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말 중국의 지도자들은 국운 쇠퇴와 서구 열강의 침략을 겪으면서 새로운 중국의 건설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양무운동(洋務運動)’
과 ‘변법자강운동(變法自疆運動)’의 개혁적 근대화 운동을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만다.이에 개혁적 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혁명적 방법 인 ‘신해혁명(辛亥革命)’과 ‘공산혁명(共産革命)’을 시도하게 된다. 이 러한 개혁적 운동과 혁명적 시도들은 그 방법과 노선에서 차이가 있지 만 모두 부강한 중국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마오쩌둥 주도의 공산 혁명에 의해 1949년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일차적 과제는 부강 한 중국을 건설하고 이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지위를 회복시키 는 일이었다. 마오쩌둥은 “중화민족의 궐기와 독립, 민주, 평화, 통일 및 부강한 신중국의 건설”을 당면 과제로 선언하고 나름대로의 방식으 로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부강한 사회주의 신중국 건설을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의 실패,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의 발발로 인해 마오쩌둥은 공산주의노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목적은 달성하였으나 경제적 측면에서 부강한 중국 건설이라는 목표는 달성하지 못하였다.
중국의 새로운 지도자로 등장한 덩샤오핑은 마오쩌둥의 자력갱생
(自力更生)의 노선에서 정치적 측면에서 개혁과 경제적 측면에서의 개
방을 내세운 대담한 노선전환을 통해 중국 역사상 가장 놀라운 고도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부강한 국가 건설을 위한 초석을 마련 하였다.141978년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Ⅰ
Ⅱ
Ⅲ
Ⅳ
Ⅴ
Ⅵ
한 개혁파들은 ‘경제발전과 현대화’를 당시 중국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목표로 내걸고, ‘흑묘백묘(黑猫白猫)론’과 ‘실사구시(實事求是)’노선을 통해 시장경제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덩샤오핑의 정책을 한마 디로 요약한다면 ‘하나의 중심, 두 개의 기본점(一個中心二個基本點)’
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이는 기본적으로 경제건설에 우선적인 중심을 두고 이를 위해 개혁·개방을 강력하게 추진하되 개혁·개방의 수위를 규정하는 이른바 4항 기본원칙을 제시함으로써, 개혁·개방과 시장경제 의 도입이 중국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포기하거나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덩샤오핑 시기의 개혁·개방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산당 11 기 3중전회 이후 농촌에서 개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농촌은 건 국 후 토지개혁과 합작운동으로 매우 큰 변화가 일어났으나,그 후 경 제체제와 경제정책은 농촌의 발전에 오히려 적합하지 않았다.주요 문 제로는 ‘일대이공(一大二公)’15의 원칙에 따른 인민공사의 폐해, 농민 의 생산의욕을 고려하지 못한 경영과 분배방식의 문제, 지나친 식량생 산의 강조로 인한 농업의 다양성 저해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었
다. 1978년 이후 기존 농촌체제의 폐단에 대한 새로운 농업정책이 공표
되면서 큰 개혁이 단행되었다. 1983년 인민공사를 폐지하고 정부와 인 민공사의 직능을 분리시키고, 생산단위를 농가로 하는 ‘농가생산청부
책임제(農家生産請負責任制)’16를 도입하고 농촌경제구조를 개혁하여
14_이태환, 중국의 국내정치와 대외정책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p. 17.
15_원래 ‘일대이공’은 인민공사(人民公社)체제의 기본 특징으로,즉 대(大)는 인민공사 의 규모가 크고 사람이 많고 토지가 많아 대규모적인 생산과 건설이 행해지는 것을 말하고,공(公)은 사회주의화 집단 소유화를 말한다.이들 조치로 농촌에서는 인민공 사운동이 전개되어 농촌의 집단화를 통한 정사합일(政社合一)체제가 확립되었다.
16_농업부문의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농업 생산자들의 자주권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농가 또는 소집단 단위로 자신들의 책임 아래 할당된 생산책임을 다하고 나머지
다품종의 농사를 짓게 하고 여러 가지 경영방식 및 향진기업의 발전을 장려하였으며,농촌의 유통체제를 개선하여 농민에게 잉여생산물의 판 매를 허용하였다.특히 농가생산청부책임제의 추진은 농민의 생산의욕 을 고취시켰으며, 이로써 장기간 침체되어오던 농촌경제는 엄청난 발 전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농촌체제개혁의 성공에 따라 도시경제체제 개혁이 전개되어 기업체제개혁과 동시에 국가계획·재정·금융·산업·무 역정책 등 각 방면에 관리체제가 개혁되었다.
개혁 이전 기업 관리의 주요문제는 계획경제로 인한 정부의 기업에 대한 지나친 간섭과 기업의 자주권의 부재였으며 이로 인해 낮은 생산 의욕과 기업경영의 비효율이 초래되었다.따라서 기업체제개혁은 기업 의 자주권을 확대하고, ‘경영청부책임제(經營請負責任制)’를 도입하여 기업가와 노동자의 생산의욕을 고취시키고,정부의 지나친 계획기능을 완화하는 동시에 정부의 거시적인 경제조정 역할을 통해 기업의 활력 과 생산성을 높여갔다.그 외 상업,재정,금융,무역 등 기타 경제영역 을 개혁하면서 과거 지나친 계획경제체제로부터 탈피해 나갔으며,외 국의 선진적 관리경험과 경제법칙을 존중하여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건 립하는 역사적인 개혁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중국은 대외개방을 단행하였다. 대외개방은 마오쩌둥의 ‘자 력갱생’전략을 전환하여 외국의 선진기술과 해외자본을 적극적으로 흡 수하고 국내 경제발전을 가속화하여 사회주의 중국을 현대화하자는 것 이었다.우선 1979년 말 외국으로부터 외채와 직접투자를 요구하고 국 제금융기구로부터 차관을 들여오기 시작했으며, 1979년 5기 전인대 제 2차 회의에서 ‘중외합작경영기업법(中外經營合作企業法)’을 공포해 파 잉여생산 부분에 대하여는 농가의 처분의 자주권을 가질 수 있는 생산방식을 말한 다. 이 제도의 도입으로 인민공사제도는 차츰 소멸되어 갔다.
