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요 청자는 문양의 여부와 시문방식을 기준으로 문양이 없는 무문청 자, 음각
・
양각・
투각기법으로 문양이 시문된 청자와 상감청자로 구분된 다. 또한 관요 청자의 기종으로 발, 접시, 대발, 병, 편병, 뚜껑, 합, 호의 음식 혹은 저장기명과 향로, 돈, 화분, 기대, 제기의 특수기명이 모두 제 작되었다. 이중 무문청자가 기종, 기형면에서 종류와 수량이 가장 많았 고, 음식관련 일상기명부터 특수기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종으로 제 작되었다. 반면, 음각・
양각・
투각청자는 무문청자로 출토된 사례가 없는 화분, 돈, 기대로도 제작되었고, 상감청자는 향로와 화분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관요 청자가 종류별로 용례와 인식을 달리하고, 실용성 과 장식성 중 중점을 두는 대상에 따라 차이를 두었던 결과로 여겨진 다.<표 13><표 13> 관요에서 제작된 청자의 종류와 기종별 가마의 수(기)
관요 청자 중에서 무문청자와 상감청자는 각각 발과 접시, 향로와 화 분으로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더구나 가마별로 ‘무문청자
・
음각청자・
양 각청자・
투각청자’, ‘상감청자’ 중 택일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이처럼 관요마다 청자의 종류에 선을 긋고, 청자의 종류별로 기종에 차 이를 두는 것은 운영시기의 차이에 따른 측면도 있다. 한편으로 가마마 다 청자 제작의 목적과 수급 대상에 차이를 보였던 정황, 나아가 관요별 위계차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한다. 실제로 광주 도마리 1호, 우산리
4
・
9호, 번천리 9호 가마는 무문청자와 상감청자를 함께 제작한 극히 드 문 관요에 해당하였다.이들 가마에서 제작된 관요 청자에는 가장 다채로운 문양과 시문기법 이 적용되었다. 또한 광주 우산리 4호 가마를 비롯해 번천리 9호, 우산리 9호 가마에 한해 대형접시 내면에 문양을 시문한 음각청자가 제작되었 다. 이는 용천요 청자를 모방한 이례적인 예로 평가된다. 따라서 광주 도 마리 1호, 우산리 4
・
9호, 번천리 9호 가마는 관요 중 주도적인 역할을 행한 중심 가마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관요를 대상으로 발굴조사가 진 행 중이므로 이를 단정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추후 진행될 발굴조사를 통해 관요 청자의 제작 양상에 대한 보다 면밀한 접근이 가능할 것이 다.<표 14~15>무문 음각/양각/투각 상감 발 접
시 잔 대 발 병 편
병 호 뚜 껑 합 향
로 제 기
접 시 잔 향
로 돈 화 분
기 대 호 향
로 화 분
곤지암리1 ○ ○ ○
관음리2 ○
관음리4 ○
관음리9 ○
관음리10 ○ ○
관음리11 ○ ○
관음리20 ○ ○ ○
귀여리11 ○
도마리1 ○ ○ ○ ○ ○
대쌍령리1 ○ ○
대쌍령리2 ○
무갑리2 ○ ○
무갑리8 ○
무갑리10 ○ ○ ○ ○
무갑리18 ○
번천리3 ○
번천리8 ○ ○
번천리9 ○ ○ ○ ○ ○ ○ ○ ○ ○ ○
상림리1 ○ ○
상림리10 ○
상림리11 ○
선동리1 ○ ○ ○ ○ ○
선동리2 ○ ○ ○
송정동5・6 ○ ○ ○ ○
신대리13 ○
열미리5 ○
오전리3 ○
우산리4 ○ ○ ○ ○ ○ ○ ○ ○
우산리9 ○ ○ ○ ○ ○ ○ ○ ○ ○
우산리14 ○ ○ ○ ○
정지리3 ○ ○ ○
탄벌리1 ○ ○
탄벌리8 ○
학동리4 ○ ○ ○
학동리10 ○
왕산리2 ○ ○ ○ ○ ○ ○ ○
合 16 24 1 3 3 2 4 5 1 3 1 3 2 5 5 3 5 1 6 8
<표 14> 가마별 청자의 종류와 기종
접시 향로 돈 화분 기대 호 관음리9
무갑리8 당초 ①
관음리10 횡선/국화①
도마리1
당초/매화 사각/연판 국화초 모란초
①
연판 ② 연판
국당초 매화절지
① 연판 ② 귀면 이수 연주
③ 기하/윤형④
사각/당초③
사각 ③ 연화초 ②④
연주 ③ 대쌍령리2
국화초문 곤충문 ① 사각문 ③
무갑리2 초화 ①
연주 ③
무갑리18 화초/연판 ①
사각 ③
번천리9
동전 화초 당초
②
당초/국화 국화초 사각/연판
① 국화 ①연주/귀면 ③
연판 ① 연판 ②
사각 ③ 능화 ④
연주 ③
상림리1 사각 ③
선동리1 연주 ③ 당초
사각 ③ 국화초 ②
선동리2 연주 ③
국화초 ②
송정동5・6 연주/사각 ③
신대리13 능화 ④
우산리4 운/초
연화당초 ② 화초 ①
연주/귀면 ③ 연판 ② 능화 ④
우산리9 격자 ②
당초 ③ 국화/초/연
판 ①
연환 ④
사각 ③ 연화 ②④
우산리14 능화 ④
정지리3 연주 ③
학동리4 연주 ③
연판 ② 학동리10
왕산리2
연주 ③ 국화초 ②
<표 15> 가마별 청자 문양의 종류와 시문 방식
(①상감, ②음각, ③양각, ④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