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후진타오 정부의 G2 부상과 화평굴기

경제력과 외교력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대중전략은 중국의 대한반도 이해관계를 체제보위를 위해 역이용하는 방법으로서 구체화되고 있다. 북한은 자신들이 중국과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중국의 대외전략 및 안보적 이해와 일치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안보 문제와 관련한 일시적인 중국과의 갈등과 마찰조차 실리적인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의 화평발 전에 기본적인 동의를 보내고 보조를 맞추면서도 그것이 친서방적인 행보로 나아가고 북한의 안보 문제를 방기할 수 있을 경우 북한은 독자 적인 행보를 통해 갈등적 편승전략을 구사해온 것이다.

1. 후진타오 정부의 G2 부상과 화평굴기

그림Ⅳ-1 세계경제에서 중국의 비중 추이

출처: 정상은,“중국의 중장기 경제성장전략 및 전망,”p. 301.

러,수입 1조 1,331억 달러, 총 2조 5,616억 달러로 GDP대비 59%를 차지하여 세계 수출 순위 1위국으로 부상했다. 이 중 외자기업이 수출 의 55.3%, 수입의 54.7%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IT등 첨단제품은 전체의 70%이상을 외자기업이 담당하고 있다. 1979년부터 2009년까 지 연평균 증가율은 수출 15.8%, 수입 13.5%에 달한다.

이러한 급속한 경제성장은 덩샤오핑(鄧小平)이 지난 1987년 밝힌 3 단계 경제발전전략(三步走戰略)120의 큰 틀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우

120_19781218일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113중전회) 에서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파들은 대규모 대중적 계급투쟁의 종결을 선언함 으로써 계급투쟁이 모든 것에 우선한다는 마오쩌둥(毛澤東)시대의 노선과의 결별 을 명확히 하고 4개 현대화(농업,공업,과학기술,국방)와 경제발전을 당과 국가가 추구해야 할 새 시대의 총체적 과업으로 규정했다.덩샤오핑은 당시 1단계로 300 러의 1인당 국민소득을 20세기 말까지 4배로 끌어올려 원바오 수준을 이룩하고, 2단계로 공산당 창건 100주년인 2021년까지 국민소득을 다시 2배로 끌어올려 중 진국에 진입하며, 3단계로 건국 100주년인 2049년까지 선진국에 진입한다는 목표 를 제시했으며, 100년이 지날 때까지 이러한 체제목표가 바뀌어서는 안 된다는 장 기 경제목표를 제시했다.

선 1단계 원바오(溫飽)는 기본 의식주를 해결하는 단계를, 2단계 샤오 캉(小康)은 의식주가 해결된 중등생활 이상의 복지사회를, 3단계 다퉁 (大同)은 말 그대로 태평성대를 뜻한다. 이러한 개혁·개방 과정의 3단 계 발전전략 가운데 첫 단계인 원바오는 1980년대 말 완료했으며, 2002 년 11월 열린 제1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장쩌민 총서기는 ‘정치보고’를 통해 지속적인 개혁·개방과 사회주의 시장경제정책 추진으로 중국이 샤오캉 사회에 진입했음을 공식 선언했다.

중국의 제4세대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후진타오체제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국력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미 래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다. 중국의 신지도부는 장래 20년의 기간을 중화민족의 중흥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의 시기라고 보았다.121

신지도부는 이 기간 동안 경제건설에 총 매진하여 ‘전면적 소강사회

(小康社會)’를 건설하고 국제적 위상도 높인다는 목표를 제시하였

다.122 2025년은 덩샤오핑이 기대한 것처럼 일인당 국민소득이 약

3,000달러에 이르며 중국의 국민총생산이 미국을 앞지르는 시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123 중국은 전 세계 10위권 국부펀드 중에서 4개의 펀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규모 면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121_江澤民, “全面建設小康社會, 開創中國特色社會主義事業新局面,” 中國共産 黨第十六次 全國代表大會文件匯編 (北京: 人民出版社, 2002), p. 18.

122_중국의 신지도부가 제시한 전면적 소강사회1980년대 초 덩샤오핑의 3단계 발 전전략에 기초한 것이다. 1단계는 먹고 사는 문제(溫飽) 해결, 2단계는 소강사회 건설, 3단계는 중진국 수준으로 간다는 목표를 말한다.중국의 신지도부는 중국은 이미 소강사회를 건설했지만 현 단계는 아직 낮은 수준으로 전면적이지 못하고 불균형한문제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20년간 발전을 통해 좀 더 완전한 소강사회 를 건설하겠다는 중국지도부의 의지를 표명하였다.조영남,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정치 (서울: 나남출판사, 2006), p. 188.

