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결과

Dalam dokumen Untitled - 한국국립공원협회 (Halaman 32-45)

II.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조사·관리 모니터링

3. 연구결과

가. 멧돼지 개체수 분석

1) 카메라 운영 현황 및 개체수 출현 현황의 개괄

▪ 북한산국립공원의 총 조사구는 12개 격자로 각 격자당 1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며, 관찰 기간 은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총 12개월이다. 그러므로 전체격자를 고려하면 총 관찰 개 월 수는 144개월(12개 격자 × 12개월=144개월)이다[표 Ⅱ-3].

▪ 월별로 카메라가 운영된 격자수는 12개 격자이다.

▪ 카메라가 운영된 연평균 격자수는 12.0(±0.0)개로 격자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연평균 서식 개체 수는 100.3(±31.0)개체였다[표 Ⅱ-3].

▪ 격자별 연평균 출현 개체수는 8.4(±2.6)개체였으며, 이를 밀도로 환산하면 격자별 평균 밀도는 2.1(±0.6)개체/㎢였다[표 Ⅱ-3].

구간 격자 2021년 2022년 연평균

±표준편차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1구간)

B4 북한산성 7 7 6 2 6 5 2 8 3 6 16 10 6.5±3.8

B1 진관사 4 4 1 1 11 15 13 11 7 7 10 5 7.4±4.6

BC3

비봉휴게소 2 1 2 0 1 1 3 0 0 1 0 2 1.1±1.0

구간평균

±표준편차 4.3

± 2.5

4.0

± 3.0

3.0

± 2.6

1.0

± 1.0

6.0

± 5.0

7.0

± 7.2

6.0

± 6.1

6.3

± 5.7

3.3

± 3.5

4.7

± 3.2

8.7

± 8.1

5.7

± 4.0

5.0±2.0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13 (3)

12 (3)

9 (3)

3 (3)

18 (3)

21 (3)

18 (3)

19 (3)

10 (3)

14 (3)

26 (3)

17 (3)

15.0±6.1 (3.0±0.0)

성북구- 강북구 (2구간)

B9 북악공원 17 5 12 7 7 7 8 9 9 10 5 13 9.1±3.5

B12

정릉내원사 16 9 12 9 6 6 11 15 14 10 14 15 11.4±3.5

B11 우이분소 7 9 7 7 8 9 19 19 14 15 15 9 11.5±4.6

구간평균

±표준편차 13.3

± 5.5

7.7

± 2.3

10.3

± 2.9

7.7

± 1.2

7.0

± 1.0

7.3

± 1.5

12.7

± 5.7

14.3

± 5.0

12.3

± 2.9

11.7

± 2.9

11.3

± 5.5

12.3

± 3.1

10.7±2.6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40 (3)

23 (3)

31 (3)

23 (3)

21 (3)

22 (3)

38 (3)

43 (3)

37 (3)

35 (3)

34 (3)

37 (3)

32.0±7.8 (3.0±0.0)

도봉구- 의정부시 (3구간)

B20 무수골 10 8 3 6 9 9 15 20 7 6 8 6 8.9±4.5

B16 도봉분소 12 12 3 1 9 7 16 12 10 13 19 13 10.6±5.1

B15 다락원 10 5 1 0 7 8 6 9 11 10 11 10 7.3±3.7

구간평균

±표준편차 10.7

± 1.2

8.3

± 3.5

2.3

± 1.2

2.3

± 3.2

8.3

± 1.2

8.0

± 1.0

12.3

± 5.5

13.7

± 5.7

9.3

± 2.1

9.7

± 3.5

12.7

± 5.7

9.7

± 3.5

8.9±3.6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32 (3)

24 (3)

7 (3)

7 (3)

25 (3)

24 (3)

37 (3)

41 (3)

28 (3)

29 (3)

38 (3)

29 (3)

26.8±10.7 (3.0±0.0)

양주시- 고양시 (4구간)

