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교통영향평가 도로(운수․삭도)교통안전진단 시설물 안전진단
의의
y 사업 시행시의 교통상의 문제점 예측․분석, 대책 강구
y 교통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
y 경험과 기술을 갖춘 자가 육 안 또는 점검기구 등에 의하 여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시설 물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인 을 조사
y 정밀안전진단이란 시설물에 대하여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결함의 원인을 조 사․측정․평가하여․보강 등의 방 법을 제시
대상 사업
y 24개 단위사업 및 23개 시설물
y 일정 길이 이상의 도로의 건설, 부대시설 및 편익시 설의 건설 등
y 공중에 설치한 밧줄에 운반 기를 달아 여객 또는 화물 을 운송하는 교통시설 등
절차 및 내용
(관련기관)
y 건설교통부, 시․도 y 교통영향심의위원회
y 설계단계, 개통직전 단계, 운영단계의 도로에 대한 교 통안전진단
y 여객자동차운송사업자 및 화물자동차운송사업자 등 자동차운송사업을 영위하 는 자가 받는 운수교통안 전진단
y 시설물의 계획․시공 단계에서 품질관리 안전활동(건설기술 관리법)
y 1․2종 시설물 준공 후 주기적 인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을 시행(시설물특별관리법) Table 2.5 Comparison with Domestic Traffic Safety Field
2.4.2 정책평가와 해상교통안전진단
본 연구의 적용 이론으로서 메타평가는 정책평가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 것으로 메타평가 대상으로서의 해상교통안전진단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 해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평가와 정책평가가 어떠한 관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하 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정책평가는 ‘정책의 내용, 집행 및 집행의 결과와 그 영향 등을 추정하거나 사정 또는 평가하기 위하여 체계적 연구방법들을 응용하는 것으로 서 어떤 한 정책의 과정이나 결과를 이해하고, 그 값어치를 판단하는 사회적인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정책의 내용과 집행 및 그 영향 등을 추정하 거나 평정하는 것을 정책평가라 한다(노화준, 2005).
정책평가는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평가대 상, 평가주체, 평가기능, 평가시기, 평가범위 등에 따라 정책평가를 분류한다.
이 기준에 의거 해상교통안전진단을 분류하면 Table 2.6과 같다.
구분 정책평가 유형 해상교통안전진단평가
평가
대상 y ‘모든 것’에 적용 가능 y ‘해상교통안전’에 주안점
평가 주체
y 자체평가, 내부평가, 외부평가 y 제도적 평가, 비공식 평가
y 자체평가(사업자), 외부평가(진단기관) y 제도적 평가
평가 기능
y 프로그램에 대한 책무성 y 프로그램 향상
y 지식의 창출
y 진단자체가 확보수단, 진단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y 해상교통안전의 사업 수용성 강화
평가 시기
y 사전평가 : 착수직전분석, 평가성 사정, 형성평가, 적합성 평가
y 과정평가 : 프로그램 모니터링 집행과정 평가 y 사후평가 : 정책영향평가, 총괄평가, 효과성
평가, 능률성 평가, 평가종합, 메타평가 등
y 사전평가 : 사업시행 전 해상교통안 전성 평가
평가 범위
y 단일평가
y 포괄적 평가 y 포괄적 평가 : 해상교통안전 분야
평가
단위 y 기관평가, 개별평가, 사업평가 y 개별평가 : 개별 진단사업에 대한 평가 Table 2.6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Evaluation and MTSA
[자료] 김병철(2009: 117)을 참조하여 재구성
정책평가와 비교하면 현행 해상교통안전진단평가는 정책평가 유형 중 개별평 가 형식으로 수행되는 사전평가로 해상교통안전의 사업수용 강화를 위한 제도 적 평가에 해당된다. 그 결과 평가는 정책평가의 일반적 속성을 지니면서 동시 에 해상교통안전진단만의 고유한 특성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4.3 해상교통안전진단과 메타평가
메타평가를 해상교통안전진단에 적용하기에 앞서, 메타평가를 어떠한 시각에 서 바라볼 것인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메타평가에 관한 연구자들은 메타평가는 평가나 환류와 같은 메타과정 또한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평가에 대한 평가로서, 체계상 정책평가보다 우위에 있는 개념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그 내용상 정책평가의 한 유형으로서 설명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메타평가를 정책평가의 방법 중 하나로 인식하거나, 정책평가의 과정중 하나로 파악하기도 하는 것이다(김명수, 1993; Vedung, Evert, 1997; Kusek, Jody Zall. Z. & Ray C. Rist, 2004).
따라서 메타평가는 정책평가에 대한 상위평가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지만, 정 책평가의 일종으로서 평가의 속성 또한 지니고 있다. 다만, 정책평가와 메타평 가는 내용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정책평가는 특정한 정책 또는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정책집행의 결과에 초점을 둠으로써 성과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측면이 강한 반면, 메타평가는 평가활동을 그 대상으로 하며, 평가과정 등 전반적인 평가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어 평가의 질 제고를 위한 진단계획의 활용에 역점을 둔다고 할 수 있다(류영수, 2007).
이러한 메타평가의 적용대상으로서 해상교통안전진단을 정책평가와 메타평가 의 관계 속에서 그 위치를 파악해보면, 해상교통안전진단은 내용적으로는 정책 평가의 속성 일부를 포함하는 정책평가의 영역 내에 있으며, 체계적으로는 메 타평가의 하위평가에 속한다.
즉, 메타평가 대상으로서의 해상교통안전진단의 의의는 Fig. 2.5와 같이 해상 교통안전성 측면의 문제인식에서 이를 평가하기 위한 진단범위를 설정하고 진 단항목별 진단기술을 적용․평가하여 해상교통안전성 확보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사업에 반영하고 관련자들과 인식을 공유하여 바람직한 사업방향을 모 색하는 절차로 해석할 수 있다.
Fig. 2.5 Conceptual Diagram of MTSA
제 3 장 메타평가의 이론적 고찰
본 장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의 분석틀의 적용 이론인 메타평가에 대한 문 헌고찰과 함께 기존문헌에서 제시하는 메타평가의 개념, 목적, 유형, 방법 등의 논의를 통해 메타평가 모형을 종합적으로 검토․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