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남북협력 추진방안

Dalam dokumen 신남북협력 추진전략 (Halaman 127-131)

가. 준비사항

■ 대외적 준비사항

○ 구소련 공화국에 대한 CTR이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했던 것과는 달리 북한 에 적용할 때는 쉬울 수도 있다는 개연성에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음.

- CSIS(2005) 보고서28는 상황 전개에 따라 훨씬 많은 예산과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도 있지만 향후 10년간 10억 달러 이하의 예산으로 CTR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바 있음.

- 단기적 우선순위는 협력적 비핵화 과정에 북한의 핵 관련 프로그램들을 편 입하는 것임.

- CTR 프로그램들의 대북 적용에 들어갈 많은 비용과 시간을 현실적으로 감안 하되, 대북 적용 과정에서 예상되는 기술적 도전과 합의 후 소요될 최소 5년 이 상의 세월과 2억 내지 5억 달러의 비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확보하여야 함.

○ 미국 오바마 행정부(NSC, 국무부, 국방부, 에너지부)와 상원 외교위원회와의 긴 밀한 협력과 조정을 통해 대북 CTR 적용을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여야 함.

○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가들은 북한 급변사태시, 핵무기 및 핵물질에 대한 통제 상실을 가장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따라서 북한 급변사태 발생 가능성이 있기 전에 CTR 프로그램을 북한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협의와 합 의가 필요함.

■ 대내적 준비사항

○ CTR-NK는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의 제거를 위해 상정할 수 있는 모든 대

28_ Joel S. Wit, Jon Wolfsthal, Choong-suk Oh, The Six Party Talks and Beyond:

Cooperative Threat Reduction and North Korea.

상생ㆍ공영을 위한 신남북협력 추진전략

128

북 외교 수단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함.

- CTR-NK를 방치하거나 지연하지 않도록 국회와 여론의 지지 분위기를 조성 하여야 함.

- 북한의 핵보유와 위협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되어 대북정책 의 완전한 실패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last best chance)”를 놓쳐서는 안 됨.29

○ 북핵 폐기 과정에 대비하여 한국 과학자, 기술자들을 해외 파견과 훈련 참가 를 통해 양성함으로써 미국 및 러시아의 기술자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조 성할 필요가 있음(예 :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한국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 (KINS)). 이 전문가들이 방북하여 현지 협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인적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함.

○ 북한의 핵위협 이외에도 화학무기 및 생물무기, 미사일의 위협을 감축하는 방 안도 함께 모색하여야 하며, 필요한 화학자, 생물학자, 의학적 대책을 위한 전 문 의료진을 확충하여야 함.

○ 한국이 주도적으로 ‘북핵개발 백서와 지도(White Paper and Map on the DPRK’s Nuclear Weapons Development)’를 완성할 필요가 있음.30

○ 북한의 산업인력(인적 자원)의 확충과 연계하여 과학자/기술자의 전직 및 교육 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함.

- 제조 중심의 개성공단을 확장하여 이곳에 기술자들을 흡수, 수용하는 방안 과 주요 도시에 별도의 연구소를 건립하여 인적자원을 통합, 운용하는 방안 도 함께 검토할 수 있음.

○ 대북협력사업의 하나로 북한의 일반 주민들뿐만 아니라 과학자들과 기술자들 의 “마음 얻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함. 그동안 탈북자(새터 민)들이 한국사회에서 적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참작하여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에 북한주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한 대비책을 준비하여야 함.

- 상정 가 능한 북한 유사시에 대비한 한미연합사/유엔사의 개념계획

29_ Susan E. Rice, “We Need to Talk to North Korea,” Washington Post (June 3,

2005).

30_ 전성훈, 『북핵 ‘213 합의’와 평화적인 핵폐기 사례 분석』, KINU 정책연구시리즈 07-01 (서

울: 통일연구원, 2007), p. 177.

129

부록: 한반도형 협력적 위협감축 추진방안

(CONPLAN) 5029를 작전계획(OPLAN)으로 구체화하는 경우 이 대안을 반영하고, 한국 정부의 계획에도 반영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함.

나. 남북협력 추진방안

■ 비전과 로드맵

○ 비전을 남북경제협력의 차원을 넘어선 국가안보전략의 차원에서 제시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함.

