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심권 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별 출현 특성 비교

[그림

Ⅵ-5] 도심권 국립공원의 이동로에 출현하는 연중 격자당 평균 멧돼지 개체수 비교

진흙목욕장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6월과 9월, 경주국립공원은 19년 11월, 12월, 20년1월과 9월, 계룡산국립공원은 7월, 무등산국립공원은 6월과 10월이었다.

경주국립공원에서는 총 4개월간, 북한산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은 총 2개월간 높은 빈도로 활 용했지만, 계룡산국립공원에서는 단지 1개월만 높은 빈도로 활용했다[표

Ⅵ-2, 그림 Ⅵ-4].

이동로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경우, 연중 가장 적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이 3월, 경주국립공원이 6월, 계룡산국립공원이 19년 12월과 20년 6월, 무등산국립공원이 1월~4월이었다[표

-3, 그림

Ⅵ-5].

이동로에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6월과 10월, 경주국립공원은 19년 11월과 12월, 계룡산국립공원의 경우 1월과 7월, 무등산국립공원 6월과 7월로 4개 국립공원 모두 총 2개월간 높은 빈도로 활용되었다[표

Ⅵ-3, 그림 Ⅵ-5].

국립공원 출현 개체수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 개체수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3월 6월, 10월

경주 6월 11월, 12월

계룡산 12월, 6월 1월, 7월

무등산 1월~4월 6월, 7월

[표

Ⅵ-3]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이동로 이용 출현개체수 현황

[그림

Ⅵ-6] 도심권 국립공원의 진흙목욕장(비빔목 포함)에 출현한 격자당 평균 멧돼지 출현빈도 2) 서식지 유형별 멧돼지의 출현빈도 비교

진흙목욕장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연중 가장 낮은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 7월, 경주국립공원은 9월, 계룡산국립공원은 9월, 무등산국립공원은 11월이었다[표

Ⅵ-4, 그림

Ⅵ-6].

진흙목욕장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연중 높은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1월, 6월, 9월, 10월, 경주국립공원은 1월, 계룡산국립공원은 3월, 4월, 7월, 무등산국립공원은 8월로 경주국립공원과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단지 1개월만 높은 빈도로 활용했다[표

Ⅵ-4, 그림 Ⅵ-6].

경주국립공원의 경우 활동량이 줄어드는 월동기인 1월에 오히려 출현빈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이후의 출현빈도도 또한 낮게 나왔는데, 이 시기에 활동량이 많아진 것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추가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표

Ⅵ-4, 그림 Ⅵ-6].

국립공원 출현빈도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빈도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 7월 1월, 6월, 9월, 10월

경주 9월 1월

계룡산 9월 3월, 4월, 7월

무등산 11월 8월

[표

-4]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진흙목욕장(비빔목 포함) 이용 출현빈도 현황

[그림

Ⅵ-7] 도심권 국립공원의 이동로에 출현하는 격자당 평균 멧돼지 출현빈도 비교

이동로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경우, 연중 가장 낮은 출현빈도는 북한산국립공원은 1~3월, 경주국립공원은 6월, 8월, 10월, 계룡산국립공원은 19년 11~12월, 20년 6월, 무등산국립공원은 3월이었다[표

Ⅵ-5, 그림 Ⅵ-7].

이동로에 연중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낸 시기는 북한산국립공원은 5월, 9월, 10월로 총 3개월, 경주국립공원은 19년 11월~20년 3월로 총 5개월, 계룡산국립공원은 1월, 4월, 7월로 총 3개월, 무등산국립공원은 6월, 7월로 총 2개월이었다[표

Ⅵ-5, 그림 Ⅵ-7].

경주국립공원의 경우 겨울철 출현빈도가 다른 시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이후 출현빈도는 급감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경주국립공원에서만 겨울철에 유독 높은 출현율이 나타난 이유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표

-5, 그림

Ⅵ-7].

국립공원 출현빈도가 매우 적은 시기 출현빈도가 매우 많은 시기

북한산국립공원 1~3월 5월, 9월, 10월

경주 6월, 8월, 10월 19년 11월~20년 3월 계룡산 19년 11월~12월, 20년 6월 1월, 4월, 7월

무등산 3월 6월, 7월

[표

-5]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이동로 이용 출현빈도 현황

[그림

Ⅵ-8] 도심권 국립공원의 시간대별 멧돼지 출현비율 비교

나. 시간대별 멧돼지 출현비율의 비교

도심권 4개 국립공원(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의 시간대별 멧돼지 출현빈도를 비교한 결과 멧돼지의 활동 시간대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그림

Ⅵ-7].

일몰이 시작되는 17시부터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높아져 19시에 가장 높았으며, 일출 이후인 9시부터 일몰 직전인 16시까지 멧돼지의 출현빈도가 낮았다[그림

Ⅵ-7].

무등산국립공원을 제외한 3개 국립공원은 6시와 7시에 출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출현율이 증가하였다.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이 시간대에 활동이 증가한 이 유를 알아보기 위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그림

Ⅵ-7].

계룡산국립공원의 멧돼지의 경우 14시부터 출현율이 증가하기 시작하지만, 나머지 3개 국립공원은 17시 이후 출현율이 증가한다. 계룡산국립공원에서 멧돼지들이 다른 국립공원의 멧돼지들에 비해 이른 시간에 활동하기 시작하는 이유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그림

Ⅵ-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