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희선1) 이성주2)
본 연구는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이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중독을 거쳐 자기조 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PSKC) 명의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학령 전기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차 아동의 학업스트
2,150 , (7 ),
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11 ~13 ),차 차 중학교 학년 자기조절학습1 (14 )차 변인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 , . , 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중독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 , 학령 전기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이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을 통해 자기 조절학습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단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유아기 또래놀이행동과 아동기의 학업스트레스 및 미디 어기기 중독의 중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제어 또래놀이행동 자기조절학습 학업스트레스 미디어기기중독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 , , , 요 약
서론 .
Ⅰ
학교를 들어가기 이전의 학령 전 유아기는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아동기 청소년기, , 성년기의 토대를 이루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주변 세계에 대해 배우며 자신을 표현하는 만큼 놀이 행동은 유아의 개인적, , 발달적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강민정( , 2016). 특히 유아는 영아, 에 비해 또래놀이를 즐기고 놀이 속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한다 또래놀이는, . 유아가 사회적 유능성을 습득하고 표현하는 주요 상황을 반영하며 또래와의 놀이에서, 일어나는 반복적인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험이 된다 따라서 또래와의 놀이 상황에서 나타내는 유아의 (Fisher, 1992; Gallagher, 1993).
1) 혜전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2) 호원대학교 유아교유과 조교수
행동 특성인 또래놀이행동 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또래 관계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 ’ 이지영 고보선 최진아 성지현 로 매우 중요하며 이후 학령기 학업수행이나 ( , , , , 2018)
학습성취 학교적응 등을 예측하게 해준다, .
또래놀이행동은 친사회적이며 놀이를 순조롭게 이어가는 놀이상호작용(interaction),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정서표현인 놀이방해(disruption), 위축되거나 타인에게 무시나 거부를 당하는 놀이단절(disconnection)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Fantuzzo et al., 또래와 긍정적 놀이상호작용을 하는 유아는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1995). ,
긍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유능성 주의집중력 자율성을 보였다 김경은, , , ( , 반면 놀이방해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은 신체적 공격성과 과잉행동을 보이는 2021). ,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학업성취 역시 낮았다, (Coolahan et al., 2000). 또한 놀이단절, 행동을 보이는 유아는 놀이에서 소극적인 태도와 수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학업에 대, 한 참여도가 낮았다(Bubin, Bukowski & Parker, 2006). 특히 놀이방해 또는 놀이, 단절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의 경우 이후 학업에 대한 참여도 및 학업성취가 낮은 만, 큼 학업에 대한 정신적 부담과 불안 우울 등의 부적응 심리상태인 학업스트레스를 겪, 을 가능성 역시 높을 것이다 실제 생애 초기 스트레스 경험은 초기 청소년기 우울과. 같은 내재화 문제와 관련이 있고(Hastings, Shirtcliff, Klimes-Dougan, et al., 이것은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2011; McLaughlin, Colich, Rodman,et al., 2020),
관련이 있으며(Hong, Kim, Choi, et al., 2013), 미디어기기 중독 위험을 높이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 진미령( , 2016). 즉 유아기 시기의 놀이 단절과 방해와 같은 아동, 의 내재화 문제는 초기 청소년기 미디어 중독 위험을 간접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밝히 고 있다.
최근 컴퓨터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를 과다하게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장애가 유, 발되는 상태인 미디어기기 중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날로 커지고 있다 최재정 유( , 미숙, 2020). 이러한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데 유아기의 놀이 행동도 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유아의 놀이를 가능하게 하는 잠재적. 인 힘 또는 놀이 행동을 일으키는 성향과 태도를 놀이성 이라고 하는데 박리나 조준, ‘ ’ ( , 오, 2022; Barnett, 1991),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유아의 놀이성과 부적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윤나 박희숙( , , 2016). 또한 놀이단절 행동을 보이는 유아, 들의 경우 타인에게 무시나 거부를 당하면서 점차 혼자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이에 따, 라 미디어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한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미디어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친, , 다 한은수( , 2022).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 입학하는 아동은 학령기 전과 다르게 늘어나 는 학업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며 학업스트레스를 느끼게 되어 미디어기기 사용을 통,
해 학업의 부담을 해소하려고 한다 미디어기기는 생활의 편리함과 오락적 즐거움 커. , 뮤니케이션의 확대 등 긍정적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중독성 디지털, 격차 등 개인적 사회적으로 부정적 효과를 야기하기도 하는데 성인에 비해 신체적 정, , · 신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의 경우 그 부작용이 더 심각할 수 있다 신하나 정세훈( · , 2018).