B25 송추분소 3 1 1 0 1 14 9 11 7 14 18 12 7.6±6.3

B22 우이령 8 10 5 0 5 12 8 15 7 13 15 5 8.6±4.6

B21 사기막골 17 12 9 3 13 7 3 7 12 6 18 17 10.3±5.3

구간평균

±표준편차 9.3

± 7.1

7.7

± 5.9

5.0

± 4.0

1.0

± 1.7

6.3

± 6.1

11.0

± 3.6

6.7

± 3.2

11.0

± 4.0

8.7

± 2.9

11.0

± 4.4

17.0

± 1.7

11.3

± 6.0

8.8±4.0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28 (3)

23 (3)

15 (3)

3 (3)

19 (3)

33 (3)

20 (3)

33 (3)

26 (3)

33 (3)

51 (3)

34 (3)

26.5±12.0 (3.0±0.0) 격자별 평균 개체수

±표준편차

9.4

± 5.3

6.9

± 3.8

5.2

± 4.1

3.0

± 3.3

6.9

± 3.6

8.3

± 3.9

9.4

± 5.5

11.3

± 5.5

8.4

± 4.2

9.3

± 4.2

12.

5.8 9.8

± 4.5

8.4±2.6

격자별 평균 밀도:

(개체수±표준편차)/㎢

2.4

± 1.3

1.7

± 0.9

1.3

± 1.0

0.8

± 0.8

1.7

± 0.9

2.1

± 1.0

2.4

± 1.4

2.8

± 1.4

2.1

± 1.0

2.3

± 1.0

3.1

± 1.5

2.4

± 1.1

2.1±0.6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113 (12)

83 (12)

62 (12)

36 (12)

83 (12)

100 (12)

113 (12)

136 (12)

101 (12)

111 (12)

149 (12)

117 (12)

100.3±31.0 (12.0±0.0)

[표 Ⅱ-3] 북한산국립공원 격자별 평균 출현 개체수

* -: 무인센서카메라 또는 메모리카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미확보.

2)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의 개체수를 성체와 새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멧돼지 개체수는 연평균 격자당 8.4(±2.6)개체였는데, 이 중 성체는 5.2(±1.8)개체 였으며, 새끼는 3.6(±1.6)개체로, 성체 개체수는 새끼 개체수에 비해 1.4배 높게 나타냈다[그림

Ⅱ-5].

▪ 성체의 개체수는 2021년 11월 5.9(±4.6)개체에서 2022년 2월 1.8(±1.9)개체까지 감소하는 추세였다. 3월은 4.8(±3.2)개체로 2월에 비해 2.7배 증가하였다. 4월은 6.0(±2.4)개체로 감소 하다가 7월은 4.3(±2.6)개체로 증가하였다. 9월은 8.4(±4.4)개체로 가장 높은 개체수로 나타 났다[그림 Ⅱ-5].

▪ 새끼의 경우 2021년 11월은 3.5(±3.1)개체에서 2월에는 1.2(±2.1)개체로 감소하는 추세였다.

6월에는 5.7(±2.8)개체로 증가하였다. 7월에는 4.8(±2.8)개체, 8월에는 5.9(±3.9)개체, 9월에 는 5.5(±5.6)개체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9월에는 5.5(±5.6)개체, 10월에는 3.8(±4.0)개체 로 감소하였다[그림 Ⅱ-5].

▪ 성체와 새끼의 개체군 변동 폭 분석에 의하면 성체의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는 출현 개체수가 가장 낮은 2월은 1.8(±1.9)개체, 가장 높은 9월은 8.4(±4.4)개체로 그 차이는 4.7배 증가하였 다. 새끼의 경우, 가장 적은 개체수는 2월 새끼수 1.2(±2.1)개체 가장 많은 8월의 새끼수는 5.9(±3.9)개체를 비교했을 때 약 4.9배 증가하였다. 특히 전년도 11월(2021년 11월)의 성체 개체수 5.9(±4.6)개체와 당해 연도(2021년) 10월의 성체 개체수 4.5(±2.2)개체로 약 1.3배의 차이가 있었으며. 새끼수는 각각 3.5(±3.1)개체와 5.7(±2.0)개체로 약 1.6배의 차이가 있었다 [그림 Ⅱ-5].

