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하였고 창의적인 학교환경은 창의적 학교환경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는 강민구와 홍지명(2022)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설정하였다.
집행기능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는 집행기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잠재집단 분석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잠재집단 분석은 집행기능처럼. 분석 변수가 연속형 변수로 구성되어 있고(Nylund-Gibson & Choi, 2018), 모집단 으로부터 유사하게 반응하는 이질 집단이 존재하는 잠재집단을 구분하는 혼합 모형
을 말한다 초등학교
(mixture modeling) (Maysn, 2013; Lanza & Rhoades, 2013).
를 마치고 중학교 급으로 진입하는 초기 청소년기에는 신체 정서적으로 다양한 변화가․ 진행되며 학습량의 급증과 입시에 따른 상대평가의 노출이 되면서 학교생활의 적응을 저해하는 환경에 처하게 된다 아동의 집행기능에 대한 잠재집단의 수와 분류에 대하. 여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특성 파악하는 것은 이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교육적 개입 의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들의 집행기능의 수준에 따른. 집단별 집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차별적인 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아동의 집행기능 집단은 몇 개로 분류되며 집단의 특징은 어떤가, ?
•
둘째 집행기능의 잠재집단 분류에 아동의 개인 수준 행복감 자아존중감 그릿 가정 수준 부모 성취, ( , , ), (
•
압력 학교 수준 학습 태도와 창의적인 학교환경 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 ?
연구방법 .
Ⅱ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년 학생의 집행기능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6 을 주는 학습자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잠재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은 개인 수준 행복감 자아존중감 그릿 가정 수준 부모 성취압력 학교 수준 학습 태( , , ), ( ), ( 도와 창의적인 학교 환경 이다 이에 따라서 제시한 연구모형은 그림) . 〔 1〕과 같다.
그림 연구모형 [ 1]
연구대상 2.
연구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Koream Institute lf Child Care and Education,
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패널 의 차년도
KICC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13 년 자료를 활용했다 자료의 결측값은 완전 제거 방법으로 (2020 ) . (listwise deletion)
제거했다 최종적으로 집행기능 행복감 자아존중 성취압력 그릿 학습태도 창의적. , , , , , , 학교 환경 변인에 응답한 1,359명의 초등학교 학년 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6 . 의 남자는 689 (50.7%),명 여자는 670 (49.3%)명 이었다.
연구 변수 및 도구 3.
종속변수는 아동의 집행기능이고 예측변수는 학습자의 개인 수준에서 행복감 자아, , 존중 그릿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이다 가정 수준에서는 성취압력이고 학교 수준에서, . 는 학습자의 학습 태도와 창의적 학교 환경 등이다.
가 집행기능.
집행기능 척도는 송현주(2014)의 간편형 자기 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 를 활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계획 조직화 곤란이’ . ․ 11문항 행동 통제 곤란은, 11 문항 정서 통제 곤란 문항 부주의, 8 ,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대표 문항으로는 계획 조. ․ 직화 곤란은 무슨 일이든 시작하기가 힘들다 행동 통제 곤란은 스스로 행동을 조절‘ ’ ‘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정서 통제 곤란은 사소한 일에도 화를 쉽게 폭발한다 부주.’ ‘ .’
의는 방의 정리 정돈을 못한다 등이다 문항 척도는 전혀 아님 점‘ .’ . ‘ (1 )’ ‘~자주 그럼(3 점 으로 점 척도이며 본 연구는 모두 역산 처리해서 집행기능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3 . 평균값이 높을수록 집행기능 수준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자료의 집행기능. Cronbach’s
는 .84(.83~.88)이었다. α
나 행복감.
아동행복감은 MCS(2008)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학교 공부 외모 가족 학교 일. , , , , 상생활에 대하여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대표 문항으로는 나는 학교 공부를 생각하면6 . ‘ 행복하다.’. 이다 문항척도는 전혀 행복하지 않음 점. ‘ (1 )’ ‘~매우 행복함 점(4 )’ 4점 척도 이며 본 연구에서는 합산 평균값을 사용했다 평균값이 높으면 아동의 전반적인 행복, . 감은 높은 수준을 말한다 본 자료에서 행복감의. Cronbach’s α는 .78이었다.