특히 미디어기기 중독은 아동의 불안 우울 공격성을 높이고 학업성취 저하와 학교생, , , 활 부적응 비행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예방이 필, 요하다 김은주( , 2015; 박혜선 김형모, , 2016; 변희숙 권순용· , 2014; 최진오, 2015).
자기조절능력은 유아기에 발달적 기초가 형성되고 이후의 사회 정서 인지발달 등을, , 예측할 수 있는 중요 변인 양옥승( , 2006)으로 또래놀이행동과도 관계가 깊다 자기조절. 능력이 낮은 유아는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지 못하고 또래의 놀이를 방해하여 거부나, 배척을 당하기도 한다 김인홍 김송이( , , 2017; Olson et al. 2011). 이러한 유아기 자 기조절능력은 학령기 자기조절학습과도 연관이 클 것이다 학습자는 스스로 외부의 정. 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존재로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인지 동기 행, , 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수진 신현주 이지혜( · · , 2014).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욕구에 따라 목표를 정하고 학습과정을 계획 점검 실행한 후 학습의 결, , , 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기조절학습이라고 한다 정주영( , 2014).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주어진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인지전략 을 잘 사용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인지과정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 학습을 위해 효과적으로 시간을 관리한다 박승호 서은희( · , 2008; 주영주 외, 2013). 하 지만 미디어중독성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에 비해 자기조절학습의 인지 동기, , 행동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선 김세영( · , 2006). 또한 김영준, 의 연구에 따르면 학업스트레스가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2012)
나타났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기의 또래놀이행동은 이후의 학업스트레스 및 미디 어기기 중독과 더불어 자기조절학습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놀이단절과. 놀이방해와 같은 부정적 또래놀이행동은 또래의 배척을 불러일킬 가능성이 크며 이는 청소년기와 성인기로 이어지는 이후의 발달 시기 동안 비행 학교 부적응 등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크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조기중재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 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이전의 아동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이 아동의 학업스 트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을 통해 중학교 학년 시기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1 종단적 경로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회귀. 교차지연모델(Auto 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에 더하여서 독립변수와 종
속변수를 포함한 모델을 분석한 Chan, Zhang, Lee와 Hagger(2020)과 Bosmans &
의 연구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즉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
Velden(2017) . ,
중독의 발달적 상호관계를 검증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에 독립변수인 아동의 또래놀 이행동과 종속변수인 자기조절학습을 추가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학령기 이 전의 또래놀이행동이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을 거쳐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간 접적인 종단적 영향력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기에 부정적 또래. 놀이행동을 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이 자기조절학습에 종단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여 중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의 종단적 상호관계와 그 방향성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학령 전기 부정적 또래놀이행동 단절 방해 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 중독을( , )
•
통해 아동의 자기조절학습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방법 .
Ⅱ
연구대상 1.
본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조사한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조사 자료로 이 자료는 년에 출생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만 세
Children:PSKC) 2008 0
부터 층화 다단계 표본추출하여 매년 조사한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차년도의 유아. 7 기 놀이행동 시점( 1), 11 ~13차 차년도의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미디어기기중독, (2018 년~2020 :년 시점2 ~ 시점4), 14차년도 중학교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시점( 5) 자료를 연 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자료는 종단적으로 측정한. 2,150명의 자료로, 결측치는 Expectation Maximization(EM) 알고고리즘 대체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은 7차년도 남아 1,091 (50.7%),명 여아 1,059명
이며 대도시 명 중소도시 명 읍 면 명 시스
(49.3%) , 694 (31.8%), 876 (40.7%), / 60 (2.8%), 템 결측치 530 (24.7%)명 이었다.
가 또래놀이행동.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Fantuszzo·Mendez, & Tighe(1999)이 개발 한 Penn 또래 상호작용 놀이척도(PIPPS) 부모용 질문지를 최헤영 신혜영· (2008) 이 타 당화한 내용을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검토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래 놀이 상호. 작용은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의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놀이상호작, , 3 . 용은 친사회적 특성과 놀이를 순조롭게 이어가는 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13문항 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