123_이코노미스트 2006년 보고서는 2017년에 중국의 실질구매력 기준 GDP가 미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위: 억 달러)

순위 국가 펀드 자산규모

1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아부다비투자청(ADIA) 6270억

2 노르웨이 글로벌연금펀드(GPF) 4710억

3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통화청(SAMA) foreign holdings 4150억

4 중국 외환관리국(SAFE) 투자회사 3471억(추정치)

5 중국 중국투자공사 3320억

6 싱가포르 싱가포르정부투자회사 2480억

7 중국(홍콩) 홍콩통화정 인베스트먼트 프트폴리오 2280억

8 쿠웨이트 쿠웨이트투자청 2030억

9 중국 국가 사회보장연금 펀드 1470억

10 러시아 국가 복지기금펀드(석유 안정화 펀드포함) 1425억 출처: 국부펀드연구소, 한국투자공사(KIC)

표Ⅳ-1 세계 주요 국부펀드(SWF) 현황(2010년 9월 현재)

후진타오체제는 중국의 경제발전전략을 대폭적으로 조정하여 지금 까지의 개혁·개방 기간 내에 중요한 경제원칙이었던 경제건설 중심(以

經濟建設爲中心)의 선부론(先富論)에서 사람을 본위로(以人爲本)하는

공부론(共富論)으로 전환하는 과학적 발전관과 조화사회이론을 주장

하고 있다.후진타오는 2003년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 완비에 관한 결 정을 통해 조화로운 사회건설의 기초를 밝혔으며, 2006년 16기 6중전 회에서 <조화사회 건설의 몇 가지 중대 문제에 관한 결정>을 통해 조 화사회이론을 자신의 경제발전전략으로 내세웠다. 이는 중국경제의 성 장 동력을 지금까지의 수출주도형에서 내수중심형으로 전환하는 과학 적 발전과 연결되며, 아울러 지금까지의 외자기업에 의한 수출주도형

불균형 경제성장전략에서 중국기업에 의한 수출과 내수 병존의 균형 성장전략으로의 현실적 전환을 의미한다. 또한 고도성장의 부작용을 치유하면서 질적 발전과 글로벌화의 진전을 이루기 위한 경제운용 방 침이다.후진타오 2기 지도부는 경제 관련 용어 사용에 있어서 ‘성장(成 長)’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대신 ‘발전(發展)’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주즈신(朱之鑫)이

“사회의 성숙과 문제점 해결을 추구한다는 의미에서 ‘성장’이라는 용어 대신 ‘발전’을 사용한다”고 한 발언에서 알 수 있다. 새로운 지도부가 향후 경제발전의 슬로건으로 제시한 ‘우호우쾌(又好又快)’는 양질의 빠 른 발전을 의미한다. ‘호(好)’를 ‘쾌(快)’의 앞에 둔 것은 양적인 성장보 다는 과학적 발전관에 입각한 질적인 발전을 우선하겠다는 의지의 표 현으로 볼 수 있다.또한 후진타오체제의 국가전략은 미국 중심의 기존 국제질서를 존중하면서도 선진국들과 전략적 대화를 강화하고,주변국 들과도 실리에 입각한 협력관계를 강화하여 강대국으로 부상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후진타오체제의 국가발전전략의 방향은 대내적으 로는 과학적 발전관을 통한 화해사회의 달성이며, 대외적으로는 화평 발전과 화해세계를 통한 중국의 대국으로의 부상으로 집약된다.

후진타오체제의 최대 과제 중 하나는 과거에도 그랬던 것처럼 지속 적인 경제발전이다. 중국의 국가목표인 경제발전은 경제적인 측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정치와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중대한 의미를 지 니고 있다.124 후진타오체제는 중국의 경제발전이 공산당 통치의 정당 성을 확보하는 가장 중요한 토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125다른 하

124_葉自成, “中國實行大國外交戰略勢在必行-關于中國外交戰略的幾点思考,” 界經濟與政治, 2000, pp. 5~10.

125_汝信·陸學藝,2003: 中國社會形勢分析與豫測(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나는 대만문제 해결을 통한 중국의 통일이다. 대만문제는 최고의 국가 목표인 통일과 관련되며 중국의 가장 중요한 안보문제이기도 하다.대 만의 지정학적인 위치는 중국의 안보전략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안 보전략적인 측면에서 중국은 대만이 독립할 경우 미국의 전략적 교두 보가 될 것으로 보고 있고,반대로 중국이 대만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 한다면 중국이 동중국해는 물론 태평양 지역에서의 해상 방위 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음으로는 소수민족문제 해결을 통해 중국의 통합을 강화하는 것이 다.중국은 민족과 문화를 달리하는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이다. 중국의 한족은 소수민족의 정치,경제, 사회,문화 등 전 분야를 지배하는 국가이다.126 그동안 중국정부는 소수민족 지역의 분리주의 에 대해 대내외적인 여러 방안들을 통해 견제해 왔다. 국내적으로는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우대정책과 동시에 감시와 통제를 통해 분리주 의를 견제해 왔다. 장쩌민체제 이후 중국지도부는 소수민족의 분리주 의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소수민족의 역사를 중국역사로 편입시 키는 작업을 추진해 왔다.신장에 대한 서북공정,티베트에 대한 서남 공정, 만주지역에 대한 동북공정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127

중국의 국가발전전략을 정리하면 중국은 중화사상에 입각하여 중화 세계의 영광을 재현하고자 하는 부국강병전략을 꾸준히 추진해오고 있

2003), p. 133.

126_중국은 절대 다수의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다. 155 의 민족 자치지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5개의 자치구, 30개의 자치주, 120개의 자치 (및 기 또는 맹)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자치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6469 5백 평방킬로미터에 달하여 전 중국 면적의 64.3%를 차지한다.

127_중국 소수민족문제에 대한 중국정부의 외교적 대응에 대해서는 이동률, “소수민족 의 분리주의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국가전략, 103(세종연구소, 200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