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Ⅲ
1. 연구 변수의 기초통계 및 자료 검토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집행기능이다 집행기능의 하위 요인은 계획 조직화 행동 통. ․ , 제 정서 통제 그리고 부주의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수는 개인 차원에서 행복감과 자아, , . 존중감 흥미유지 노력지속이고 가정 차원은 성취압력이며 학교 차원에서는 학습 태, , , , 도와 창의적인 학교 환경이다 연구 변수들의 일반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 계 및 상관분석의 결과는 표< 1>에 제시하였다.
우선 집행기능의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는, .456(p<.01)~.842(p<.01)의 범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집행기능과 독립변수 간 상관관계는. -.172(p<.01) 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집행기능은 성취압력과 부적 상관 .563(p<.01) .
∼
관계이었으나 나머지 독립변수 간에는 정적상관이었다 이 외에도 독립변수 간 상관관. 계는 -.067(p<.05) .631(p<.01)∼ 까지 분포했다 조합 가능한. 55개 중에서 개를 제외2 한 53 (93.4%)개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가정 수준에서 성취압력은 그릿의 노력. , 지속 학습 태도 창의적 학교 환경을 제외하고 대부분 부적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 .
다음으로 독립변인 간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므로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독립변, . 인 간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판단은 공차(tolerance)가 0.1 이상이고 분산 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P) 값은 10 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된다(Grimm & Yarnold, 2000). 본 연구 자료에서는 집행기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공 차를 확인한 결과, .564~.938이고 분산팽창계수 또한, 1.065~1.773 범위로 산출되어 모두 1.0에 근접하므로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이 밖에도 변인들의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왜도. 2.0 이하 첨도,
이하가 되면 정상분포의 가정을 충족한다 본 연구
7.0 (Hancock & Mueller, 2006).
의 변인들의 왜도 절대값은 .003 1.207~ 이고 첨도 절대값은, .007~1.427의 범위이었 다 잔차의 상호 독립성 역시. DurbinWatson (0 4)값 ~ 이 1.976로서 에 가까운 값2 을 보임으로서 자료의 정규분포성의 가정을 충족하고 있었다.
집행기능의 잠재프로파일 분류 2.
가 집행기능의 잠재집단의 수 결정.
초등학교 학년 학생들의 집행기능 하위 요인들에 대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그6 . 결과는 표< 2>, <표 3>,〔그림 1〕과 같다.
우선 잠재집단의 수를, 2개부터 4개까지 증가하면서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정보지수 AIC, BIC, SABIC를 보면 잠재집단 수가 개에서 개로 늘어날 때 감소 폭2 3 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분류의 질을 보여주는, Entropy는 잠재집단이 개에서4 0.843으로 가장 높 았다 또한 모형 비교 검증 결과. , , LMR과 BLRT는 잠재집단의 수가 개까지 모두 유4 의하였으며 잠재집단의 개는 추정하지 못했다5 .
한편 집행기능 개 잠재집단의 집단별 사례수 비율과 결정된 잠재집단 분류에 대한, 3 평가지표로서 집단별 최소 표집 수와 평균 사후확률을 확인하였다 분류 집단의 표집. 수는 169(12.44%), 530(39%), 660(48.56%)로서 집단의 비율이 5% 이상으로서 기준 을 충족하였다(Jung & Wickrama, 2008). 추정된 사후 확률( Posterior 은 로서 에 근접하였다 이는 이상으로서 분류 정확도 Probabilities) .768~.944 1.0 . .7
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Nagin, 2005).
위 지수 정보들을 종합하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집행기능은 모형 3에서 AIC, 정보지수 값이 낮고 분류질이 높으며 과 의 모형비교도 적합
BIC, SABIC , LMR BLRT
하고 잠재집단 비율 5% 이상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집단의 수에서 개가 가장 적3 합하다고 판단했다.
표 1 연구변인들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관계(N=1359)
〈 〉
구분 (1) 1-1 1-2 1-3 1-4 (2) (3) (4) (5) (6) (7) (8) 집행기능 총 평균(1)
집행 기능 하위 변수
계획조직․ 화(1-1) .842**
행동통제(1-2) .838** .678**
정서통제(1-3) .797** .510** .596**
부주의(1-4) .800** .584** .545** .456**
개인
행복감(2) .407** .376** .341** .333** .286**
자아존중(3) .337** .315** .293** .294** .205** .631**
흥미유지(4) .563** .554** .443** .409** .438** .291** .204**
노력지속(5) .455** .474** .355** .270** .395** .390** .403** .358**
가정 성취압력(6) -.172** -.153** -.193** -.161** -.067* -.131** -.122** -.126** .026 학교 학습태도(7) .348** .338** .294** .200** .266** .444** .381** .231** .488** .070*
창의환경(8) .227** .242** .200** .162** .143** .456** .350** .070* .291** .011 .430**
평균 2.4982 2.3216 2.6610 2.5193 2.4908 2.9627 3.3180 3.0888 3.2109 2.3052 2.7452 3.2147 표준편차 .332 .415 .328 .451 .431 .480 .555 .812 .772 .770 .438 .389
왜도 -.660 -.259 -1.207 -.988 -.899 -.334 -.628 .080 -.003 .500 -.071 -.271 첨도 .088 -.487 1.427 .564 .390 .513 .414 -.007 .100 -.067 1.090 1.079
표 2 집행기능의 잠재프로파일 수 모형 적합도
〈 〉
분류 기준 잠재집단 수
2 3 4 5 6
정보지수
AIC 3864.261 3321.246 3089.484 2977.052 2866.327 BIC 3932.050 3415.107 3209.418 3123.058 3038.406 SABIC 3890.754 3357.929 3136.356 3034.114 2933.578
분류의 질 Entropy .821 .824 .860 .860 .823
모형비교 LMR(p) .0000 .0027 .0004 .1051 .0000
BLRT(p) .0000 .0031 .0005 .1112 .0000
그림 2 집행기능 잠재집단 수 증가별 정보지수의 변화
〔 〕
표 3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3
〈 〉
잠재집단 사례수(%) 평균 사후확률
1 2 3
1 169(12.44) .768 .000 .232
2 530(39.00) .000 .811 .189
3 660(48.56) .027 .030 .944
나 집행기능 잠재프로파일의 유형 탐색.
