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3. 다자안보협력 강화
가. 아시아 차원의 다자안보협력
일반적으로 지역 내 다수 국가가 정치 외교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등 제 분야 현안들을 협의하여 분쟁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나아가 분쟁예방과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도모하는 안보형태인 다자안보협력과 관련해서 국방 부는 전통적인 군사위협은 물론 초국가적 비군사적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 하기 위해 다자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국방부가 참여하는 다자안보협의체로는 동북아 평화 안보체제 실무 그룹 동북아협력대화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동경방위포럼 그리고 아시 아안보회의 등이다 동북아 평화 안보체제 실무그룹 은 북핵 해결을 위한 자회담 내에 설치된 것으로 제 차 회의는 년 월 중국에서 제 차 회의는 년 월 러시아에서 개최된 바 있다 동북아협력대화 는 년에 발족한 준정부 차원 민 관 합동 의 회의체로 동북아 지역 내 평화와 안정을 제고하고 역내 국가 간 상호 이해 및 신뢰를 증진하고 있다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개국 및 유럽연합 의장국 이 참가하는 대표적인 정부 차원의 다자안보협의체로서 지역 내 안보현안 전반에 대해 논의한다 국방부는 년부터 참여해 왔다 한편 동경방위포 럼 은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개 회원국 북한 제외 이 참가하는 정부 차원의 다자안보협의체로서 현재 아세안지역안보포럼과의 연계 등을 통해 포럼의 발전을 모색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년부터 참여해 왔다 그리고 아시아 안보회의 는 년에 개설되었다 아시아안보회의는 아시아 태평양 및 유 럽지역 개국 국방장관과 안보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국방 분야 최고위급 대화체로서 매년 싱가포르 샹그리라 호텔에서 개최된다 한국은 회부터 참 여하여 지역 안정과 국가 간 협력 증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특히
년 월 개최된 제 차 아시아안보회의에서 우리 국방장관은 기조연설을 통해 세기 불확실한 안보상황 대처를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 다 앞으로도 동북아 지역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다자안보협력에 적극 참여하여 동북아 지역을 포함한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해 나갈 것이다
장 -
대 외군 사협 력의필요 성과 실태
지역 성격 정부 차원 준정부 비정부 차원
동북아 지역 자회담 내 동북아 평화안보
체제 실무그룹 동북아협력대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동경방위포럼
아시아안보회의 통칭 샹그리라 대화
<표 6-1> 국방부가 참여하는 다자안보협의체 현황
나. 국제적 군축 ‧ 비확산 활동
국제사회는 대량살상무기 와 그 운반 수단의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 기존의 국제기구와 규범을 통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새로운 국제규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호 등 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재래식 무기의 군축 비확산을 위한 국제적 노력도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소형 무기의 불법 확산 을 방지하고 확산탄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년 유엔 가입 이후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국제 군축 비 확산 체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년 월에 특정 재래식무기금지협약 제 의정서 전쟁 잔류폭발물 의정서 에 가입하여 전쟁 잔류 폭발물에 의한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국방부는 년 이후 매년 화학무기금지협약에 따른 방호지원 활동의 일환으로 화학무기금지기구와 공동으로 아시아 회원국을 초청하여 화학사고 및 테러 대비 교육인 국제화학방호교육 을 실시하고 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는 국제 군축 비확산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한반도 평 화에 유리한 국제환경을 조성하고 국가 위상을 높일 것이다 특히 국제 군축 비확산 체제와 협력하여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의 위협을 통제하는 것과 동시 에 북한이 국제 군축 비확산 활동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정부
안보 정책 의 세부
실천 방안
핵무기 생물 화학무기 미사일
핵확산금지조약 국제원자력기구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생물무기금지협약 화학무기금지협약
탄도미사일 확산방지를 위한 헤이그 행동규약
재래식 무기 다자수출통제 체제 유엔 관련 기구
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 유엔재래식무기등록제도
년부터 참여
핵공급국그룹 쟁거위원회 호주 그룹
미사일기술통제체제 바세나르체제
유엔 군축회의
<표 6-2> 우리나라의 국제 군축 ‧ 비확산 체제 참여 현황(연도는 가입 연도)
다. 한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간 교류협력
114)(1) NATO의 지구적 동반자관계의 발전
의 지구적 동반자관계 는 이전의 동반자관계 와는 질적으로 다른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냉전 종식 이후 테러 이전까지의 동반자 관계는 주로 중 동유럽 국가들과의 정치 안보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면서
확대정책을 점진적으로 원만히 추진하는 동시에 새로운 유럽의 안보 질서를 안정적으로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던 반면 테러 이후 등장 한 지구적 동반자관계 는 기본적으로 의 활동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비유럽 국가들과의 안보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전의 동반자관계가 주로 정치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면 새로운 지구적 동반자관
114) 이 부분의 내용은 다음의 글에서 인용했음을 밝힌다.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지구적 동반자관 계: 유럽 역내외 관련 국가들의 입장과 한미동맹에 대한 함의,” 국방연구, 제53권 1호 (국방연구원, 2010), pp. 1~21.
