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첫째 집행기능의 모든 변수 간 상관관계는, .456 .842~ 범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집행기능은 성취압력과는 부적 상관관계이며 그 외는 모두 정적 상관. 관계가 있었다 성취압력은 아동이 부모로부터 받는 성취에 대한 압력의 정도를 말한. 다 집행기능이 높은 아동은 자기 주도적으로 목표 설정 및 성취에 대한 추진력이 높. 다는 점에서 송현주( , 2011) 부모로 받는 성취압력은 이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두 변수 간의 부적 상관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년 학생의 집행기능은 정보지수 분류질 모형비교도 잠재집단 최, 6 , , , 소 비율 평균 사후확률 등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개 모형이 가장 적합하였다, 3 . 3개 집단의 분류는 집행기능의 종단변화 패턴에서도 개 집단으로 구분한 임효진과 류재준3 의 연구(2023)와 동일하다 이는 동일 연구대상자 중에서도 집행기능은 이질적 집단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다만 잠재집단의 하위요소들의 평균에 대한 교차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초등 학년 학생의 횡단자료에 대한 분석으로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하. 6 위 변수들의 발달을 반영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님을 보여준다 잠재집단 은 고수준 집. 1 ‘ 행기능 으로 계획 조직화 행동 통제 정서 통제 주의력의 평균보다 모두 높고 총’ ․ , , , 로 구성되었다 잠재집단 는 집행기능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중간 수준으로

12.44% . 2

로 구성되었으며 중수준 집행기능 이다 잠재집단 은 집행기능의 하위요인 모두

39% ‘ ’ . 3

평균값 이하 수준으로 저수준 집행기능 인데 전체‘ ’ 49%로 가장 많은 사례수를 차지했 다 특히 이 집단에서는. 1, 2유형과 비교하여 정서통제가 주의력보다도 낮았다 본 연. 구대상자는 초등학교 학년 학생들로서 청소년기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집행기능이 만6 .

세부터 청소년 시기까지 하위요인들이 다소 다르게 변화한다는 점에서

5 (Best &

저수준 집행기능 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다른 특히 정서 통제의 기능이 Miller, 2010) ‘ ’

낮다는 점에서 이 시기에 정서문제로 인한 적응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 다 나아가 우리나라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주의집중의 기능 정보처리의 기능 통제의. , , 기능 인지적인 유연성 등에 대한 종단적 발달 경향성을 면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이는 아동의 집행기능의 발달에 따라서 적응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학습자의 개인 가정 학교 측면에서의 특성이 잠재집단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 , 보면 전반적으로 개인수준에서 행복감 자기존중 그릿이 높을수록 높은 집행기능 집, , , ‘ ’ 단에 속할 확률이 크고 가정수준에서는 부모의 성취압력이 크면 낮은 집행기능 에 해, ‘ ’ 당될 가능성이 높으며 학교수준에서는 학습태도와 창의적 환경이 높을수록 높은 집행‘ 기능 에 속할 가능성이 많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보면 집행기능은 학습자 개인수’ . 준에서 기질이나 성격 심리 변수에서도 영향을 받으며 학습자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집행기능이 계획 및 조직화 작업 기억 억제 정서와 행동 통제 등으로 목표 지향적, , , 행동을 복합적인 신경 인지 처리 과정(Zelazo, Blair, & Willoughby, 2016)으로 환 경 자원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잠재력을 확장하고 사회화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수준에서 아동이 행복감이 높게 인식 (Lewis & Carpendale, 2019).

할수록 높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아동이 행복감을 낮‘ ’ . 으면 학교 적응에 문제가 발생하고 집행기능 곤란을 겪음을 보고한 선행연구들 권희( 경 김원경・ , 2020; 채혜경, 2021)과 같은 결과이었다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이 낮으면. 실패를 경험함으로서 방어 특성을 강화시킴으로서 집행기능을 어렵게 하고 민미희( , 자아존중이 높으면 자기 확신이 존재하고 긍정적인 특성 효과를 유발하므로 2019),

집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릿 또

(Palermiti, et al., 2017) .

한 집행기능의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과 그릿의 하위요인들이 부적 상관을 보고한 선행연구 공영숙 임지영( · , 2022), 집행기능 의 하위요인들과 그릿의 하위요인들의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함을 보고한 선행연구 이지( 영 유정인· , 2019), 그리고 아동의 집행기능의 상위수준을 유지 상승하는 잠재집단의, 그릿이 다른 집단보다 높았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임효진 류재준( · , 2023)의 맥락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이는 비교적 장기적인 자신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흥미를 유지하고. 꾸준한 노력 하는 과정이 복합적인 인지기능과 연관되어 높은 집행기능 집단으로 속‘ ’ 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가정수준에서 잠재집단의 비교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을수. 록 낮은 집행기능 보다 높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부모의 성취압력‘ ’ ‘ ’ , 은 낮으면 중간 집행기능 보다 낮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부모의 성‘ ’ ‘ ’ . 취압력이 높을수록 높은 집행기능 보다 중간 집행기능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 ‘ ’ . 이는 아동의 집행기능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의빈과 김진원. 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지나치면 아동의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 등 정신건강에 (2022)

부정적으로 영향을 줌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부모의 긍정적인 정서는 학습자의 집행기. 능 발달에 긍정적이고 부모의 부정적인 정서는 학습자의 집행기능을 높이는 역할로, 작용한다 권희경 김원경( · , 2020; Meuwissen & Englund, 2016). 하지만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오히려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아지면 높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했‘ ’ 다 이는 우리나라 학령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본다면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은 집행기. ‘ 능 에 속한 집단은 자신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계획 조직화 행동 통제 정서 통제 주의’ ․ , , , 집중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또 하나는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유아기와. 부모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에 대한 아동의 인식이라는 점 에서 더 많은 연구결과의 확인이 필요하다.

Dalam dokumen 제14회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 (Halaman 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