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무등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수
2. 도심권 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별 출현 특성 비교
가. 도심권 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별 멧돼지 출현 특성의 비교
1) 서식지 유형별 멧돼지 출현 개체수의 비교
▪ 2021년 11월~2022년 10월 동안 도심권 4개 국립공원(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에서의 연 평균 격자당 멧돼지 개체수를 진흙목욕장, 비빔목, 이동로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에서는 비빔목에는 설치하지 않았다.
▪ 진흙목욕장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경우, 연중 가장 적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2월, 경주국립공원이 1월~2월, 계룡산국립공원이 2월, 무등산국립공원이 21년 12~2월이었다 [표 Ⅵ-2, 그림 Ⅵ-5].
국립공원 출현 개체수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 개체수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2월 9월
경주 1월~2월 6월
계룡산 2월 6월
무등산 21년 12월~22년 2월 9월
[표 Ⅵ-2]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진흙목욕장 이용 출현개체수 현황
[그림 Ⅵ-5] 도심권 국립공원의 진흙목욕장에 출현하는 격자당 평균 멧돼지 개체수 비교.
▪ 진흙목욕장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9월, 경주국립공원은 6월,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6월, 무등산국립공원 9월이었다[표 Ⅵ-2, 그림 Ⅵ-5].
▪ 비빔목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경우, 연중 가장 적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이 21 년 12월과 9월, 계룡산국립공원이 2월, 무등산국립공원이 5월이었다[표 Ⅵ-3, 그림 Ⅵ-6].
▪ 비빔목에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11월,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6월, 무등산국립공원 21년 12월로 북한산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단지 1개 월만 높은 빈도로 활용했다[표 Ⅵ-3, 그림 Ⅵ-6].
국립공원 출현 개체수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 개체수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2021년 12월, 9월 11월
경주 - -
계룡산 2월 6월
무등산 5월 21년 12월
[표 Ⅵ-3]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비빔목 이용 출현개체수 현황
[그림 Ⅵ-6] 도심권 국립공원의 비빔목에 출현하는 격자당 평균 멧돼지 개체수 비교.
▪ 이동로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경우, 연중 가장 적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이 2 월, 경주국립공원이 2월, 계룡산국립공원이 2월, 무등산국립공원이 1월과 4월이었다[표 Ⅵ-4, 그림 Ⅵ-7].
▪ 이동로에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9월, 경주국립공원은 7월, 계룡산국 립공원은 10월, 무등산국립공원은 5월과 8월로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총 2개월간 높은 빈도로 활용되었다[표 Ⅵ-4, 그림 Ⅵ-7].
국립공원 출현 개체수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 개체수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2월 9월
경주 2월 7월
계룡산 2월 10월
무등산 1월,4월 5월, 8월
[표 Ⅵ-4]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이동로 이용 출현개체수 현황
[그림 Ⅵ-7]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이동로 이용 출현개체수 현황.
2) 서식지 유형별 멧돼지의 출현빈도 비교
▪ 진흙목욕장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연중 가장 낮은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 2월, 경주국 립공원은 21년 12월, 계룡산국립공원은 2월, 무등산국립공원은 2월이었다[표 Ⅵ-4, 그림 Ⅵ-7].
▪ 진흙목욕장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연중 높은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9월, 경주국립 공원은 8월, 계룡산국립공원은 9월 무등산국립공원은 10월이었다[표 Ⅵ-5, 그림 Ⅵ-8].
국립공원 출현빈도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빈도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2월 9월
경주 21년 12월 8월
계룡산 2월 9월
무등산 2월 10월
[표 Ⅵ-5]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진흙목욕장 이용 출현빈도 현황
[그림 Ⅵ-8] 도심권 국립공원의 진흙목욕장에 출현한 격자당 평균 멧돼지 출현빈도.
▪ 비빔목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연중 가장 낮은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 2월, 계룡산국립 공원은 8월, 무등산국립공원은 5월과 9월이었다[표 Ⅵ-6, 그림 Ⅵ-9].
▪ 비빔목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연중 높은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10월, 계룡산국립 공원은 21년 12월, 무등산국립공원은 3월이었다[표 Ⅵ-6, 그림 Ⅵ-9].
