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전민과학기술인재화’의 주된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은 원 격교육을 통한 고등교육 확대와 과학기술지식 보급이다. 북한에서 는 2020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3차 회의에서 “조선민주주 의인민공화국 원격교육법을 채택함에 대하여”를 채택하여 「원격교 육법」을 제정하였다. 법령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진 바 없지만,
102) 뺷로동신문뺸, 2020.2.19.
학부명 학과명 교육기간 강좌명
체육학과 3년제 음악강좌
무용강좌 미술강좌 체육강좌 정보기술강좌
예능학과 3년제
「원격교육법」 제정은 원격교육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절에서는 북한 교육에서 원격교육의 체계, 의미와 기능 을 살펴보고 대학을 중심으로 한 원격교육 현황을 파악한다.
가. 원격교육 체계
북한의 원격교육은 1940년대 후반 성인 대상 우편교육으로 시작 하여, 1970년대에는 라디오와 TV를 활용한 방송교육으로 발전하였 으며, 2000년대 들어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러닝을 활 용한 교육으로 발전하였다.103) 김정은 시대에는 ‘전민과학기술인재 화’의 기치 하에 원격교육이 급속히 확산되었고, 교육시스템 구축과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이를 주도한 기관은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 업종합대학 등 주요 대학들이다.
다음 <그림 Ⅲ-2>는 2018년 북한 기업소의 벽에 걸려있었던 원 격교육에 관한 벽보로, 북한의 원격교육 구성 체계와 주요 방향성을 보여준다. <그림 Ⅲ-2>에 의하면 북한에서는 원격교육을 크게 대 학 원격교육과 사회 원격교육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그림에서 두 가지 부문의 원격교육은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위한 방도로 위치지 어지고 있다.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에 맞는 학습내용을 제공한다는 점과 교수 및 교육행정업무의 과학화, 정보화를 실현한다는 점, 세 계적 범위에서 교육콘텐츠 교류가 가능하다는 점이 원격교육의 특 징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학 원격교육은 대학의 교육과정에 의거해 서 진행하는 교육으로, 각 대학의 원격교육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이 아이디를 부여받고 해당 대학 원격교육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강의
103) 김지수, “북한 원격교육 실태 및 남북 교류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Research Bri ef NRCO-50, 2019), p. 3, <https://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
=0008&act=view&list_no=146044&otp_id=> (검색일 2020.10.20.).
를 수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사회 원격교육은 “대중학습장소 에서 강습, 재교육 등의 형식으로 진행하는 원격교육”으로 과학기 술전당, 인민대학습당 등 사회교육시설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교 육을 의미한다. 대학 학부 수준의 원격교육 이외에도 박사원교육,
<그림 Ⅲ-2> 원격교육 구분 및 특성
자료: 비공개 자료에 따른 출처 생략.
재교육, 실무강습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교육내용은 사회과학, 과 학기술, 외국어 학습 등을 포괄하고 있다.
<그림 Ⅲ-3>은 원격교육 체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벽보이다.
<그림 Ⅲ-3>을 통해서 원격교육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 수
<그림 Ⅲ-3> 대학 원격교육 학제
자료: 비공개 자료에 따른 출처 생략.
준의 원격교육이 5년제와 2년제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104) 중등교 육 이수자는 5년제 교육을 통해 고등교육 이수 자격을 받고, 이미 고등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2년제 교육과정을 통해 다른 전공 부문 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5년제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교육이수 속도에 따라 단축될 수도 있다.105)
<그림 Ⅲ-3>에 나타난 원격교육 접속 경로는 과학기술보급실, 생산현장, 가정이다. 이 중 실제로 근로자들이 많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다음 <그림 Ⅲ-4>와 같이 기업소나 공장에 설치된 과학기술 지식보급실이다. 가정에도 모뎀을 설치하고 컴퓨터를 연결하면 북 한 내의 인트라넷 접속이 가능하여 원격교육을 받을 수 있지만, 전 송속도가 빠르지 않고 가정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잦은 단속 대상이 되므로 가정에서 원격교육을 받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그림 Ⅲ-4> 평양곡산공장 과학기술지식보급실
자료:뺷로동신문뺸, 2019.6.14.
104) <그림 Ⅲ-2>에는 ‘원격교육대학’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2019년 10월 이후에 원격교육대 학은 모두 원격교육학부로 전환되었다.
105)뺷조선신보뺸, 2015.12.9.
공장에 설치된 학습장소 이외에 지역에 설치된 학습장소를 이용 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시설은 각 도와 특별시의 정보화된 도서관, 중앙대학과 도 소재 주요 대학의 도서관, 시‧군 단위에 설치된 미 래원 등의 평생학습시설들이다. 평양에는 인민대학습당, 2015년 신 축된 과학기술전당 등 대형 평생학습시설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 한 시설들에는 컴퓨터학습실, 멀티미디어열람실, 원격강의실 등이 갖추어져 있어106) 원격교육대학생과 일반인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을 할 수 있다.
<그림 Ⅲ-5>에는 원격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소와 접속매체가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다. 학습 장소는 공장, 기업소 등 생산현장과 지역의 평생교육시설로 구분된다. 접속 매체로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판형콤퓨터)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림 Ⅲ-5> 원격교육 접속 장소 및 매체
자료: 김일성종합대학 홈페이지(국내 접속 불가, 2020.5.27. 인출)
106) 뺷로동신문뺸, 2019.1.28.
