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각적 미감의 기능적 특수화

이루어진 대상의 형태를 정상적으로 지각하거나 알아보지 못하는 형태인 식불능증을 겪게 된다. 이와 달리, 색각 중추인 V4 영역 전체에 손상을 입은 완전색맹(achromatopsia) 환자는 색을 전혀 보지 못하므로 세상이 지저분한 회색 얼룩처럼 보인다. 이에 반해 V4 영역에 부분적으로 손상 을 입은 색각이상(dyschromatopsia) 환자는 색을 볼 수는 있지만, 모든 색들이 무엇인가 “잘못”된 것처럼 보인다. 다른 한편, 시각적 운동을 중 심적으로 처리하는 V5 영역에 손상을 입은 운동맹(akinetopsia) 환자는 움직임을 지각하지도, 알아보지도 못하는 운동인식불능증을 겪는다. 그리 고 얼굴 지각 중추인 방추이랑의 얼굴 영역에 손상을 입을 경우, 친숙한 얼굴 혹은 모든 이들의 얼굴을 지각하거나 알아보지 못하는 얼굴인식불 능증(prosopagnosia)을 겪게 된다.81)

위 증상들은 V1, V3, V4, V5, 방추이랑 등을 포함한 뇌의 다양한 시각 영역들이 각각 특정한 시각적 속성에 대하여 특수화되어 있음을 입 증하는 중요한 사례들이다. 제키는 이러한 병리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예 술에 대한 시각적 미감 또한 기능적으로 특수화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다양한 시각 예술작품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조형 요소들은 각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시각 영역 세포들이 정상적 으로 기능할 때에만 정상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뇌의 특정한 시각 영역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은 해당 시각 영역이 선택적으로 처리하 는 특정 요소가 작품의 미적 효과를 좌우하는 예술 대상으로부터 정상적 인 미적 경험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이러한 점에서 제 키는 예술작품을 지각하고 감상하는 인간의 시각적 미감은 시각 뇌의 기 능적 특수화에 종속된다고 말했다.

이제 시각적 미감의 기능적 특수화를 이해하기 위해 앞서 알아본 일 부 병리학적 사례들을 제키가 제시한 다양한 예술 사례에 관련지어 생각 해보자. 우선 시각 뇌의 V3 영역에 심각한 손상을 입은 환자는 선분과 사각형으로 구성된 P. 몬드리안이나 K. 말레비치의 추상회화를 지각하거

81) Ibid., p.93

나 감상할 수 없을 것이다. 반면 V4 영역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완전 색맹 환자나 색각이상 환자가 H. 마티스와 같이 색채 표현을 강조한 야 수파(fauvist)의 회화를 감상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V5 영역의 운 동 처리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운동맹 환자의 경우, 몬드리안이나 말레 비치, 혹은 야수파 회화를 감상할 수는 있어도, 움직임을 표현한 A. 칼더 나 J. 팅켈리의 키네틱 아트(kinetic art)를 전혀 즐기지 못할 것이다. 방 추이랑 얼굴 영역에 문제가 있는 얼굴인식불능 환자는 사람의 얼굴을 그 린 D. 벨라스케스나 R. 렘브란트의 초상화를 정상인과 같은 방식으로 바 라보는 일이란 불가능하다. 병리학적 사실에 입각한 이 같은 추론은 제 키가 주장한 바, 시각 뇌의 기능적 특수화는 예술에 대한 시각적 미감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시각적 미감을 모듈적으로 구성한다는 견 해를 뒷받침해준다.

한편 시각 뇌와 시각적 미감이 모듈적으로 작동한다는 생리학적 사 실은 특수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병리학적 사례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제키가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경영상 실험을 통해 서 또한 밝혀질 수 있었다(<그림 4> 참고). 가령 정상적인 뇌를 가진 사 람이 추상적인 기하학적 패턴과 다양한 색으로 구성된 몬드리안의 회화 를 볼 때 두뇌 피질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측정했을 때, 국소적인 혈 류량 변화가 눈에 띄게 발생한 부위는 망막에서 전달된 모든 신호를 받 아들이는 V1 영역과 그 바깥쪽에 위치한 V4 영역이었다. 반면, 정상인 피험자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은 흑백 사각형들로 구성된 패 턴을 보여줄 때 V1 영역과 함께 V5 영역에서 유의미한 혈류량 변화가 관측되었다.82) 이러한 실험들은 시각 뇌의 기능적 특수화를 증명해주는 동시에 시각적 미감 역시 기능적으로 특수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아래 의 <표 1>은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정리한 것이다.

82) Ibid., p.53

시각

피질 기능적 특수화 대상 손상 시 발생하는 증상

시각적 미감의 기능적 특수화

관련 예술 사례 V1 영역 색, 광도, 움직임, 선의

기울기, 형태, 깊이 등 완전한 시각 상실

추상회화(몬드리안, 말레비치) V2 영역 기울기, 색, 공간 등 여러 가지 인식불능

V3 영역 선의 기울기, 방향 형태인식불능

V4 영역 색채 완전색맹, 색각이상 야수파 회화(마티스)

V5 영역 시각적 움직임 운동맹, 운동지각장애 키네틱 아트(칼더, 팅겔리) 방추이랑

얼굴 영역

얼굴 얼굴인식불능 초상화(벨라스케스, 렘브란트)

표 1 (제키가 언급한 주요 예술 사례는 본고 부록의 참고도판 참고) 그림 4.

인간의 뇌가 기능적으로 특 수화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간단한 실험의 예. 다양한 색으로 칠해진 장면을 볼 때 는 V4 영역이 활성화되고(왼 쪽 아래), 움직이는 장면을 볼 때는 V5 영역이 활성화 된다(오른쪽 아래). V1 영역 은 두 경우 모두에서 활성화 된다(가운데). 뇌를 수평으로 자른 영상 속에 활성화된 영 역이 흰색, 빨간색, 노란색으 로 표시되어 있다. (Zeki,

Inner Vision, 1999, p.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