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등교육체계는 <그림 Ⅲ-1>과 같다. <그림 Ⅲ-1>의 오 른편은 현행 체계이고 왼편은 2015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 국 고등교육법」(이하 「고등교육법」) 개정 이전의 고등교육체계이 다. 기존에 2~3년제 전문학교와 4~6년제 대학으로 나뉘었던 고등 교육체계는 현재 대학으로 단일화되었다. 현재 북한에서는 대학 유 형을 종합대학, 부문별 대학, 직업기술대학, 공장(농장‧어장)대학 으로 구분하고 있다. 종합대학과 부문별 대학은 4~6년제로 운영되 나, 4~5년제가 대부분이고 6년제로 운영되는 대학은 많지 않은 것 으로 보인다. ‘부문별 대학’은 특정 분야의 관련학과들로 구성된 단 과대학을 의미한다. ‘공장대학’은 대규모 기업소, 공장, 농장 등에 부설된 산업체 부설대학으로, 북한에서는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체 계’라고 부른다. 공장대학은 공장이나 공업지역에, 농장대학은 농장 에, 어장대학은 수산업 관련 사업장에서 부설된다. 주로 산업현장 에서 일하는 근로자 중에서 학생을 선발하며 일과시간 이후에 수업 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직업기술대학’은 전문학교 폐지와 함께 확대된 대학 유형으로,
특정분야의 산업현장에 필요한 기술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하는 대 학이다. 이전에도 직업기술대학과 같은 성격의 대학들이 있었으나 전문학교가 폐지되면서 ‘대학’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교육 수준을 높 이고 교육의 질을 강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직업기술대학의 교 육연한을 문서자료를 통해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고등교육법」에는 대학의 교육연한을 3~6년으로 통틀어 표현하고 있는데, 직업기술 대학의 경우 2~3년제 전문학교에서 대학으로 승격된 것을 감안하 면 기본적으로 3~4년제로 운영될 것으로 판단된다. 유치원 교양원 과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교원대학은 기존과 동일하게 3년제로 운영된다. 대학 졸업 후 진학하는 박사원은 남한의 대학원에 해당하 는 교육기관으로, 석사반과 박사반이 운영된다. 박사원 이후의 연 구기관으로 3~5년제 과학연구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림 Ⅲ-1> 북한의 고등교육 체계 변화
2015년 현재
교육기관 연령
(만) 교육기관
과학연구원 (3~5년)
31
과학연구원 (3~5년) 3029
28 27 박사원
(2~4년)
26 박사원 (2~4년) 25
24 23 종합대학 부문별 대학
공장대학 (4~6년)
22 종합대학 부문별 대학
공장대학 (4~6년) 21
전문학교 (2~3년)
교원대학 (3년)
20 직업기술대학
(3~4년) 교원대학 (3년) 19
18 17 자료: 저자 작성.
고등교육 체계개편은 2014년 전국교육일군대회에서 제시된 교육 개혁 방향에 따른 것이다. 2015년 12월 23일에 개정된 「고등교육법」
에 개편된 고등교육 체계가 반영되었고, 이후에 전문학교가 지역의 다른 대학으로 통합되거나 공장대학 또는 직업기술대학으로 승격되 는 작업이 추진된 것으로 보인다.72) 개정 「고등교육법」은 총 7장 68조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 개정된 조항은 제11조, 제12조, 제16 조, 제17조, 제18조, 제21조, 제26조, 제35조, 제39조, 제42조, 제 47조이다.73) 주요 개정 내용은 <표 Ⅲ-1>과 같다.
<표 Ⅲ-1> 고등교육 체계 개편 관련 「고등교육법」 주요 개정 내용
72) 전문학교 전환, 통합은 2016년에 한꺼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시간을 두고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2017년에는 60여 개의 전문학교가 공장대학, 농장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조선중 앙통신사, 뺷조선중앙년감: 2018뺸(평양: 조선중앙통신사, 2018년), p. 256. 양강도 소재 전문학교에 2015년에 입학하였던 탈북민의 증언에 의하면, 2016년 4월에 전문학교가 지 역의 부문별 대학으로 통합되거나 직업기술대학으로 전환되었다.
73) 개정된 조항은, 제11조, 제12조, 제16조, 제17조, 제18조, 제21조, 제26조, 제35조, 제39조, 제42조, 제47조이다.
74) 법률출판사 엮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등교육법,” 뺷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전뺸 (평양: 법률출판사, 2012), p. 1051.
75) 국가정보원, 뺷북한법령집 下뺸(서울: 국가정보원, 2019), pp. 515~517.
구분 2011.12.14.74) 2015.12.23.75) 11조
고등교육 기관 명칭
(고등교육의 구분) 전문학교교육, 대학교육
(고등교육의 형태) 대학교육
12조 고등교육 기관 명칭
(전문학교교육)
중등기술자, 전문가 양성 대학교육보다 낮은 단계의 고 등교육
(대학교육의 구분)
본과교육, 박사원교육, 과학연 구원교육
16조
고등교육 기관 명칭
학업을 전문으로 하는 고등교육 체계: 전문학교, 대학 일하면서 배우는 고등교육체계:
공장전문학교, 공장대학, 농장 대학, 어장대학
학업을 전문으로 하는 고등교육 체계: 대학
일하면서 배우는 고등교육체계:
공장대학, 농장대학, 어장대학
자료: 저자 작성.
「고등교육법」 개정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고등교육 기관의
명칭과 유형이다. <그림 Ⅲ-1>에도 나타나 있듯이, 2015년까지 대 학과 전문학교로 구분되어 있던 고등교육기관이 대학으로 단일화되 었다. 전문학교는 남한의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인데, 「고 등교육법」 개정 이후 대학으로 승격되거나 기존에 있던 다른 대학 으로 통합되었다. 개정 「고등교육법」에는 고등교육기관의 유형 변 화도 나타나있다. 위의 <표 Ⅲ-1>를 보면, 법 개정 이전에는 대학 유형이 종합대학, 부문종합대학, 부문별 대학으로 구분되었는데, 개정 이후 종합대학, 부문별 또는 지역별 종합대학, 부문별 대학, 직업기술대학으로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체계의 명칭은 ‘통신교육체 계’에서 ‘원격교육체계’로 바꾸었다. 북한에서는 정규대학 이외에 근 로자 등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직업과 대학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형태의 ‘일하면서 배우는 고등교육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일하면서 배우는 고등교육체계로 기존에는 공장대학, 농장대학, 어장대학과 정규대학에 부설되어 통신교육 형태로 운영되는 통신대학이 있었 다. 2010년대부터 컴퓨터와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한 원격교육이
구분 2011.12.14.74) 2015.12.23.75) 18조
고등교육 기관 유형
종합대학과 부문종합대학, 부 문별대학을 적절히 배합하는 원칙
종합대학과 부문별 또는 지역 별종합대학, 부문별대학, 직업 기술대학 같은 것을 적절히 배 합하는 원칙
26조 명칭 수정
(통신학부 및 학과설치) 학업을 전문으로 하는 주간학 부 및 학과와 함께 일하면서 배우는 통신학부 및 학과를 두 고 현직에서 일하는 근로자들 에게 통신교육을 줄수 있다.
(원격교육체계 확립)
근로자들이 일하면서 고등교육 을 받을 수 있도록 원격교육체 계를 세우고 교육수준을 부단 히 높여야 한다.
확대되면서 기존의 통신대학이 대부분 원격교육대학과 원격교육학 부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