초등 학년 학생들의 집행기능의 잠재집단은 계획 조직화 행동 통제 정서 통제 주6 - , , , 의력의 하위 요인을 포함하며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3 . 3가지 유형별 특성 분석은 표 그림 과 같다 모든 잠재집단에서 집행기능의 하위 변수 중에서 행동 통제
< 4>, 〔 3〕 .
가 가장 높고 계획 조직화가 가장 낮은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잠재집단 은 학생․ . 1 의 집행기능 계획 조직화 행동 통제 정서 통제 주의력 모두 평균보다 높아서 고수준․ , , , ‘ 집행기능 으로 명명했고 전체’ 12.44%를 차지하였다 잠재집단. 2는 집행기능의 하위 요인 모두 중간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속하는 39% 학생들을 중수준 집행기능‘ ’ 으로 명명하였다 잠재집단 은 집행기능의 모든 하위요인의 평균값이 낮은 수준을 보. 3 이고 있으므로 저수준 집행기능 으로 명명하였고 전체 약‘ ’ 49%로 가장 차지하였다 다. 만 잠재집단 은3 1, 2의 유형과 달리 정서 통제가 주의력보다 더 낮은 특성을 갖는다.
잠재집단별 집행기능 하위요인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검증 했으며, 계획 조직화․ (F=1102.838<.001), 행동통제(F=1929.952<.001), 정서통제
주의력 모두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F=519.349<.001), (F=515.343<.001)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에서는 등분산성 가정을 충족한 계획 조직화는. - Scheffe 검증 으로 실시했고 충족하지 못한 행동 통제 정서 통제 주의력은, , Dunnett T3 검증을 실 시하였다 네 가지 하위 변수 모두 높은 집행기능. ‘ ’ > ‘중간 집행기능’ > ‘낮은 집행기 능 순서로 표출되었다’ .
표 4 집행기능의 잠재집단별 하위요인 수준 차이
〈 〉
변수
고수준 집행기능1
(n=169)
중수준 집행기능2
(n=530)
저수준 집행기능3
(n=660) F 사후검증
M SD M SD M SD
계획 조직화- 2.64 .24 2.09 .25 1.78 .27 1102.838*** 1>2>3 행동통제 2.89 .25 2.56 .18 2.03 .25 1929.95*** 1>2>3 정서통제 2.78 .24 2.38 .39 1.90 .45 519.349*** 1>2>3 주의력 2.75 .43 2.33 .37 1.94 .40 515.343*** 1>2>3
***p<.001
그림 3 잠재집단별 집행기능의 수준
〔 〕
집행기능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학습자 특성의 영향력 3.
분석으로 도출한 잠재집단에 대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기 LPA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분석을 실시했다 집행. 기능의 잠재집단 분류 오류를 고려한 상태에서 학습자 특성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 여 투입모형 분석에서 R3STEP 방법을 적용하였다 예측변수로서 개인 가정 학교 요. , , 인 중에서 어느 변수가 참조집단에 비해서 다른 잠재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지 확인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제시되었다.
먼저 참조집단인 낮은 집행기능 과 높은 집행기능 집단을 보면 개인 측면에서 행, ‘ ’ ‘ ’ , 복감(-3.746, p<.001), 자기존중(-2.994, p<.001), 그릿의 흥미유지(-2.792, p<.001), 노력지속(-.983, p<.001)이 낮을수록 높은 집행기능 보다 낮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 ’ ‘ ’ 할 확률이 높았다 가정 측면에서 부모의 성취압력. (.305, p<.01)이 높을수록 낮은 집‘ 행기능 보다 높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많았다 학교 측면으로 학습태도’ ‘ ’ . 창의적 학교환경 이 낮을수록 높은 집행기능 보다 (-3.431, p<.001), (-.848, p<.01) ‘ ’
낮은 집행기능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 ’ .
다음으로 참조집단인 낮은 집행기능 과 중간 집행기능 집단에서는 개인 수준에, ‘ ’ ‘ ’ 서 행복감(-2.267, p<.001), 자기존중(-1.830, p<.001), 그릿의 흥미유지(-1.730, 는 낮을수록 중간 집행기능 보다는 낮은 집행기능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
p<.001) ‘ ’ ‘ ’
았다 하지만 노력지속. (1.527, p<.001)은 높을수록 중간 집행기능 에 속할 확률이 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