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경주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조사·관리
나. 조사대상지
▪ 멧돼지 서식실태조사 조사를 위해 6개 지구(화랑, 서악, 소금강, 남산, 토함산, 대본) 13개 격자 를 선정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다. 모니터링 지점 선정 및 장비 운영 현황
1) 모니터링 지점 선정
▪ 멧돼지 현장조사는 임의추적(Random-search) 방법을 기반으로 배설물, 족적, 진흙목욕장, 비빔 목, 잠자리, 번식지 등 서식지 이용에 따른 흔적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 멧돼지의 서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6개 지구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진흙목욕장, 이동로 등 멧돼 지의 주요 서식지를 대상으로 개체수 조사를 위한 장기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했다[그림 Ⅲ-1].
[그림 Ⅲ-1] 경주국립공원 멧돼지 출현 지점 조사 현황.
2) 무인센서카메라 운영 현황
▪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 중 6개 지구에서 13개 격자에 각 격자별로 1대씩 총 13대의 무인센서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며, 매월 1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표 Ⅲ-1, 그림 Ⅲ-2].
▪ 매월 1회 현장조사를 통해 카메라를 점검하여 데이터 누락을 최소화했다.
조사유형 지구 연번 장소 유형 개수 비고
개체수 조사
화랑지구 01 송화산 진흙목욕장 1 -
서악지구 03 선원사 진흙목욕장 1 -
소금강지구 04 약산 진흙목욕장 1 -
남산지구 05 금오봉 진흙목욕장 1 -
06 백운암 이동로 1 -
토함산지구
07 암곡 진흙목욕장 1 -
09 표충사 진흙목욕장 1 -
10 추원사 이동로 1 -
11 기림사 진흙목욕장 1 -
12 석굴암 이동로 1 -
13 골굴사 진흙목욕장 1 -
15 덕동 이동로 1 -
대본지구 14 대본 진흙목욕장 1 -
[표 Ⅲ-1] 경주국립공원 무인센서카메라 운영 현황
[그림 Ⅲ-2] 경주국립공원 무인센서카메라 설치 지점.
라. 경주국립공원 멧돼지 서식 실태조사
1) 경주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산정
▪ 멧돼지의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해 면적의 13개 격자(13격자×4㎢=52㎢)에서 무인센서카메라의 사진 자료를 분석하여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2) 경주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분석
▪ 멧돼지 개체수 분석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13개 격자에 출현한 멧돼지의 출현 개체수를 월별 격자당 출현 개체수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전체 개체수, 성체수, 새끼수로 구분 해 월별 격자별 출현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 월별 격자당 출현 멧돼지 개체수 결과를 바탕으로 격자의 면적(4㎢)당 멧돼지 개체수를 밀도 (단위면적 ㎢당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마. 경주국립공원 멧돼지의 개체군 변화상 분석
1) 구간별 멧돼지 출현빈도 분석
▪ 경주국립공원의 13개 격자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지구별 주요 서식지를 이용하는 멧돼지의 계절별, 월별, 시간대별 출현빈도를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가. 멧돼지 개체수 분석
1) 카메라 운영 현황 및 개체수 출현 현황의 개괄
▪ 경주국립공원의 총 조사구는 13개 격자로 각 격자당 1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며, 관찰 기간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총 12개월이다. 그러므로 전체 격자를 고려하면 총 운영 개월 수는 156개월(13개 격자 × 12개월=156개월)이다. 이중 운영이 중단된 개월수는 모두 10개월이었다. 4번 약산 11월(2021년)~3월(2022년) 기간 5개월, 5번 금오봉 6월 기간 1개월, 9번 표충사 1월~2월 기간 2개월, 12번 석굴암 5월~6월 기간 2개월, 총 10개월이다[표 Ⅲ-2].
▪ 격자별로 카메라가 운영된 개월 수는 1개월에서 12개월로 격자별로 카메라를 운영한 개월 수의 차이가 있었다[표 Ⅲ-2]. 그러므로 중요 기간에 카메라 운영이 중단된 지역들의 밀도 산정 및 지역 간 밀도를 비교할 때 이러한 카메라 운영 중단 개월 수, 중단 시기 등을 고려해 비교해야 한다[표 Ⅲ-2].
▪ 월별로 카메라가 운영된 격자수는 11개 격자에서 13개 격자로 월별로 차이가 있었다. 카메라가 설치된 총 13개 격자 중 4월과 7월~10월에 카메라가 운영된 격자수가 13개로 가장 많았고, 반 면에 1월, 2월, 6월에는 11개 격자에서 카메라가 운영되었다[표 Ⅲ-2].
