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Dalam dokumen Untitled - 한국국립공원협회 (Halaman 69-91)

1 조사 내용 및 범위

가. 조사내용

▪ 계룡산국립공원의 멧돼지 서식실태(개체수 및 서식 밀도, 서식지 유형별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나. 조사범위

▪ 개체수 조사: 3개 지구(갑사, 동학사, 수통골) 총 12개 격자(12개 × 4㎢=48㎢)

▪ 조사 기간 : 2021년 11월~2022년 10월

2 조사 방법

가. 일반현황

▪ 계룡산국립공원은 총면적이 65.335㎢로 충남 공주시에 위치하면서 일부가 대전광역시와 논산시, 계룡시에 위치하고 있다. 2021년에 계룡산국립공원의 연중 탐방객 수는 2,149,164명이었다.

▪ 탐방객 증가로 인한 인위적인 간섭으로 야생동물의 서식 공간이 좁아지고 멧돼지가 도심으로 출 몰하는 등 매년 인간과의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나. 조사대상지

▪ 계룡산국립공원을 갑사지구, 동학사지구, 수통골지구 등 3개 지구로 구분했으며, 갑사지구(1, 5, 6, 16의 4개 격자), 동학사지구(3, 4, 12, 13, 18의 5개 격자)와 수통골지구(14, 15, 20의 3 개 격자)에 모두 12개의 격자를 설정하였다[표 Ⅳ-1, 그림 Ⅳ-2].

다. 모니터링 지점 선정 및 장비 운영 현황

1) 모니터링 지점 선정

▪ 멧돼지의 서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3개 지구별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진흙목욕장, 비빔목, 이동 로 등 멧돼지의 주요 서식지를 대상으로 개체수 조사를 위한 장기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였다 [그림 Ⅳ-1].

[그림 IV-1]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출현 지점 조사 현황.

2) 무인센서카메라 운영 현황

▪ 멧돼지 개체수 분석 연구를 위해 3개 지구의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진흙목욕장, 비빔목, 이동 로 등 멧돼지 주요 서식지를 대상으로 12개 격자에 각 격자별 1대씩 12대의 무인센서카메라를 운영하였다. 무인센서카메라는 사진 촬영모드로 설정하였으며, 1개월마다 데이터를 회수하였다 [표 Ⅳ-1, 그림 Ⅳ-2].

조사

유형 지구 격자 장소 서식지 유형 카메라

대수 비고

개체 조사

갑사지구

01 구왕리 비빔목 1 -

05 갑사분소 진흙목욕장, 비빔목 1 -

06 상신계곡 비빔목 1 -

16 신원사 진흙목욕장 1 -

동학사지구

03 하신리 진흙목욕장 1 -

04 용암저수지 진흙목욕장 1 -

12 학봉2길 비빔목 1 -

13 동학사 이동로 1 -

18 용동저수지 진흙목욕장 1 -

수통골지구

14 삽재탐방로 이동로 1 -

15 유성골프장 진흙목욕장 1

20 한나의집 진흙목욕장 1 -

26 세동전나무 진흙목욕장, 비빔목 1 회수

[표 Ⅳ-1] 계룡산국립공원 무인센서카메라 운영 현황

[그림 Ⅳ-2] 계룡산국립공원 조사대상지 및 무인센서카메라 설치 지점.

라.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서식실태 조사

1)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산정

▪ 멧돼지의 서식현황 및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해 4㎢(2km × 2km) 크기의 격자 12개(12 격자

× 4㎢ = 48㎢)를 선정하고 각 격자 내에 확인된 멧돼지의 주요 서식지와 집중 출현 지점에 격자별 1대씩 총 12대의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해 사진 자료를 확보하여 개체수를 분석하였다 [표 Ⅳ-1, 그림 Ⅳ-2].

2)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분석

▪ 멧돼지 개체수 분석은 2021년 11월~2022년 10월까지 3개 지구 12개 격자에 출현한 멧돼지의 월별 출현 개체수를 기준으로 하였다.

