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3 국내외 유사제도의 평가모형

2.3.1 국외 유사제도의 평가모형

1) 해상안전분야 유사제도

국외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진단절차 및 진단기준 마련 등 체계적이고 종합 적인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는 시행하지 않고 있지 않으나 미국, 영국, 일본 등

구분 관련근거 주요내용 평가항목

한국 해사안전법

- 해상교통안전진단

y 안전진단대상사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항행안전 위험 요인 을 전문적으로 조사·측정하 고 평가하기 위함

y 해상교통현황조사, 해상 교통현황측정, 해상교통 시스템 적정성 평가

미국

CFR 33

제33편 제25장 항만 및 수로안전프로그램 1221

- PAWSA

(Ports And Waterway Safety Assessment)

y 미국 주요수로의 위험요소 식별 y 항만에서 선박통항관리(Vessel

Traffic Management, VTM)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반 으로 사용

y 위험수준 예측․추정 y 위험제거 조치의 평가

- 잠재적 경감 방안 평 가와 위험성 경감을 위 한 선택된 방법의 이행 을 위한 단계의 설정 등

영국

PMS Code

- Port Maritime Safety Code

y 항만 위험 평가 및 적절한 안 전관리시스템은 안전성을 개 선할 수 있다는 견지에서 코 드를 개발

- 위험도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면 낮게 유지하도록 하고 모든 해양운 영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립 하는 것

y 국가표준으로서 법적 효력을 가짐

y 공식안전성 평가(FSA) 기반

- 항만수역에서 해양운 영(Marine Operation)과 관련된 항만당국의 일반 적인 의무와 권한 - 국가표준에 따라 항만 업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채택해야 할 조치

Table 2.2 Comparison with Maritime Safety Field in major Nations 다른 선진국의 경우 해상교통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나 해상교통안전 진단의 기술기준 중 하나인 해상교통안전성 또는 위험성평가에 대한 법적 근거 를 마련하고, 다양한 주체와 협의하여 항만의 위험성을 관리하고 있다.

Table 2.2와 같이 미국은 연방법 CFR 33, 영국은 항만해양안전코드(Port Marine Safety Code), 홍콩은 해상교통위험관리(MARA), 일본은 항만법, 교통안 전대책기본법 및 환경영향평가법에 근거하는 등 관련 법령을 마련하고 있으며, 진단기준에 있어서도 미국 PAWSA, 영국의 항만해양안전코드(Port Maritime Safety Code), 홍콩의 해상교통위험관리(MARA) 등은 해상교통의 위험성 및 항 만안전성 평가함에 있어 공식안전성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일본은 선박조 종시뮬레이션 평가, 해상교통환경평가, 계류안전성평가 등 자체적인 진단기술을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조민철, 2012).

홍콩

MTRA Model

- 해상교통위험관리 모델

(Marine Traffic Risk Management, MARA)

y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와 각 단계에서 얻은 정보를 문 서화하고 작업반에서 테스트 하여 운영반에서 재검토 y 2003년 5월 해양부에서 채택

y 해양위험성 평가

- 1단계 : 현재 및 미래 교 통 활동의 종합적인 평가 - 2단계 : 현재 및 미래 위험 수준을 나타내기 위 하여 해상교통 위험성 평 가모델을 개발하고 응용 - 3단계 : 주요한 충돌 수역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위험조절 대 책의 검토․개발 및 시험

일본 항만법 - 안전성 평가

y 교통의 발달 및 국토의 적절 한 이용과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환경의 보전을 고려하면서 항만의 질서 있는 운영을 하는 것과 항로를 개 발하고 보전하기 위한 목적

y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해 상교통환경평가, 계류안 전성평가

[자료] 조민철(2012: 28)을 참조하여 재구성

2) 교통안전분야 유사제도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는 해상교통분야 외에 다른 분야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데 도로안전진단제도의 경우에는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벤치마킹 모델로서 오래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시행 중이다.

주요 국가별 교통안전분야 유사제도는 Table 2.3과 같이 호주와 뉴질랜드의 도로수송 및 교통기관연합인 AUSTROADS, 영국 교통부, 뉴사우스웨일즈 도로 교통기관, 미국 연방도로청(FHWA) 등이 있으며, 도로교통 사업에 대한 진단을 통한 안전성을 점검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구분 주요내용 AUSTROADS

- 호주와 뉴질랜드의 도로수송 및 교통기 관 연합

y 도로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현재의 또는 미래의 도로 또는 교 통프로젝트 또는 기타 프로젝트에 대한 정규 진단

y 프로젝트의 사고 가능성과 안전성 점검

영국 - 교통부

y 모든 도로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이용자들의 안전 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물리적 요소들 및 그 상호작용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y 도로교통 사업에 대한 안전성과에 대한 검사 뉴사우스웨일즈

- 도로교통기관 y 도로 프로젝트의 설계, 실행, 운영을 점검

미국

-연방도로청(FHWA)

y 기존 도로나 장래 계획도로의 안전여부를 독립적이며 자격을 갖 춘 자에 의해 행해지는 공식적인 안전성능 검사

y 아울러 모든 도로 이용자에 대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잠 재적인 도로안전 문제 및 식별된 기회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보고하도록 한다.

독일 y 설계에서 공사를 거쳐 도로완성에 이르는 모든 작업 단계에서 도로설계의 안전관점을 체계적으로 평가

Table 2.3 Comparison with Transportation Safety Field in major 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