다 자아존중감.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MCS(2008), Rosenberg(1965)의 설문을 참고하여 수정한 것 으로 총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대표 문항으로 나는 소중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이5 . ‘ .’
다 문항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음 점. ‘ (1 )’~‘매우 그럼 점 으로 점 척도이다 본 연구(4 )’ 4 . 는 합산 평균값을 사용했다 평균값이 높을수록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은 높음을 말한. 다 본 자료에서 행복감의. Cronbach’s α는 .89이었다.
라 그릿.
아동의 그릿 척도는 한국판 아동용 끈기 척도 김희명 황매향( · , 2015)을 활용하였다 하. 위 변수로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각 문항씩 총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김진4 8 . 철 연구(2022)의 제안에 따라서 요인분석에서 낮은 설명력을 보이는 흥미유지의 나는‘ 자주 목표를 세우지만 그것을 이루기 전에 다른 목표를 세우고는 한다 문항과 노력지.’
속의 ‘ 나는 문제를 해결하다가 어려움이 생겼을 때 크게 좌절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 보다 빨리 좌절에서 벗어난다 문항을 제외하여 각 문항씩 총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6 . 척도 범위는 전혀 그렇지 않음 점‘ (1 )’ ‘~매우 그럼 점(5 )’ 5점 척도이다 다만 흥미유지는. 모두 부정 문항이므로 역산 처리하였다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 노력지속과 흥미유. ( 지 수준이 높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 자료에서 흥미유지의) . Cronbach’s α는 .70이고 노력지속 Cronbach’s α 역시 .71이며 총 그릿의, Cronbach’s α는 .73이었다.
마 성취압력.
가정 수준에서 부모의 성취압력은 강영철(2003)이 사용한 문항으로써 총 15개 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대표 문항으로 부모님은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공부를 열심히. ‘ 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이다 문항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음 점.’ . ‘ (1 )’~‘항상 그럼 점(5 )’
의 점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산 평균값을 사용했고 평균값이 높을수록 아동의5 . ,
전반적인 성취압력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자료의 성취압력에 대한. Cronbach’s 는 .92이었다.
α
바 학습 태도.
학습 태도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 ) (Ⅱ 김양분 남궁지영 김정민 외・ ・ , 2014) 의 학습자 특성 중 행동조절전략 문항들이다 하위 요인으로 시간활용 장소활용 도움. , , 요청 자료 찾기 등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시간활용 대표 문항으로 내가 계획한. ‘ 공부 시간표를 지킨다 이다 장소 활용은 집중할 수 있는 장소에서 공부한다.’ . ‘ .’. 도움 요청은 선생님께 공부에 필요한 자료나 도움을 구한다‘ .’. 자료 찾기는 내가 잘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아는 사람에게 물어본다.’ 등이다 문항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음. ‘ (1 점)’~‘매우 그럼 점 사이로 점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산 평균값을 사용했으므(4 )’ 4 . 로 평균값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습 태도는 우수함을 말해준다 본 자료에서 학습 태도. 의 Cronbach’s α는 .82이었다.
사 창의적 학교 환경.
창의적 학교 환경은 창의 역량 측정지표 도구 김미숙 외‘ ’ ( , 2012)를 활용하였다 크. 게 친구 지지 문항 예 내 친구들은 나의 의견을 존중해준다3 ( : .), 교사 지지 예 선생님( : 은 내가 무엇을 만들면 관심을 가지신다 교사의 지시적인 분위기 예 선생님은 내 말.) ( : 을 들어 주기보다는 지시하는 경구가 많다 등이다 문항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음.) . ‘ (1 점)’~‘매우 그럼 점(4 )’ 4점 척도이다 다만 교사의 지시적인 분위기는 부정 문항으로 역. 산 처리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적 학교 환경 친구 지지 교사 지지. ( , , 교사의 지시적 분위기 은 높은 수준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 자료에서 친구 지지의) . 는 이고 교사 지지의 는 교사 지시적인 분위기의 Cronbach’s α .81 , Cronbach’s α .92,
는 이었다 창의적 학교 환경의 전체 는 이었다 Cronbach’s α .60 . Cronbach’s α .73 .