▪ 멧돼지 개체수 조사구인 3개 지구에 서식하고 있는 멧돼지의 구간별, 연령별(성체와 새끼로 구 분) 개체수에 대한 월별 출현 현황을 분석하였다.

3)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밀도 분석

▪ 월평균 출현 멧돼지 개체수 결과를 바탕으로 3개 지구 12개 격자에 대한 멧돼지 밀도를 분석하였다.

▪ 멧돼지의 개체수가 가장 적은 시기와 많이 출현하는 시기(월)의 밀도를 분석하여 계룡산국립공원 의 서식 가능한 멧돼지 개체수를 추정하였다.

마.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군 변화상 분석

1) 지구별 멧돼지 출현 특성

▪ 계룡산국립공원 3개 지구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지구별 주요 서식지를 이용하는 멧돼지의 월별, 시간대별 출현빈도를 분석하였다.

2) 서식지 유형별 멧돼지 출현 특성

▪ 멧돼지의 주요 서식지인 진흙목욕장, 비빔목 등에 출현하는 빈도 분석을 통해 서식지 유형별 선 호도를 파악하고 동일한 격자 내에 분포하는 멧돼지의 월별, 시간대별 출현 현황을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가. 멧돼지 개체수 분석

1) 카메라 운영 현황 및 개체수 출현 현황의 개괄

▪ 계룡산국립공원의 총 조사구는 12개 격자로 각 격자당 1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며, 관찰 기간 은 2021년 11월 ~ 2022년 10월까지 총 12개월이다. 그러므로 전체 격자를 고려하면 총 운영 개월 수는 144개월(12개 격자 × 12개월=144개월)이다. 이 중 운영이 중단된 개월 수는 모두 5개월이었다. 5번 갑사분소 1월~2월, 6번 상신계곡 8월, 13번 동학사 7월~8월에 카메라 작동 오류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었다[표 Ⅳ-2].

▪ 격자별로 카메라가 운영된 개월 수는 10개월~12개월로 격자별로 카메라를 운영한 개월 수의 차 이가 있었다. 10개월만 운영된 격자는 5번 갑사분소, 13번 동학사였으며, 갑사분소는 1월~2월 에, 동학사는 7월~8월에 카메라 운영이 중단되어, 해당 지역의 월동기, 번식기 개체수 산정에 일 부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중요 기간에 카메라 운영이 중단된 지역들의 밀도 산정 및 지역 간 밀 도를 비교할 때 이러한 카메라 운영중단 개월, 중단 시기 등을 고려해 비교해야 한다[표 Ⅳ-2].

▪ 월별로 카메라가 운영된 격자수를 분석하면, 월별 운행된 격자수는 10개에서 12개 격자로 월별 로 차이가 있었다[표 Ⅳ-2].

▪ 카메라가 운영된 연평균 격자수는 11.6(±0.7)개였다. 카메라가 운영된 연평균 11.6(±0.7)개의 격자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연평균 서식 개체수는 60.3(±22.6)개체였다[표 Ⅳ-2].

▪ 격자당 연평균 멧돼지 출현 개체수는 5.2(±1.9)개체였으며, 이를 밀도로 환산하면 연평균 밀도 는 1.3(±0.5)개체/㎢였다[표 Ⅳ-2].

구간 격자 2021년 2022년 연평균

±표준편차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번 구왕리 3 2 2 2 5 0 0 0 9 0 0 0 1.9±2.7

5번 갑사분소 5 4 - - 7 4 4 9 3 3 16 14 6.9±4.7

6번 상신계곡 5 4 5 5 2 4 3 4 6 - 5 6 4.5±1.2

16번 신원사 4 3 5 2 3 3 8 24 13 4 8 6 6.9±6.2

구간평균

±표준편차 4.3

±1.0 3.3

±1.0 4.0

±1.7 3.0

±1.7 4.3

±2.2 2.8

±1.9 3.8

±3.3 9.3

±10.5 7.8

±4.3 2.3

±2.1 7.3

±6.7 6.5

±5.7 5.0±2.2 개체수합계

(격자수 n) 17 (4)