- “우리는 CTR-NK를 적절한 시점에서 추진하여 북한의 비핵화와 남북한 군 비통제 및 군축을 유도하고 남북간의 교류와 협력의 확대를 지원하며 주변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존의 정전체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한반도 평화체 제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의 구축에 이바지한다”라는 비전을 선언하여 야 함.

- 한국뿐만 아니라 주변국들의 관심 사항이고, 실제로 기술 및 재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큰 국가들의 국익이 반영될 것이고,

- 단순히 남북한 간의 협력문제가 아니라 동북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 아시 아태평양지역에 미치는 함의가 매우 클 것임.

- 향후 우리 정부와 미국 행정부의 대북한 전략 및 정책 수립시 CTR-NK를 반영하도록 하여야 함.

○ CTR-NK의 비전과 로드맵을 준비하여 북핵의 불능화, 폐기, 비핵화 단계별로 북측에 제시하고 남북협력을 추진하여야 함.

- CTR의 경험이 있는 미국과 러시아와 공동으로 개념연구 실시.

- 중국, 일본은 운용연구 및 이행단계에 합류시키는 방안 고려.

- 이와는 별도로 한국의 독자적인 비전과 로드맵을 복안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

○ 범정부 차원에서 CTR-NK를 전담할 부서의 설치 여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야 함.

- 미국의 국방위협감축처(Defense Threat Reduction Agency : DTRA)와 유사한 조직의 신설을 고려하고,

상생ㆍ공영을 위한 신남북협력 추진전략

130

- 모든 관련 부서의 전문가 및 실무자를 통합하여 새로운 조직을 창설을 검 토하되,

- 일단은 국방부 군비통제관실의 초기 역할(남북군사회담, 남북한 군사통합 과정에서 CTR-NK의 역할 등)을 존중하고,

- 통일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등에게도 중요한 임무와 역할을 부여하 여야 함.

○ CTR-NK의 로드맵(안)은 다음의 예시와 같이 작성할 수 있을 것임.

<표 부록-3> CTR-NK 로드맵(안)

제1단계(2009-2010) 제2단계(2011-2012) 제3단계(2013-2017)

대외적 준비 사항

• 기존의 제안 검토

• 미국이 주도하는 협력적 비핵화 과정에 북한의 대량살상 무기 프로그램 반영

• 오바마 행정부와 구체적 협의와 합의 도출

• 기타 주변국가들과의 사전 교감

• 6자회담의제 상정

• 북미/북일관계 개선, 국교정상화 지원

• 중국과 일본의 CTR- NK 합류 유도

• 유엔 및 G-8의 지지 확보

• 주변국가들의 기술 및 예산상 협력 획득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체제의 출범

• CTR-NK 본격적 추진 지원

대내적 준비 사항

• 국가전략 및 국방정책에 반영

• 국회 및 여론의 지지 분위기 조성

• 공동개념연구 실시

• 북핵개발백서와 지도 발행

• 작전계획의 구체화

• 관련 사항 법제화

• 국방예산에 반영

• 국내 핵 및 화생 분야 전문가 양성

• 북한 과학자·기술자 전직 및 교육기회 제공

• 북한 주민의 마음 사기 프로그램

• 추가 법제화

• 한반도 군비통제와의 연계 본격적 추진

• 남북교류협력 차원의 지원 확대

• 북한 과학자·기술자 전직 및 교육기회 확대 파괴,해체

등의 대상

• 북핵무기 불능화

• 관련 시설에 대한 사찰 확대

• 북핵 물질의 반출금지

• 북핵 물질 제거

• 화생무기의 비군사화 개시

• 북핵무기 및 운반수단의 파괴 및 해체

• 화생무기의 비군사화 지속 남북협력

추진 양상 과 규모

• 인도주의적 지원 위주 • 경제적 지원 추가 • 경제적, 기술적 지원 확대

131

부록: 한반도형 협력적 위협감축 추진방안

○ 이미 지구적 차원의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 체제로 자리 잡혀가는 CTR 프 로그램을 기초로 하되 남북한 특성에 맞도록 보완하여 남북간에 포괄협정 (umbrella agreement) 및 다수의 이행협정(implementation agreement)을 체결하여야 함.

○ 북한의 핵무기만이 아니라 화학무기, 생물무기, 미사일을 포함한 광범위하고 단계적인 CNP를 실시하고,

- 과학자들이 민간연구분야로 전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국내 대기업들의 컨소시엄을 조직하고 운영하여야 함.

Dalam dokumen 신남북협력 추진전략 (Halaman 127-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