휴대전화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접속이 가능한 것은 최근 북한의 정보통신망이 확충되었기 때문이다. 2000년대 초 북한은 광케이블에 의한 통신망을 통해 전국을 연결하였다고 밝힌 바 있 다.107) 2011년에는 체신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였고,108) 2015년에 중앙과 도, 시, 군을 연결하는 ‘정보고속도로’를 완성하였다고 보도 하고 있다.109) 전국을 연결하는 정보통신망 광명의 대도시간 정보 전달 속도는 10Gbps로, 지역의 말단구역까지 정보전달 속도는 1Gbps로 개선하였다. 말단 구역에서의 무선망 활용을 확대하면서 보안체계도 크게 강화하였다.110) 북한은 현재 3G 통신서비스를 사 용하고 있는데, 4세대이동통신(4G)에서 활용되는 통신규약인 다이 어미터 프로토콜을 연구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111) 4G 서비스는 이동 중에는 100Mbps, 정지 중에는 1Gbps를 전송하는 통신기술 로, 원격교육을 받기에는 충분한 통신망 속도라고 평가된다.112)
대학의 원격교육은 실시간대화형강의와 강의를 녹화하여 제공하 는 비실시간강의형태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진행하고 있다. 비실시 간형강의가 기본이 되는데, 이는 주로 산업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학생들이 직장 사정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강의를 듣지 못해도 나중에 이를 보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113)
107)뺷조선신보뺸, 2003.2.3.
108) 뺷조선신보뺸, 2011.3.14.
109)뺷교육신문뺸, 2015.5.7.; 뺷로동신문뺸, 2015.4.27.
110) 이춘근, “북한의 과학기술‧ICT 정책과 추진동향,” 뺷KDI북한경제리뷰뺸, 2019년 3월호 (2019), p. 21.
111) “북한 4G 통신 준비?...다이어미터 프로토콜 실험,” 뺷NK경제뺸, 2019.1.9. <http://www.
nk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29> (검색일: 2020.10.30.).
112) 이희정‧박기철, “남북한 원격교육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성인대상 교육을 중심으로,”
뺷북한연구학회보뺸, 제23권 1호 (2019), p. 94.
113) 뺷로동신문뺸, 2013.11.16.
나. 원격교육의 의미와 기능
북한 문헌과 매체에 나타난 원격교육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북한에서 원격교육은 다음과 같은 의미와 기능을 지니는 것으로 분 석할 수 있다. 첫째, 원격교육은 북한에서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실현 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위치지어진다. 북한에서 원격교육은 고등 교육 확대, 재교육 및 평생교육 활성화 등 원격교육의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도 국가적 교육 목표이자 발전전략인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실 현의 주요 수단으로 위치지어지면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근로자들 속에서 원격고등교육 확대는 국가 발전과 경제의 현대화를 단기간에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다음과 같은 기사는 원격 교육이 전민과학기술인재화에서 갖는 의의를 강조하고 있다.
원격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는 자기의 특성으로 하여 사 회성원 모두에게 충분한 교육조건을 보장해준다. 또한 원격교육체계는 학생들의 창조적능력과 지적잠재력을 적극 발동시키는데서도 효과적 이다. 이런것으로 하여 원격교육체계를 시대의 요구에 맞게 끊임없이 발전시키는 사업은 사회의 모든 근로자들을 현대과학기술지식을 소유 한 지식형근로자로 준비시키는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114)
북한에서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고등교육 수준의 원격교육 은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2010년 2월에 황해제철련합기업소 근로 자 40명을 대상으로 강의를 시작함으로써 처음 시작되었다.115) 2013년경에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위해 기존에 대학강의 보조를 중심으로 했던 원격교육을 기업소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확대하는
114)뺷민주조선뺸, 2019.10.4.
115) 뺷로동신문뺸, 2014.12.8.
방침을 확고히 한 것으로 보인다.116) 이후 대학 원격교육은 2015년 경부터 다른 주요 대학에서도 실시되었으며, 규모가 큰 기업소와 공 장을 중심으로 관련 부문별 대학 부설 원격교육대학 또는 원격교육 학부에 입학하는 근로자가 증가하였다. 이후에 상세히 살펴보겠지 만, 원격대학 학생 수를 10만 명 정도로 본다면, 이는 전체 대학생 수의 20%에 달하는 상당히 큰 규모이다.117) 각 기업소나 지역마다 원격교육을 수강할 수 있는 컴퓨터시설과 네트워크만 갖추어진다면 추가 예산이 크게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원격교육을 통해 단기간에 고등교육을 확대할 수 있다.
기업소와 공장에서는 원격교육실, 과학기술지식보급실 등 원격교 육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 기업소 근로자들이 대학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초기에는 정해진 시간에 원격교육을 받는 근로자들이 한 곳에 모여서 같은 강의를 수강하는 형식이 주를 이루었는데, 원격교육시스템이 발전하고 기업소의 환경도 개선되면 서 개별적인 수강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신문 기사에서는 김정숙평양제사공장에서 원격교육을 받는 장면을 다음과 같이 묘사 하고 있다.
산뜻하게 꾸려진 강의실내부, 수 십대의 성능높은 콤퓨터들, 환등기 와 화상입력장치…. 강의하는 교원의 모습은 찾아볼수 없었다. 이따금 들리는 책장번지는 소리가 전부인 강의실은 우리에게 류다른 감흥을
116) 조선중앙통신사, 뺷조선중앙년감: 2014뺸, p. 375.
117) 통계청에서는 2018년 기준 북한 대학생수를 51만 9천명으로 추산한다. 통계청 홈페이지
<https://kosis.kr/index/index.do> (검색일: 2020.10.20.). 한편, 북한이 국제기구 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대학생 수는 43만 7천명, 전문학교 학생수 는 21만 9천명이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youngyang, DPR of Korea, Country Report on Education For All National Mid-Decade Assessmen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ESCO, 2008, pp. 6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