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심권 국립공원의 멧돼지 개체수 비교

가. 멧돼지 개체수의 비교

1) 멧돼지의 월평균 개체수의 비교

2019년 11월~2020년 10월까지의 도심권 4개 국립공원(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의 월별 멧돼지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계룡산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은 서로 비슷한 월별 개체수 변 동패턴을 보여주었다. 19년 11월~20년 4월에는 북한산국립공원과 경주국립공원은 개체수의 변 동폭이 컸지만 경주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은 비교적 안정적인 개체수를 유지하였다. 경주국 립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국립공원에서는 5월 이후 개체수가 증가하였다[그림

Ⅵ-1].

전반적으로 무등산국립공원 멧돼지의 경우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해 개체수가 낮았으며, 특히 월동기인 11월~2월에는 현저히 낮았다[그림

Ⅵ-1].

[그림

Ⅵ-2] 도심권 국립공원 연평균 격자당 멧돼지 개체수 비교

북한산국립공원과 경주국립공원의 경우 조금 다른 개체군 변동패턴을 보였다[그림

Ⅵ-1].

계룡산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 4월까지 일정한 개체수를 보였고 5월 출산시기와 함께 개체수 가 증가하였다. 이후 8월과 9월에는 개체수가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고 10월에 개체수 증가가 있 었다[그림

Ⅵ-1].

개체수 증가는 북한산국립공원은 2월 이후, 계룡산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은 4월 이후에 시작 하는 경향이 있다. 경주국립공원은 뚜렷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는 기간이 나타나지 않았다[그림

Ⅵ-1].

최대 개체수 도달 기간은 경주국립공원은 12월, 무등산국립공원은 6월, 계룡산국립공원은 7월, 북한산국립공원 9월이었다[그림

Ⅵ-1].

최대 개체수 도달 이후 일시적인 감소 후 증가하는 패턴이 관찰되는데, 북한산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의 경우, 7월에 일시적인 감소가 일어났으며,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8월에 일시적인 감소가 있었다. 경주국립공원은 12월 최대 개체수 도달 이후에 4월까지 지속적인 감소가 있었다[그림

Ⅵ-1].

2) 멧돼지의 연평균 개체수 비교

2019년 11월~2020년 10월까지 12개월간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4개 국립공원의 연 평균 격자당 개체수를 비교하면, 북한산국립공원은 격자당 평균 개체수는 7.0±2.1개체로 나머지 공원보다 더 많았었고, 무등산국립공원은 평균 2.1±1.4개체로 공원들 중에서 개체수가 가장 적었다. 경주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의 격자당 평균 개체수는 3.9±1.1개체와 5.2±1.3개체이고, 4개 공원 전체의 연평균 개체수는 4.6±2.1개체이다[그림

Ⅵ-2].

[그림

Ⅵ-3] 도심권 국립공원의 연평균 멧돼지 밀도 비교

나. 멧돼지 밀도의 비교

멧돼지의 서식밀도는 연평균 격자당(4km2) 개체수를 단위면적(km2)당 개체수로 환산해 산출하였다.

2019년 11월~2020년 10월까지의 도심권 4개 국립공원(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의 연평균 멧 돼지 밀도를 비교한 결과, 북한산국립공원(1.8±0.5) > 계룡산국립공원(1.3±0.3) ≥ 경주국립공원 (1.0±0.3) > 무등산국립공원(0.5±0.3) 순이었다[그림

Ⅵ-3].

2020년 4개 도심권 국립공원의 전체 면적에 서식하는 멧돼지의 연평균 개체수는 북한산국립공원 139개체, 경주국립공원 137개체, 계룡산국립공원 85개체, 무등산국립공원 38개체 등이다[표

-1].

국립공원 (면적km2)

격자수 (면적km2)

연평균 격자당

개체수 연평균 밀도 연평균 개체수/

격자총면적

연평균 개체수/

국립공원 전체면적 북한산

(77)

12

(48) 7.0±(2.1) 1.8(±0.5) 86개체 139개체 경 주

(137)

14

(56) 3.9(±1.1) 1.0(±0.3) 56개체 137개체 계룡산

(65)

13

(52) 5.2(±1.3) 1.3(±0.3) 68개체 85개체 무등산

(75)

13

(52) 2.1(±1.4) 0.5(±0.3) 26개체 38개체 [표

-1] 도심권 국립공원의 멧돼지 연평균 격자당 개체수, 밀도 및 연평균 개체수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