▪ 카메라가 운영된 연평균 격자수는 12.2(±0.8)개였다. 카메라가 운영된 연평균 12.2(±0.8)개의 격자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연평균 서식 개체수는 27.7(±10.0)개체였다[표 Ⅲ-2].
▪ 격자당 연평균 출현 개체수는 2.3(±0.8)개체였으며, 이를 밀도로 환산하면 연평균 밀도는 0.6(±0.2)개체/㎢이었다[표 Ⅲ-2].
구간 격자
2021년 2022년 연평균
±표준편차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화랑 지구
1번송화산 2 2 2 4 2 3 2 3 4 2 3 1 2.5±0.9
구간평균
(±표준편차) 2 2 2 4 2 3 2 3 4 2 3 1 2.5±0.9
개체수합계 (격자수 n)
2 (1)
2 (1)
2 (1)
4 (1)
2 (1)
3 (1)
2 (1)
3 (1)
4 (1)
2 (1)
3 (1)
1 (1)
2.5±0.9 (1.0±0)
서악 지구
3번선원사 3 2 2 0 3 2 3 9 3 4 4 5 3.3±2.2
구간평균
(±표준편차) 3 2 2 0 3 2 3 9 3 4 4 5 3.3±2.2
개체수합계 (격자수 n)
3 (1)
2 (1)
2 (1)
0 (1)
3 (1)
2 (1)
3 (1)
9 (1)
3 (1)
4 (1)
4 (1)
5 (1)
3.3±2.2 (1.0±0)
소금강 지구
4번약산 - - - - - 5 1 8 4 7 9 8 6.0±2.8
구간평균
(±표준편차) - - - - - 5 1 8 4 7 9 8 6.0±2.8
개체수합계
(격자수 n) - - - - - 5
(1) 1 (1)
8 (1)
4 (1)
7 (1)
9 (1)
8 (1)
6.0±2.8 (0.6±0.5)
남산 지구
5번금오봉 6 1 1 1 1 0 0 - 0 0 0 0 0.9±1.8
6번백운암 1 9 2 1 2 1 3 3 2 3 6 2 2.9±2.4
구간평균 (±표준편차)
3.5
±3.5 5
±5.7 1.5
±0.7 1
±0 1.5
±0.7 0.5
±0.7 1.5
±2.1 3 1
±1.4 1.5
±2.1 3
±4.2 1
±1.4 2.0±1.3 개체수합계
(격자수 n) 7 (2)
10 (2)
3 (2)
2 (2)
3 (2)
1 (2)
3 (2)
3 (1)
2 (2)
3 (2)
6 (2)
2 (2)
3.8±2.6 (1.9±0.3)
토함산 지구
7번암곡 1 3 1 1 0 1 2 3 2 1 1 2 1.5±0.9
9번표충사 2 0 - - 0 1 1 2 1 0 3 4 1.4±1.3
10번추원사 1 2 0 1 3 1 1 3 2 2 0 1 1.4±1.0
11번기림사 2 1 0 1 2 2 2 1 2 0 3 2 1.5±0.9
12번석굴암 1 3 3 0 0 0 - - 9 6 2 7 3.1±3.2
13번골굴사 0 2 1 1 2 5 1 5 1 2 3 0 1.9±1.7
15번덕동 6 1 0 1 1 0 2 2 4 1 0 0 1.5±1.8
구간평균 (±표준편차)
1.9
±2.0 1.7
±1.1 0.8
±1.2 0.8
±0.4 1.1
±1.2 1.4
±1.7 1.5
±0.5 2.7
±1.4 3.0
±2.8 1.7
±2.1 1.7
±1.4 2.3
±2.5 1.7±0.7
개체수합계 (격자수 n)
13 (7)
12 (7)
5 (6)
5 (6)
8 (7)
10 (7)
9 (6)
16 (6)
21 (7)
12 (7)
12 (7)
16 (7)
11.6±4.7 (6.7±0.5)
대본 지구
14번대본 1 3 3 2 2 2 3 2 9 3 2 4 3.0±2.0
구간평균
(±표준편차) 1 3 3 2 2 2 3 2 9 3 2 4 3.0±2.0
개체수합계 (격자수 n)
1 (1)
3 (1)
3 (1)
2 (1)
2 (1)
2 (1)
3 (1)
2 (1)
9 (1)
3 (1)
2 (1)
4 (1)
3.0±2.0 (1.0±0)
격자별 평균 개체수 (±표준편차)
2.2
±1.9 2.4
±2.3 1.4
±1.1 1.2
±1.1 1.5
±1.1 1.8
±1.7 1.8
±1.0 3.7
±2.6 3.3
±2.8 2.4
±2.2 2.8
±2.6 2.8
±2.7 2.3±0.8
격자당 평균 밀도:
(밀도±표준편차)/㎢
0.5
±0.5 0.6
±0.6 0.3
±0.3 0.3
±0.3 0.4
±0.3 0.4
±0.4 0.4
±0.2 0.9
±0.6 0.8
±0.7 0.6
±0.6 0.7
±0.6 0.7
±0.7 0.6±0.2 개체수합계
(격자수 n)
26 (12)
29 (12)
15 (11)
13 (11)
18 (12)
23 (13)
21 (12)
41 (11)
43 (13)
31 (13)
36 (13)
36 (13)
27.7±10.0 (12.2±0.8)
[표 Ⅲ-2] 경주국립공원 격자별 평균 출현 개체수
* -: 무인센서카메라 미설치 기간 및 기타 무인센서카메라 또는 메모리카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미확보.