자료 분석 4.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년 학생들의 집행기능에 대하여 수준별로 잠재집단의 분류와6 유형별 예측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Mplus Version 8.9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집 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잠재로파일 분석. , (LPA)에서는 자료에서 선형성 정규성, , 분산 동질성의 가정이 충족되지 않아도 측정오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Muth n &é 최근 공변량에 의한 잠재 집단 분류에서 정확성을 위하여 방
Muth n, 2000),é 3STEP
법을 많이 적용한다(Asparouhov & Muth n 2014).é 이는 잠재집단 분류 오차를 고려 하여 학습자의 개인 가정 학교 변인들을 보조 변수, , (Auxiliary Variable)로 포함해서 분석하는 것으로서 잠재집단 분류 변화를 통제할 수 있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으로 예측변수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
집행기능의 잠재집단 분석은 크게 무조건 모형과 조건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 조건 모형에서는 집행기능의 변수들의 수준별 잠재집단의 분류 탐색으로 잠재집단을, 개부터 개씩 증가시키면서 이전 모형과 증가한 모형의 적합도 지수의 평가 기준에
2 1
의한 탐색적 절차에 의해서 잠재집단 수를 결정하였다.
첫째 모형적합도의, AIC(Akaike’s Information Criterion), BIC(Bayesian Information 등의 정보지수를 확인하였다 Criterion), SABIC(Sample-size Adjusted BIC) . AIC 지수는 추정 모수 수와 모형 로그 우도를 바탕으로 모형 적합성을 결정하는 지수이 고(Akaike, 1987). BIC는 표집 수가 증가하면서 정확한 모형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표집 수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Haughton, 1988). SABIC 지수는 표집 크기에 따른 오차를 줄이면서 추정하는 지수이다(Sclove, 1987). 종합적으로 위 지수들이 작을수 록 모형은 간명하고 자료를 잘 설명해 준다(Nylund·Asparouhov, & Muthen,́ 둘째 엔트로피 지수를 확인했다 이 지수로 프로파일의 분류 질을 2007). , (Entropy) .
파악하는데, 0~1 범위에서 분류 확률을 근거로 정확도를 볼 수 있는 추정치이다 값은 을 초과하 (Ramaswavy·DeSarbo·Reibstein, & Robinson, 1993). Entropy .8
고 1에 가까울수록 분류 질이 양호함을 말해준다(Kreuter, Yan, & Tourangeau, 셋째 잠재집단 수의 비교 검증은
2008). , Lo-Mendell-Rubin likelihood ratio 지수로 확인하였다 지수 test(LMR), Bootstrap Likelihood Ratio Test(BLRT) . LMR 는 만약 잠재집단 수 와 개 적은 잠재집단 수(k) 1 (k-1) 간의 비교로서 p값이 .05보다 작으면 k1 잠재집단 모형보다 대립가설인 k 잠재집단 모형이 적합하다(Lo, Mendell 지수는 재표집을 통하여 로그 우도 분포를 활용
& Rubin, 2001). BLRT Bootstrap
하여 유의도를 검증하는데(Peel & McLachlan, 2000), LMR처럼 값 유의도를 통해p 서 모형을 평가한다 넷째 도출한 잠재집단의 최소한의 표본 크기를 확인했다 집단의. , . 표본 크기는 정해진 것은 없어도 Jung과 Wickrama(2008)는 집단의 표집 비율을 5%
이상을 기준으로 제시하였고, HixSmall와 동료들(2004)은 최소 1% 이상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본 연구는 해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집단 구성의 최소 비율을. 5% 이 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밖에도 사후확률. (posterior probabilities)을 확인하였다 모형. 적합도 질은 1.0에 접근할수록 적합하다고 판단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대체로. .7 이상 이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본다(Nagin, 2005).
끝으로 조건모형 분석에서는 학습자의 개인 수준 행복감 자아존중감 그릿의 흥미, ( , , 유지와 노력지속), 가정 수준 부모의 성취압력( ), 학교 수준 학습태도 창의적인 학교환( , 경 들이 잠재집단의 분류에 대하여 예측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 R3STEP 보조변수 를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