장 -
대 외군 사협 력의필요 성과 실태 계 는 군사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115)특히 지구적 동반자관계 는
안보활동영역의 확장과 맞물리면서 유럽 이외 지역에서 미국과 동맹 을 맺고 있거나 군사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고자 하는 중동이나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과의 군사안보적 협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구적 동반자관계 의 기원은 년 가 접촉국가
116)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련의 일반지침들을 수립한데 있다 의 일반지침 은 접촉국가들과의 관계를 공식적 으로 제도화하지는 않으나 이들과의 협력 증대를 위한 동맹의 바람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의 지구적 동반자관계 를 위한 구체적 조치들은 년 월에 개최되었던 프라하 정상회담에서 나타났다 프라 하 회담에서 는 군사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채택하였 는데 여기에는 프라하 능력공약 대응군
창설 군사지휘구조의 효율화가 포함되었다 또한 프라하 회담에서는 테러리즘에 대한 방위를 위한 군사개념 채택 아프간에서 회원국 지지 결정 그리고 무엇보다도 동반자 국가들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구상들이 승인되었다117)
115) Karl-Heinz Kamp, "Global Partnership? A New Conflict Within NATO?," Analysen und Argumente der Konrad-Adenauer-Stiftung, Nr. 29 (2006), p. 4.
116) 접촉국가(Contact Countries)는 NATO의 공식적 동반자관계인 유럽-대서양 동반자관계이사회, 평화를 위한 동반자관계, 지중해 대화, 그리고 이스탄불협력구상에 속하지 않으면서 NATO와의 안보협력을 추진하는 NATO 비회원국, 비유럽국가들을 칭하는 용어이다. NATO 회원국가들은 2004년에 접촉국가라는 용어에 합의 했고, 최근에는 전세계에 걸친 다른 동반자 국가(other partners across the globe)라는 용어도 사용 한다. 많은 경우에 있어 접촉국가들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들로 호주, 일본, 한국, 그리고 뉴질랜드 등이 대 표적인 경우이다. <http://www.nato.int/cps/en/natolive/topics_49188.htm> (검색일: 2010.01.08).
117) “Prague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the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in Prague Czech Republic, 21 (Nov. 2002).
정부
안보 정책 의 세부
실천 방안
년도 명칭 비고 범위
년 북대서양협력이사회 중동유럽
년 평화를 위한 동반자관계 중동유럽
년 지중해 대화 남동유럽
년 유럽 대서양 동반자관계이사회 범유럽 차원
년 러시아이사회 와의
양자 차원의 특별한 동반자관계
년 우크라이나위원회
년 유럽연합 의 전략적 동반자관계
년 이스탄불협력구상 범중동지역
년 지구적 동반자관계 지구적 차원
<표 6-3> 냉전 종식 이후 NATO의 동반자관계 구상의 발전
프라하 정상회담을 계기로 의 지구적 동반자관계 는 보다 구체화 되기 시작하였다 년 월 소피아 에서 북대서양이사회는 유럽 역 외 국가들과의 군사전략적 협력강화를 모색하는 지구적 동반자관계 에 관한 공식적인 회담을 가졌다 특히 년 월 리가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 일본 호주 한국 핀란드 그리고 스웨덴을 초대한다는 지구적 동반자관계 를 제의하기도 하였다118) 그러나 리가 정상 회담에서 의 지구적 동반자관계 구상은 미국과 영국의 지지에도 불 구하고 성공하지는 못했다 이는 프랑스와 독일을 포함하여 다수의 유럽 국가 들이 이를 비판적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지구적이라는 단어가 세계 적 확장과정에서 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야기하고 아시아나 중동
118) "Bush to propose global partnership for five countries at NATO summit next week,"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November, 2006).
장 -
대 외군 사협 력의필요 성과 실태 국가들은 지구적 동반자관계 를 이슬람 세계에 대항하는 서방의 전선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동시에 이미 다른 동반자관 계에 참여하고 있는 중 동유럽과 남 동유럽 국가들은 지구적 동반자관계 는 부국의 동반자관계 를 탄생시켜 현존하는 동반자관 계와 자신들의 협력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가졌다119)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리가 정상회담에서는 현존하는 의 협력 프로그램을 충분히 발전시켜 나가고 두 가지 독특한 방식에 따라 비회원국가 들과의 운영적 관계 준거를 증대시키기로 합의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는 이해관계가 있는 접촉국가들을 포함하여 임무에 대한 잠재적 기 여국과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임시 회담을 요청할 수 있고 기존의 동반자관 계를 사안별로 이해관계가 있는 접촉국가와 지중해 대화 및 이스탄불협력 구상 참여국들이 보다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120) 따라서 결과적으 로 리가 정상회담은 의 지구적 동반자관계 를 공식적으로 추진하는 매우 중요한 회담이 되었다
특히 는 년 월 부카레스트 정상회담을 통해 이 를 재확인하고 접촉국가들과의 협력강화 모색을 논의하였다 그 일환으로
는 호주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과 맞춤형 협력프로그램
을 협상하였다 맞춤형 협력프로그램은 가 지중해대화 및 이스탄불협력구상 국가들에게 제공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의 우선순위와 동반자국가의 특수한 이해관계에 바탕을 두고 개별 국가들에게 맞추어주는 협력활동 목록이다121)물론 여기에는 군사협력 도 포함되어 있다
(2) 한국-NATO 협력의 발전
의 지구적 동반자관계 는 아직까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윤곽이
119) Karl-Heinz Kamp, "NATO before Bucharest,"
<http://www.atlcom.nl/ap_archive/pdf/AP%202008%20nr.%202/Kamp.pdf> (2010-01-11), p. 3.
120) “Riga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the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in Riga (November 2006).
121) “Bucharest Summit Declaration,” issued by the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in Bucharest (April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