2)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경주국립공원 멧돼지의 개체수를 성체와 새끼로 구분해 분석했 다. 멧돼지 개체수는 격자당 연평균 2.3(±0.8)개체였는데, 이 중 성체는 1.8(±0.5)개체였으며, 새끼는 0.4(±0.3)개체로 성체가 새끼보다 약 4.5배 더 많았다[그림 Ⅲ-3].
▪ 성체의 개체수는 2022년 1월에 급감하고 2월까지 감소하여 1.1(±1.1)개체로 연중 출현 개체수 가 가장 낮게 나왔다.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 5월에 일시적으로 감소하고 6월에 급증하여 2.5(±0.7)개체로 연중 출현 개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그림 Ⅲ-3]. 이후 개체수는 감소하다 9월부터 증가하여 10월까지 유지되었다[그림 Ⅲ-3].
▪ 새끼의 개체수는 2021년 11월에 0.3(±1.2)개체였다가 감소하여 2022년 1월에 0개체까지 감 소하였다. 이후 3월까지 증가하여 0.3(±0.8)개체로 증가하였지만, 다시 4월에 0개체로 감소하 였다. 다시 새끼의 개체수는 증가하여 6월에 급증한 결과 1.3(±2.4)개체로 나타나며 연중 출현 개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7월에도 1.3(±2.2)개체로 유지되었다가 10월까지 꾸준히 감소하 였다[그림 Ⅲ-3]. 새끼 멧돼지가 출현하지 않은 1월과 4월을 제외하고 2021년 12월과 2022년 2월에 0.1(±0.3)개체로 연중 출현 개체수가 가장 적었다[그림 Ⅲ-3].
▪ 성체와 새끼의 개체군 변동 폭 분석에 의하면, 성체 멧돼지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적은 2월은 평균 1.1(±1.1)개체,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은 6월은 평균 2.5(±0.7)개체였는데, 그 차이는 최 저 개체수 대비 약 2.3배로 이 범위 내에서 연중 월별 출현 개체수의 변동은 유지되었다. 새끼 의 경우, 출현하지 않은 1월과 4월을 제외한 가장 적은 출현수를 나타낸 2021년 12월과 2022 년 2월의 새끼수 0.1(±0.3)개체와 비교해 가장 많은 6월과 7월에는 1.3(±2.4)과 1.3(±2.2)개 체로 약 13배 증가했다. 성체의 경우 개체군 변동 폭이 2.3배인 점을 고려하면, 새끼의 개체군 변동 폭은 성체보다 약 5.7배 더 컸다[그림 Ⅲ-3].
▪ 출산 시기는 월별 새끼 개체수의 증가 추세를 통해 멧돼지의 출산은 5월부터 7월까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성체수가 새끼수보다 지속적으로 많았다 [그림 Ⅲ-3].
▪ 성체와 새끼의 개체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기간은 2021년 12월로 성체의 수가 많으며, 5월과 6월에 성체와 새끼 모두 개체수가 급증하였다[그림 Ⅲ-3].
[그림 Ⅲ-3] 경주국립공원의 격자당 성체와 새끼의 평균 출현 개체수.
3) 구간별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 구간(지구)별 연평균 출현 성체 개체수는 소금강(4개체)>서악(2,5개체)>화랑(2.3개체)=대본(2.3개 체)>남산(1.8개체)>토함산(1.4개체) 등의 순이었다. 새끼 개체수는 소금강(2개체)>대본(1.8개체)>
서악(0.8개체>토함산(0.4개체)>화랑(0.2개체)>남산(0.1개체)등의 순이었다[그림 Ⅲ-4].
▪ 지역별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의 출현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성체수가 더 많았다.
성체와 새끼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송화산(1번) 지역의 경우 성체가 새끼보다 11.5배 높게 나왔다. 성체와 새끼의 차이가 가장 적은 대본(14번) 지역은 성체가 새끼보다 1.3배 높게 나왔 다[그림 Ⅲ-4].