▪ 멧돼지의 출산은 월별 새끼 개체수의 증가 추세를 통해 3월부터 6월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Ⅱ-5].

▪ 2021년 11월~2022년 5월 동안 매월 성체수는 새끼수보다 같거나 더 많았으며, 6월~8월에는 새끼수가 성체수보다 더 많았다[그림 Ⅱ-5].

[그림 Ⅱ-5]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당 성체와 새끼의 평균 출현 개체수 비교.

3) 구간별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 구간별 연평균 개체수는 은평-서대문-종로 구간이 2.7(±2.3)개체, 성북-강북 5.6(±5.1개체), 도봉-의정부 6.1(±4.5)개체, 양주-고양 6.4(±2.4)개체순이었다.

▪ 은평-서대문-종로(1구간)에는 진관사 지역이 연평균 7.4(±4.6)개체로 가장 많았고, 북한산성 6.5(±3.8)개체, 비봉휴게소 1.1(±1.0)개체 순으로 나타났다[표 Ⅱ-3, 그림 Ⅱ-6].

▪ 성북-강북(2구간) 구간에서는 우이분소 지역이 연평균 11.5(±4.6)개체로 가장 많았고, 정릉내원 사 11.4(±3.5)개체, 북악공원 9.1(±3.5)개체 순으로 나타났다[표 Ⅱ-3, 그림 Ⅱ-6].

▪ 도봉-의정부(3구간) 구간에서는 도봉분소 10.6(±5.1)개체로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동일 구간 내 무수골 8.9(±4.5)개체, 다락원 7.3(±3.7)개체보다는 더 많았다[표 Ⅱ-3, 그림 Ⅱ-6].

▪ 양주-고양(4구간) 구간에서는 사기막골 10.3(±5.3)개체로 가장 많았고 격자별 평균 새끼수가 격자별 평균 성체수에 비해 9.5마리가 더 많이 나타났다. 우이령 8.6(±4.6)개체, 송추분소 7.6(±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표 Ⅱ-3, 그림 Ⅱ-6].

▪ 지역별(격자당)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 출현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성체의 경우 사기막골, 무수 골, 정릉내원사, 도봉분소 등 4개 지역에서 격자당 평균 5.9~9.9개체로 많은 개체가 출현했다 [그림 Ⅱ-6]. 새끼의 경우 도봉분소, 우이분소, 정릉내원사, 무수골 등 4개 지역에서 격자당 평 균 5.0~7.0개체로 많은 개체수가 출현했다[그림 Ⅱ-6]. 정릉내원사, 무수골, 도봉분소 등은 성체 와 새끼들 모두 많이 출현하는 지역이다.

[그림 Ⅱ-6] 멧돼지 성체와 새끼의 구간과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

나.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 밀도 분석

1)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 밀도 현황

▪ 월별 운행 격자수는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월평균 운행 격자수는 12.0(±0.0)개 였다[표 Ⅱ-3].

▪ 연평균 멧돼지 밀도는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별 출현한 멧돼지 개체수를 단위면적당(㎢)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연평균 멧돼지 밀도는 2.1(±0.6)개체/㎢였고, 밀 도가 가장 낮은 2월은 격자당 평균 밀도가 0.8(±0.8)개체/㎢였으며, 밀도가 가장 높은 9월의 격자당 평균 밀도는 3.1(±1.5)개체/㎢였다. 그러므로 월평균 밀도는 9월이 2월보다 약 3.9배 더 높았다[표 Ⅱ-4, 그림 Ⅱ-7].

▪ 월별 밀도 분석에 의하면, 격자당 평균 밀도가 2021년 11월에는 2.4(±1.3)개체/㎢에서 2월에 는 0.8(±0.8)개체/㎢로 계속해서 감소하였다. 이후 3월에는 1.7(±0.9)개체/㎢에서 6월에는 2.8(±1.4)개체/㎢로 다시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7월에 2.1(±1.0)개체/㎢로 다시 감소하였다. 8 월에는 격자당 2.3(±1.0)개체/㎢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다가 9월에는 격자당 3.1(±1.5)개체/㎢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월에는 2.4(±1.1)개체/㎢로 소폭 감소하였다[표 Ⅱ-4, 그림 Ⅱ-7].