▪ 북한산국립공원의 경우 겨울철 출현빈도가 다른 시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겨울철에 유독 높 은 출현율이 나타난 이유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표 Ⅵ-6, 그림 Ⅵ-9].
국립공원 출현빈도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빈도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2월 10월
경주 - -
계룡산 8월 21년 12월
무등산 5월,9월 3월
[표 Ⅵ-6]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비빔목 이용 출현빈도 현황
[그림 Ⅵ-9] 도심권 국립공원의 비빔목에 출현하는 격자당 평균 멧돼지 출현빈도 비교.
▪ 이동로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경우, 연중 가장 낮은 출현빈도는 북한산국립공원은 2월, 경주국립 공원은 4월, 계룡산국립공원은 8월, 무등산국립공원은 1월이었다[표 Ⅵ-7, 그림 Ⅵ-10].
▪ 이동로에 연중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낸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9월로, 경주국립공원은 8월, 계 룡산국립공원은 3월, 무등산국립공원은 2020년 9월이었다[표 Ⅵ-7, 그림 Ⅵ-10].
국립공원 출현빈도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빈도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국립공원 2월 9월
경주 4월 8월
계룡산 8월 3월
무등산 1월 9월
[표 Ⅵ-7]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이동로 이용 출현빈도 현황
[그림 Ⅵ-10] 도심권 국립공원의 이동로에 출현하는 격자당 평균 멧돼지 출현빈도 비교.
나. 시간대별 멧돼지 출현비율의 비교
▪ 도심권 4개 국립공원(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의 시간대별 멧돼지 출현빈도를 비교한 결과 멧돼지의 활동 시간대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그림 Ⅵ-11].
▪ 일몰이 시작되는 17시부터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높아져 18~22시에 가장 높았으며, 일출 이후인 9시부터 일몰 직전인 15시까지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낮았다[그림 Ⅵ-11].
▪ 무등산국립공원을 제외한 3개 국립공원은 6시와 7시에 출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 지만,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소폭 감소하였다[그림 Ⅵ-11].
▪ 경주국립공원의 멧돼지의 경우 14시부터 출현율이 증가하기 시작하지만, 나머지 3개 국립공원은 16시 이후 출현율이 증가한다. 경주국립공원에서 멧돼지들이 다른 국립공원의 멧돼지들에 비해 이른 시간에 활동하기 시작하는 이유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그림 Ⅵ-11].
[그림 Ⅵ-11] 도심권 국립공원의 시간대별 멧돼지 출현비율 비교.
다. 멧돼지 개체군 평균 비교
▪ 효율적인 멧돼지 밀도조사를 위한 무인센서카메라 운영 기간을 정하기 위해 국립공원별로 2019 년부터 2022년까지의 월별 멧돼지 평균밀도 구한 뒤 다양한 조합의 평균밀도 값을 구하여 연평 균 밀도 값과 비교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을 통해 조합 간의 평균 차이가 유의하는지도 분석해보 았다. 그 결과, 조합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평균 밀도와 비슷한 월 조합 또한 국립공원 마다 달랐기 때문에, 효율적인 무인센서카메라 운영 기간을 단정 지을 수 없다고 판단되었다.
▪ 국립공원마다의 환경 요인도 고려해야 하며, 데이터양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무인센 서카메라 운영 기간을 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장기모니터링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축적 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평균 경주 1.21 1.19 0.89 0.84 0.73 0.80 1.11 1.31 0.97 1.18 1.27 1.04 1.04 계룡산 1.20 1.07 0.97 0.88 1.19 0.95 1.26 1.74 1.95 1.03 1.39 1.46 1.26 무등산 0.39 0.43 0.40 0.46 0.58 0.50 0.85 1.39 1.22 0.97 0.97 1.08 0.77 북한산 1.54 1.30 1.25 0.81 1.30 1.43 1.76 2.36 2.13 2.02 2.62 2.29 1.73 [표 Ⅵ-8] 4개 국립공원의 4개년(2019~2022년) 월별 멧돼지 평균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