[그림 Ⅲ-4] 멧돼지 성체와 새끼의 구간과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
나. 경주국립공원의 멧돼지 밀도 분석
1) 경주국립공원의 멧돼지 밀도 현황
▪ 월별 운행 격자수는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11개 격자에서 13개 격자로 월별로 차이가 있으며, 연평균 운행 격자수는 12.2개(±0.8)였다[표 Ⅲ-2].
▪ 연평균 멧돼지 밀도는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경주국립공원의 격자당 출현한 멧돼지 개체수를 단위면적당(㎢)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단위격자당 연평균 개체수는 2.3(±0.8)개체였으 며, 격자별 출현한 멧돼지 개체수를 밀도로 환산한 결과, 연평균 멧돼지 밀도는 0.6(±0.2)개체/
㎢였다. 1월과 2월은 연평균 밀도가 가장 낮았으며 0.3(±0.3)개체/㎢였다. 6월 밀도가 가장 높 았으며 0.9(±0.6)개체/㎢였다. 그 외 7월에 밀도가 0.8(±0.7)개체/㎢로 높게 나타났다[표 Ⅲ- 3, 그림 Ⅲ-5]. 금오봉지역이 0.2(±0.4)개체/㎢로 밀도가 가장 낮았고, 약산지역은 1.5(±0.7) 개체/㎢로 밀도가 가장 높았다[표 Ⅲ-3].
▪ 월별 밀도 분석에 의하면, 2021년 11월에서 12월에는 평균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1월에 감소하 여 1월과 2월에 0.3(±0.3)개체/㎢로 연중 가장 낮은 밀도를 기록했다. 이후, 3월부터 5월까지 일정한 수준의 밀도를 유지하다가 6월에 급격하게 높아져 0.9(±0.6)개체/㎢를 기록했으며 가장 높은 밀도 값을 기록했다. 8월까지 감소하였다가 9월에 소폭 증가한 후 10월까지 유지되었다[표
[그림 Ⅲ-5] 경주국립공원의 멧돼지의 평균 서식 밀도.
지구 격자
2021년 2022년
연평균 (±표준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 편차)
월
화랑 1번
송화산 0.5 0.5 0.5 1.0 0.5 0.8 0.5 0.8 1.0 0.5 0.8 0.3
0.6
±0.2
서악 3번
선원사 0.8 0.5 0.5 0.0 0.8 0.5 0.8 2.3 0.8 1.0 1.0 1.3
0.8
±0.5
소금강 4번
약산 - - - - - 1.3 0.3 2.0 1.0 1.8 2.3 2.0
1.5
±0.7
남산
5번
금오봉 1.5 0.3 0.3 0.3 0.3 0.0 0.0 - 0.0 0.0 0.0 0.0
0.2
±0.4
6번
백운암 0.3 2.3 0.5 0.3 0.5 0.3 0.8 0.8 0.5 0.8 1.5 0.5
0.7
±0.6
토함산
7번
암곡 0.3 0.8 0.3 0.3 0.0 0.3 0.5 0.8 0.5 0.3 0.3 0.5
0.4
±0.2
9번
표충사 0.5 0.0 - - 0.0 0.3 0.3 0.5 0.3 0.0 0.8 1.0
0.4
±0.3
10번
추원사 0.3 0.5 0.0 0.3 0.8 0.3 0.3 0.8 0.5 0.5 0.0 0.3
0.4
±0.2
11번
기림사 0.5 0.3 0.0 0.3 0.5 0.5 0.5 0.3 0.5 0.0 0.8 0.5
0.4
±0.2
12번
석굴암 0.3 0.8 0.8 0.0 0.0 0.0 - - 2.3 1.5 0.5 1.8
0.8
±0.8
13번
골굴사 0.0 0.5 0.3 0.3 0.5 1.3 0.3 1.3 0.3 0.5 0.8 0.0
0.5
±0.4
15번
덕동 1.5 0.3 0.0 0.3 0.3 0.0 0.5 0.5 1.0 0.3 0.0 0.0
0.4
±0.5
대본 14번
대본 0.3 0.8 0.8 0.5 0.5 0.5 0.8 0.5 2.3 0.8 0.5 1.0
0.8
±0.5
격자별 평균 밀도:
(개체수±표준편차)/㎢
0.5
±0.5 0.6
±0.6 0.3
±0.3 0.3
±0.3 0.4
±0.3 0.4
±0.4 0.4
±0.2 0.9
±0.6 0.8
±0.7 0.6
±0.6 0.7
±0.7 0.7
±0.7 0.6
±0.2
[표 Ⅲ-3] 경주국립공원 멧돼지의 평균 밀도
* -: 무인센서카메라 미설치 기간 및 기타 무인센서카메라 또는 메모리카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미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