 펄프종이, 화 합물및화학, 고무, 비금속광물, 제1차금속산업이다. 또한, 연료비와 전력 비는 전체 제조업에서 생산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이며, 이 보다 더 높은 산업으로는 섬유제품, 목재, 종이펄프, 석유정제, 화합물및화학, 고무, 비금속광물, 제1차금속산업이다. 따라서 생산비에서 연료비와 전력 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산업을 에너지집약도가 높은 산업으로 간주 하고 이들 산업에서의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의 반응이 공급측면의 충격인지를 살피는 것이 유가충격에 대한 파급경로를 파악하는데 도움 이 될 것이다.
<표 IV-8> 제조업에서의 연료비 및 전력비비중(2002)
산 업 원재료 생산비
연료비 생산비
전력비 생산비
연료+전력 생산비
제조업 88.0 1.9 2.1 4.0
음식료품 94.4 1.7 1.4 3.1
담배제조업 98.6 0.3 0.5 0.8
섬유제품 72.3 2.9 3.8 6.8
의복 65.3 0.4 0.7 1.1
가죽,가방 83.1 0.8 0.9 1.8
목재 90.6 1.7 2.4 4.1
펄프,종이 85.1 4.5 5.0 9.6
출판,인쇄 70.8 0.8 1.4 2.2
석유정제 93.8 3.8 1.0 4.9
화합물및화학 88.5 4.5 3.4 7.9
고무 86.6 1.4 3.0 4.5
비금속 광물 80.4 7.9 5.6 13.6
제1차금속 87.9 2.0 4.1 6.1
조립금속 78.3 1.0 2.1 3.1
기타 기계 85.8 0.4 1.1 1.5
사무,계산 96.9 0.1 0.3 0.4
기타 전기 90.1 0.5 1.2 1.7
영상,음향 89.7 0.4 1.5 2.0
의료,정밀 85.9 0.3 1.0 1.3
자동차 93.6 0.5 1.1 1.7
기타 운송 86.4 0.3 0.6 1.0
가구 85.2 0.5 1.3 1.9
재생 재료가공 95.6 0.9 1.4 2.3
이러한 공급 및 수요측면의 파급경로를 살피는 것과 동시에 유가충격 시 산업활동의 반응이 유사한지 아니면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산업생산의 반응은 유가충격이 공급충격이든지 수요충격이든지 관계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산업생산이 모든 산업에서 유가충격 후에 둔화되는 방향으로 반응하는지를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산업생산이 유가충격에 대해서 상반되게 반응한다면 이 는 어떤 차별성을 가지고 산업이 반응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 다. 이러한 차별성을 가지는 것은 유가충격에 대해서 산업간에 생산성이 낮은 산업에서 높은 산업으로 요소의 이동이 이루어져 산업간의 반응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생산의 반응이 모든 산업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