13 (4)

12 (3)

9 (3)

17 (4)

11 (4)

15 (4)

37 (4)

31 (4)

7 (3)

29 (4)

26 (4)

18.7±9.7 (3.8±0.5)

3번 하신리 6 5 5 1 4 6 6 2 14 5 9 6 5.8±3.3

4번 용암저수지 7 4 6 4 5 6 5 8 2 3 1 1 4.3±2.3

12번 학봉2길 10 13 14 7 10 11 9 13 10 9 9 9 10.3±2.1

13번 동학사 4 3 3 2 5 4 7 9 - - 2 6 4.5±2.3

18번 용동저수지 2 2 2 1 6 4 4 8 3 2 6 9 4.1±2.6

구간평균

±표준편차 5.8

±3.0 5.4

±4.4 6.0

±4.7 3.0

±2.5 6.0

±2.3 6.2

±2.9 6.2

±1.9 8.0

±3.9 7.3

±5.7 4.8

±3.1 5.4

±3.8 6.2

±3.3 5.8±1.2 개체수합계

(격자수 n) 29 (5)

27 (5)

30 (5)

15 (5)

30 (5)

31 (5)

31 (5)

40 (5)

29 (4)

19 (4)

27 (5)

31 (5)

28.3±6.3 (4.8±0.4)

14번 삽재탐방로 2 1 0 0 5 0 1 1 5 2 6 9 2.7±2.9

15번 유성골프장 3 4 0 2 2 2 4 15 11 4 9 12 5.7±4.8

20번 한나의집 4 2 3 1 6 5 10 13 8 2 4 2 5.0±3.7

구간평균

±표준편차 3.0

±1.0 2.3

±1.5 1.0

±1.7 1.0

±1.0 4.3

±2.1 2.3

±2.5 5.0

±4.6 9.7

±7.6 8.0

±3.0 2.7

±1.2 6.3

±2.5 7.7

±5.1 3.7±1.8 개체수합계

(격자수 n) 9 (3)

7 (3)

3 (3)

3 (3)

13 (3)

7 (3)

15 (3)

29 (3)

24 (3)

8 (3)

19 (3)

23 (3)

13.3±8.7 (3) 격자별 평균

개체수±표준편차 4.6

±2.3 3.9

±3.1 4.1

±3.9 2.5

±2.1 5.0

±2.2 4.1

±2.9 5.1

±3.1 8.8

±6.8 7.6

±4.2 3.4

±2.4 6.3

±4.4 6.7

±4.2 5.2±1.9 격자당 평균 밀도:

(개체수±표준편차)/㎢

1.1

±0.6 1.0

±0.8 1.0

±1.0 0.6

±0.5 1.3

±0.6 1.0

±0.7 1.3

±0.8 2.2

±1.7 1.9

±1.0 0.9

±0.6 1.6

±1.1 1.7

±1.1 1.3±0.5 개체수합계

(격자수 n)

55 (12)

47 (12)

45 (11)

27 (11)

60 (12)

49 (12)

61 (12)

106 (12)

84 (11)

34 (10)

75 (12)

80 (12)

60.3±22.6 (11.6±0.7) [표 Ⅳ-2]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의 격자별 평균 출현 개체수

* -: 무인센서카메라 미설치 기간 및 기타 무인센서카메라 또는 메모리카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미확보.

2) 월별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 2021년 11월 ~ 2022년 10월까지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의 개체수를 성체와 새끼로 구분해 분 석하였다. 멧돼지 개체수는 격자당 연평균 5.2(±1.9)개체였는데, 이 중 성체는 3.6(±0.9)개체 였으며, 새끼는 1.6(±2.1)개체로 성체가 새끼보다 약 2.6배 더 많았다[그림 Ⅳ-3].

