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진화생물학에 기초한 유기적 세계관: 비환원적 자연주의

프라그마티즘 철학152)의 선구자로서 잘 알려진 존 듀이는 진화생물 학에 기초한 미학이론을 확립하였다. 듀이의 미학이론은 그의 책 『경험 과 자연(Experience and Nature)』(1925)을 통해 예비적인 형태로 제안 되었으며, 이후 1934년에 쓴 『경험으로서 예술(Art as Experience)』에 서 구체적이고도 직접적인 형태로 체계화되었다.153) 그의 책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듀이의 미학사상은 경험과 자연, 예술 사이의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핵심 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자연과 경험의 연속성에 관한 그 의 성찰은 『경험과 자연』에 집약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듀이가 프라

152) 프라그마티즘(pragmatism)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C. 퍼스에 의해 처음 주창된 철 학운동으로 퍼스와 함께 W. 제임스와 J. 듀이가 초기의 운동을 주도하였다. 프라그마 티즘은 ‘실천’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의 ‘프라그마(pragma)’에 기원을 둔 용어로, 인간의 지식이 가진 실천적 유용성을 중시하는 철학적 방법을 의미한다.

153) 젤트너 지음, 정순복 옮김, 『존 듀이 미학 입문』, 서울: 예전사, 1996, p.214. 역자 후기 참고.

그마티즘 특유의 자연주의적 미학이론을 전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함의 를 갖는다.

듀이의 미학사상은 기본적으로 C. 다윈의 진화생물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154) 다윈은 자연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실험과 관찰을 바탕으 로 자연 안에 영원불변한 것이 존재한다는 서양 전통철학의 뿌리 깊은 신념에 반대하여, 삶의 현상들을 우연적인 변이의 원리로서 파악하는 새 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이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우 연적인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변 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생물 종의 하나이다. 이러한 관 점에서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삶의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온 갖 갈등과 문제들을 능동적으로 극복해나가고 균형과 평형의 상태를 회 복함을 통해 성장해 나간다.

듀이는 바로 이러한 생명체의 자연적 적응 활동을 통틀어 ‘경험’이라 고 지칭하였다. 듀이에게 있어서 경험이란 “생명체가 자신을 둘러싼 환 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155) 여기서 듀이가 말 하는 환경은 물리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환경 모두를 포함한다.

즉 온도, 채도, 습도와 같은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낸 제도 와 관습, 언어와 같은 사회문화적 환경을 포섭하는 넓은 의미의 개념이 다.156) 듀이가 보기에 생명체는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가변적인 환경 속에서 수많은 종류의 경험들을 연이어 구성함으로써 삶을 영위해나간 다. 다시 말해 생명체는 살아있는 한, 그를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을 멈 추지 않고 죽는 순간까지 계속해서 새로운 경험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점에서 생명체의 삶 전체를 구성하는 수많은 경험들은 서로 직간접적으

154) Dewey, “The Influence of Darwin on Philosophy” in The Influence of Darwin on Philosophy: And Other Essays in Contemporary Thought, John Dewey: The Middle Works, 1899-1924, Vol.4: 1910, Jo Ann Boydston (Ed.), Southern Illionis University Press, 1981, pp.8-9

155) Dewey, Art as Experience,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10:

1934, Jo Ann Boydston (Ed.), Southern Illionis University Press, 1987 156) Ibid., p.251

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듀이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서, 즉 동물의 한 종인 자연적 인 생명체로서 이해했으며, 인간의 경험 또한 자연의 범주 안에 속한다 고 생각했다. 다시 말해 인간의 경험 전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사건과 현 상들은 근본적으로 자연과의 연속선상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듀이는 이 러한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특징 짓기 위해 ‘자연주의’ 혹은 ‘자연주의 경험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157) 듀이는 자신의 자연주의적 경험관 을 토대로 하여 인간과 인간 경험에 관한 모든 탐구들은 기본적으로 자 연과학적 이해의 바탕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여기서 우리 는 듀이의 자연주의가 생물학이라는 자연과학적 이해에서 출발하고 있다 는 점에서 제키의 신경미학과 맥을 같이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다윈의 진화생물학에 기초한 듀이의 기본 관점과 신경생물학에 뿌리를 둔 제키의 기본 관점은 ‘생물학’이라는 공통된 학문적 토대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제키와 달리 듀이의 미학이론은 플라톤에서 시작하여 칸트에 서 절정을 이룬 서양 전통철학의 사유체계를 거부하는 데에서 출발하고 있다. 듀이는 특히 서양의 전통적인 경험관에 내재한 비유기적 사유체계 에 강한 반대를 표명하였다. 대표적으로 그는 경험을 ‘진리의 영역으로부 터 멀리 떨어진 현상의 영역’으로 구분 짓고, 진리에 도달하기 위한 유일 한 통로인 순수한 정신 작용, 즉 이성의 작용영역과 철저하게 구별 지은 고대 그리스의 경험관을 거부하였다. 또한 그는 경험을 ‘감각에서 비롯된 순수하게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영역’의 것으로 파악하고, 이를 ‘객관적, 합리적인 지성의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킨 근대 영국철학과 근대 독일철 학의 경험관에 대해서도 반기를 들었다. 듀이가 보기에 이러한 전통적인 구별 짓기 식 사유방식은 경험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 는 밀접한 연관성을 간과함으로써 경험에 관한 잘못된 이론들을 배출하

157) Dewey, Experience And Nature, J 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1: 1925, Jo Ann Boydston (Ed.), Southern Illionis University Press, 1981, p.261

였다. 즉 인간 존재를 동물과 같은 자연적인 생명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인간의 경험을 감각이나 직관, 관조, 쾌와 같은 단일한 심리학적 요소로 환원시킨 이론들은 인간과 인간 경험이 근본적으로 자연에 연속된 것이 라는 진화생물학적 사실을 깨닫지 못한 데에서 비롯된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듀이에게 있어 모든 경험은 주체와 객체, 자아와 그 자아가 속한 세 계의 부분들 사이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 험은 그 자체로 오직 물리적인 것이거나 정신적인 것일 수 없다. 비록 두 요인 중 하나가 경험 전체를 지배하고 있을 경우에도 말이다. 듀이의 관점에 따르면 경험에서 밀접하게 연결된 요소들을 분리된 것으로 보게 되면, 경험의 어느 한 가지 측면에만 편중된 편협한 이론을 형성하게 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듀이는 기존 철학의 비유기적 사유체계를 비판하고, 경험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연속성을 고려한 유기적 사유체계 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듀이의 자연주의 이론은 프리바가 적절히 지적했듯이, 서양 전통 철학의 비유기적 사유체계에 토대를 둔 제키의 이론과 달리 ‘비환원적 자연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 다.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