Ⅰ
Ⅱ
Ⅲ
Ⅳ
Ⅴ
Ⅵ
격적인 중외합작기업을 탄생시키고 이어 중외합작기업과 외상독자경 업기업들을 설립했다. 화교의 고향이며 홍콩, 마카오, 대만과 인접한 광동성과 복건성에 성의 경제관리권한을 확대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 심천, 주해, 산두,하문 네 곳을 경제특구(經濟特區)로 지정하였다.초 기의 개방으로 중국의 대외무역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였는데,17 이어 1984년 연해의 상해,천진, 대련 등 14개 항구도시를 개방하고 경제특 구에 대외경제 자주권을 확대하였다. 1985년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민동남삼각지구에 연해경제개방구(沿海經濟開放區)를 설치하였으며, 1986년 외국상인의 투자업무를 돕는 외국상인투자공작영도소조를 설 치하고 이어 국무원 외상투자장려규정(外商投資獎勵規定)을 반포,외 자도입사업을 법제화하여 투자환경을 개선하였다. 1988년에는 연해경 제개방구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여 기본적으로 경제특구와 연해개방도 시를 포함하는 연해경제개방구를 형성하였다.같은 해 4월에는 해남도 경제특구를 설치하고, 1990년에는 상해의 포동경제구를 개발하고,상 해,심천, 천진에 보세구역을 설치, 외국상품에 대한 면세조치를 취했 다.18 1992년 덩샤오핑의 남순강화를 통해 전면적인 대외개방을 추진 하기로 결정하여191995년 말까지 5개 경제특구, 33개 경제기술개발구, 12개 보세구, 11개 변경경제합작구(邊境經濟合作區)를 만들어 전방위
17_1979년부터 1983년까지 5년간 무역액은 206.4억 달러에서 436.2억 달러로 연평균 16.1%성장했으며,외자이용협의 항목은 1,471개, 협의금액은 240억 달러,외자이 용액은 144.4억 달러에 달했다.
18_1984년부터 1991년까지 8년간 무역액은 436.2억 달러에서 1,356.3억 달러로 연평 균 15.2%성장했으며 체결된 외자협의 항목은 4.13만 개,협의금액은 976.8억 달러, 외자이용액은 652.9억 달러에 달했다.
19_우선 연강개방(沿江開放)으로 장강중하류의 6개 항구도시를 개방하고, 연변개방 (沿邊開放)으로 길림,흑룡강,내몽고 신강,운남,광서의 13개 변경도시를 개방하 고,성정부 도시 개방으로 합비,남창 등 중서부 18개 성정부 도시를 개방하였으며, 대련, 광주, 청도 등 많은 도시에 경제기술개발구를 설치하였다.
적인 개방구조를 형성했다.20이상의 경제특구,경제개방구,경제기술 개발구, 연해도시,내륙도시의 개방결정은 큰 성공을 거두어 오늘날 중 국경제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중국이 개혁·개방을 통해 계획경제체제를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은 적절하고 중요한 결정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1978년 11기 3중전회의 개혁·개방 결정 이래 1979년 5기 전인대 2차 회의 <정 부사업보고(政府工作報告)>는 국가경제운용에 있어 계획을 중심으로 시장의 작용을 중시하는 경제체제를 수립할 것을 제안했으며, 1981년 11기 6중전회에서는 경제체제개혁의 기본방향을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견지하는 전제 하에 시장조절의 보조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강조하 였다. 이후 1982년 중국공산당 12차 전국대표자대회에서 덩샤오핑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有中國特色的社會主義) 개념을 제시하면서 계획 경제를 주도하고 시장조절을 보조하는 원칙을 분명히 하면서 국가의 지령성 계획의 범위를 대폭 축소하는 대신에 지도성 계획을 확대하였 으며, 지방의 계획관리권한과 기업의 생산경영자주권을 대폭 확대하는 등 전통적인 계획경제의 과감한 혁신을 추진하였다.21
이어 1984년 12기 3중전회 이후 경제체제개혁은 농촌에서 도시로, 국부적인 실험에서 전면적인 전개로 확대되었으며, <중공중앙의 경제 체제개혁에 관한 결정(中共中央關於經濟體制改革的決定>에서 사회주 의 공유제의 기초 위에서 ‘계획적 상품경제(計劃的商品經濟)’22를 실시
20_1992년부터 1995년까지 무역액은 1,346.3억 달러에서 2,808.6억 달러로 연평균 20%성장했으며 외자협의 항목은 21.7만 개,협의 금액은 2,896,7억 달러,외자이용 액은 1,495.1억 달러에 달했다. 陳繼安·胡哲峰,鄧小平之魂(北京: 中共中央黨 校出版社, 1997), p. 234.
21_鄧小平, “中國共産黨第十二次全國代表大會開幕辭(1982.9.1),”鄧小平文選 第 三卷(北京: 人民出版社, 1993).
22_사회주의 상품경제이론은 중국의 개혁·개방이 일정한 성공을 거두기 시작하고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