▪ 성체의 개체수는 2022년 1월 4.1(±3.9)개체에서 2월 2.5(±2.1)개체로 급감한 뒤 3월에 5(±2.2)개체로 급증하여, 개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그림 Ⅳ-3]. 1월부터 3월까지 개체수 변화가 급격하게 변동된 것으로 보아 이 기간 동안 어떤 환경적 요인이 작용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후 8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2(±1.5)개체로 개체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9월 에 소폭 상승한 뒤 유지되었다[그림 Ⅳ-3].

▪ 새끼의 개체수는 2021년 11월부터 22년 4월까지 0개체로 나타났다. 이후 5월부터 증가하여 6 월에 5.4(±5.3)개체로 급증하여 개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월부터 감소하다 8월에 1.2(±1.4)개체로 급감하여 개체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그림 Ⅳ-3]. 다음 달인 9월에 다시 급 증하여 3.3(±2.9)개체로 나타났다[그림 Ⅳ-3]. 전반적으로 증감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 성체와 새끼의 개체군 변동 분석에 의하면, 6월, 7월과 9월, 10월을 제외한 기간 동안 성체수가 새끼수보다 높은 비율로 출현했다. 그중 6월과 7월에는 차이가 많이 났으며, 새끼수가 성체수 보다 각각 2.0개체, 1.8개체 더 많았다. 성체의 최저 개체수는 2.2개체(8월)에서 최대 개체수는 5.0개체(3월)로 개체수 변동 폭은 약 2.3배였다. 새끼의 경우 최저 개체수는 0개체(2021년 11 월~2022년 4월)에서 최대 개체수는 5.4(6월)개체였다[그림 Ⅳ-3].

▪ 번식은 줄무늬가 있는 새끼는 5월부터 관찰되었기 때문에 5월부터 시작한다. 다만 9월~10월에 번식을 하기도 하는데 2022년에는 9월부터 10월까지 새끼 개체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9월과 10월에 번식한 것으로 보인다[그림 Ⅳ-3].

▪ 성체와 새끼의 개체수가 5월과 6월에 서로 다른 패턴의 양상이 나타났다. 이후 7월부터의 개체 수 증감 패턴은 같은 양상을 보였지만 변동 폭이 새끼의 개체수가 성체의 개체수보다 큰 폭으로 변하였다[그림 Ⅳ-3].

[그림 IV-3] 계룡산국립공원 멧돼지의 격자당 월별 성체와 새끼 평균 출현 개체수 비교.

3) 구간별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 지구별로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 연평균 출현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성체의 경우, 동학사지구 4.5개체, 갑사지구 3.1개체, 수통골지구 2.7개체 순으로 출현 개체가 많았다. 새끼의 경우 갑사 지구 1.9개체, 수통골지구 1.8개체, 동학사지구 1.3개체 순으로 출현 개체가 많았다[그림 Ⅳ-4].

▪ 지역별(격자별)로 멧돼지의 출현 개체수 분석에 의하면, 12개 조사 격자들 중 연평균 출현 개체 수가 많은 지역은 성체의 경우, 학봉2길 7.8(±3.9)개체, 갑사분소 4.1(±1.9)개체로 연평균 4개 체 이상 출현했고 새끼의 경우, 신원사 3.4(±5.6)개체. 갑사분소 2.8(±3.9)개체 순으로 높은 출현 개체수가 나타났다. 연평균 출현 개체수가 적은 지역은 성체의 경우, 구왕리 1.4(±1.7)개 체, 삽재등산로 1.8(±1.9)개체로 연평균 2개체 이하로 출현했고 새끼의 경우, 용암저수지 0.4(±1.4)개체, 구왕리 0.5(±1.7)개체로 연평균 0.5개체 이하 출현하였다[그림 Ⅳ-4].

▪ 지역별로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의 출현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성체수가 더 많았 다. 지역당 성체의 비율이 높은 곳은 하신리(성체 9.4:새끼 1), 용동저수지(5.1:1) 등으로 성체의 비율이 새끼보다 최소 5배 더 높았다[그림 Ⅳ-4].

Dalam dokumen Untitled - 한국국립공원협회 (Halaman 6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