[그림 Ⅱ-7]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의 평균 서식 밀도.

구간 격자

2021년 2022년 연평균

±표준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편차

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1구간)

B4

북한산성 1.8 1.8 1.5 0.5 1.5 1.3 0.5 2.0 0.8 1.5 4.0 2.5 1.6±1.0 B1

진관사 1.0 1.0 0.3 0.3 2.8 3.8 3.3 2.8 1.8 1.8 2.5 1.3 1.9±1.2 BC3

비봉휴게소 0.5 0.3 0.5 0.0 0.3 0.3 0.8 0.0 0.0 0.3 0.0 0.5 0.3±0.2 성북구-

강북구 (2구간)

B9

북악공원 4.3 1.3 3.0 1.8 1.8 1.8 2.0 2.3 2.3 2.5 1.3 3.3 2.3±0.9 B12

정릉내원사 4.0 2.3 3.0 2.3 1.5 1.5 2.8 3.8 3.5 2.5 3.5 3.8 2.9±0.9 B11

우이분소 1.8 2.3 1.8 1.8 2.0 2.3 4.8 4.8 3.5 3.8 3.8 2.3 2.9±1.2 도봉구-

의정부시 (3구간)

B20

무수골 2.5 2.0 0.8 1.5 2.3 2.3 3.8 5.0 1.8 1.5 2.0 1.5 2.2±1.1 B16

도봉분소 3.0 3.0 0.8 0.3 2.3 1.8 4.0 3.0 2.5 3.3 4.8 3.3 2.6±1.3 B15

다락원 2.5 1.3 0.3 0.0 1.8 2.0 1.5 2.3 2.8 2.5 2.8 2.5 1.8±0.9 양주시-

고양시 (4구간)

B25

송추분소 0.8 0.3 0.3 0.0 0.3 3.5 2.3 2.8 1.8 3.5 4.5 3.0 1.9±1.6 B22

우이령 2.0 2.5 1.3 0.0 1.3 3.0 2.0 3.8 1.8 3.3 3.8 1.3 2.1±1.1 B21

사기막골 4.3 3.0 2.3 0.8 3.3 1.8 0.8 1.8 3.0 1.5 4.5 4.3 2.6±1.3 격자당 평균 밀도:

(개체수±표준편차)/㎢

2.4

± 1.3

1.7

± 0.9

1.3

± 1.0

0.8

± 0.8

1.7

± 0.9

2.1

± 1.0

2.4

± 1.4

2.8

± 1.4

2.1

± 1.0

2.3

± 1.0

3.1

± 1.5

2.4

± 1.1

2.1±0.6 [표 Ⅱ-4]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의 평균 밀도

* -: 무인센서카메라 또는 메모리카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미확보

2)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 연평균 밀도 비교

▪ 북한산 멧돼지의 연평균 밀도는 2.1(±0.6)개체/㎢로 전년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그림 Ⅱ-8].

2022년 12개 격자(1개 격자 면적=4㎢) 전체 면적인 48㎢에서 멧돼지의 예상 개체수는 연평균 101개체였다[표 Ⅱ-3].

[그림 Ⅱ-8]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의 연평균 밀도 비교[2016-2021년의 밀도는 국립공원연구원(2018, 2019, 2020, 2021) 보고서를 참고함].

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에 따른 멧돼지 개체군 동태

1) 서식지 유형별 출현 개체수

▪ 진흙목욕장, 비빔목, 이동로 등 세 종류의 서식지 유형[표 Ⅱ-2]에서 출현한 멧돼지의 개체수를 비교했다. 비빔목은 연평균 격자당 9.1(±3.5)개체가 출현했으며, 진흙목욕장은 연평균 격자당 9.5(±3.1), 이동로는 4.3(±3.1)개체가 출현했다. 진흙목욕장이 이동로보다 약 2.2배 더 많았다 [그림 Ⅱ-9].

▪ 서식지 유형별 출현 개체수의 높은 순으로는 진흙목욕장, 비빔목, 이동로로 나타났다[그림 Ⅱ-9].

▪ 진흙목욕장의 경우 2월까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3월에서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9월에 는 가장 많은 개체수가 나타났다. 비빔목의 경우 11월에 개체수는 17.0에서 12월 개체수는 5.0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1월에는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동로의 경우 2월부터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Ⅱ-9].

[그림 Ⅱ-9]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의 서식지 유형에 따른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

2) 서식지 유형별 출현빈도

▪ 세 종류의 서식지에서 연평균 격자당 멧돼지 출현빈도는 진흙목욕장 20.8(±10.0)회, 비빔목 17.0(±7.6), 이동로 7.7(±8.5)회였다. 멧돼지 출현빈도는 진흙목욕장이 이동로보다 2.7배 더 많았다[그림 Ⅱ-10].

▪ 출현빈도의 월별 분석에 의하면, 월동기 속하는 12월, 1월(2021년)에는 진흙목욕장과 비빔목에 서는 감소하였다. 2월~5월까지는 진흙목욕장과 비빔목은 증가하는 추세로 보였으며, 이동로은 0 에 가까웠지만 그 이후에는 점점 증가하였다. 비빔목의 경우 10월, 진흙목욕장은 9월~10월, 이 동로의 경우, 9월~10월에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그림 Ⅱ-10].

▪ 진흙목욕장, 비빔목과 이동로의 출현빈도를 비교하면 월동기(12~1월) 출현빈도는 이동로에서 낮 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2월에는 출현하지 않았다. 이후 이동로의 출현빈도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전 기간 동안에는 이동로보다 진흙목욕장, 비빔목에서 출현빈도가 높았다[그림 Ⅱ -10].

▪ 출현 개체수는 9월 기간 동안에 비빔목보다 이동로에서 더 많았는데 반해[그림 Ⅱ-10] 8월의 출현빈도는 오히려 진흙목욕장, 비빔목이 더 많았다[그림 Ⅱ-10]. 이것은 이동로보다는 더 빈번 하게 진흙목욕장을 방문했거나, 진흙목욕장에서의 체류시간이 더 길거나 혹은 이 두 가지 행동이 조합된 결과에 기인한다.

[그림 Ⅱ-10]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의 서식지 유형에 따른 격자당 평균 출현빈도.

라.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 출현 특성

1) 개체수와 출현빈도의 관계

▪ 출현의 연중 경향성 분석에 의하면, 멧돼지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3월부터 출현이 증가하다가 6 월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9월에는 개체수가 가장 많이 출현했다[그림 Ⅱ-11].

▪ 연평균 출현 개체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면, 격자당 연평균 개체수는 8.4(±2.6)개체인데 반해 연 평균 출현빈도는 18.3(±9.2)회로 출현빈도는 출현 개체수보다 약 2.2배 더 많았다[그림 Ⅱ-11].

▪ 월평균 출현 개체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면, 월동기간(12월~2월)에는 출현 개체수와 출현빈도의 차이가 약 1.36~1.42배로 가장 적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6월, 9월~10월까지 2.81~3.04배로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그림 Ⅱ-11].

▪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의 월별 변동은 출현빈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일정한 편이었다. 연중 최소 개체수는 2월 3.0(±3.3)개체였으며, 최대 개체수는 9월 12.4(±5.8)개체였다. 2월과 9월 의 개체수는 약 4.1배 차이가 났다. 연중 최소 출현횟수는 2월 4.1(±5.1)회였으며, 최대 출현 횟수는 9월 35.0(±20.8)회였다.

[그림 Ⅱ-11]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별 평균 출현빈도 및 출현 개체수.

Dalam dokumen Untitled - 한국국립공원협회 (Halaman 3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