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멧돼지 개체수 분석

1) 카메라 운영 현황 및 개체수 출현 현황의 개괄

북한산국립공원의 총 조사구는 12개 격자로 각 격자당 1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며, 관찰 기간은 2019년 11월~2020년 10월까지 총 12개월이다. 그러므로 전체 격자를 고려하면 총 관찰 개월수는 144개월(12개 격자 × 12개월=144개월)이다. 이중 운영이 중단된 개월수는 모두 4개월이었다: B11 우이분소 2019년 12월~2020년 2월까지 3개월, B22 우이령 2020년 4월이다[표

Ⅱ-3]. 격자 중에서 성북-강북지구(2구간)의 B11 우이분소는 2019년 12월~2020년

2월을 제외한 9개월 동안, 양주-고양지구(4구간)의 B22 우이령은 2020년 4월을 제외한 11개월 동안 카메라가 운영되었으며, 개체수 출현이 적은 겨울철이 운영중단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별 밀도 비교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표

Ⅱ-3].

격자별로 카메라가 운영한 개월수는 9~12개월로 격자별로 카메라를 운영한 개월수의 차이가 있었다. B11 우이분소는 월동기(2019년 12월~2020년 2월)를 제외한 9개월만 운영되었으며, B22 우이령은 4월 한달 동안 카메라가 운영되지 않았다.

월별로 카메라가 운영된 격자수는 11개 격자에서 12개 격자로 월별로 차이가 있었다.

카메라가 운영된 연평균 격자수는 11.7(±0.5)개로 격자에 출현하는 멧돼지의 연평균 서식 개체수는 81.8(±25.9)개체였다[표

Ⅱ-3].

격자별 연평균 출현 개체수는 7.0(±2.1)개체였으며, 이를 밀도로 환산하면 격자별 평균 밀도는 1.8(±0.5)개체/km2였다[표

Ⅱ-3].

구간 격자 2019년 2020년 연평균

±표준편차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1구간)

B4 북한산성 8 5 4 2 8 3 5 6 4 2 6 8 5.1±2.2

B1 진관사 4 9 17 2 7 3 3 21 2 6 9 0 6.9±6.4

BC3 비봉휴게소 1 1 0 0 0 4 4 8 5 0 4 5 2.7±2.7

구간평균

±표준편차 4.3 ± 3.5

5.0± 4.0

7.0± 8.9

1.3± 1.2

5.0± 4.4

3.3± 0.6

4.0± 1.0

11.7± 8.1

3.7± 1.5

2.7± 3.1

6.3± 2.5

4.3±

4.0 4.9±2.6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1 3(3) 15 (3) 2 1

(3) 4 (3) 15

(3) 10 (3) 1 2

(3) 3 5 (3) 11

(3) 8 (3) 1 9

(3) 13

(3) 14.7±7.9 (3.0±0.0)

성북구- 강북구 (2구간)

B9 북악공원 15 15 15 5 5 10 5 10 4 12 16 16 10.7±4.8

B12 정릉내원사 11 11 12 7 16 10 31 31 10 10 15 10 14.5±8.1

B11 우이분소 3 - - - 10 13 10 11 10 10 15 3 9.4±4.0

±표준편차구간평균 9.7± 6.1

13.0± 2.8

13.5± 2.1

6.0± 1.4

10.3± 5.5

11.0± 1.7

15.3± 13.8

17.3± 11.8

8.0± 3.5

10.7± 1.2

15.3± 0.6

9.7±

6.5 11.7±3.3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29 (3) 26

(2) 27 (2) 12

(2) 31 (3) 33

(3) 46 (3) 52

(3) 24 (3) 32

(3 46 (3) 29

(3) 32.3±11.0 (2.8±0.5)

도봉구- 의정부시 (3구간)

B20 무수골 11 6 11 10 7 8 16 8 6 4 19 9 9.6±4.3

B16 도봉분소 9 3 9 4 3 7 4 3 5 3 15 9 6.2±3.7

B15 다락원 5 6 8 6 9 5 4 8 8 7 6 10 6.8±1.8

구간평균

±표준편차 8.3± 3.1

5.0± 1.7

9.3± 1.5

6.7± 3.1

6.3± 3.1

6.7± 1.5

8.0± 6.9

6.3± 2.9

6.3± 1.5

4.7± 2.1

13.

6.7 9.3±

0.6 7.5±2.4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25(3) 15 (3) 28

(3) 20 (3) 19

(3) 20 (3) 24

(3) 19 (3) 19

(3) 14 (3) 40

(3) 28

(3) 22.6±7.1 (3.0±0.0)

양주시- 고양시 (4구간)

B25 송추분소 1 3 1 2 0 1 0 1 1 7 4 7 2.3±2.5

B22 우이령 0 2 10 2 4 - 2 11 1 6 9 6 4.8±3.8

B21 사기막골 3 6 1 0 0 5 5 4 8 3 13 19 5.6±5.6

구간평균

±표준편차 1.3± 1.5

3.7± 2.1

4.0± 5.2

1.3± 1.2

1.3± 2.3

3.0± 2.8

2.3± 2.5

5.3± 5.1

3.3± 4.0

5.3± 2.1

8.7± 4.5

10.7±

7.2 4.2±2.9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3)4 11 (3) 12

(3) 4 (3) 4

(3) 6 (2) 7

(3) 16 (3) 10

(3) 16 (3) 26

(3) 32

(3) 12.3±9.0 (2.9±0.3) 격자별 평균 개체수

±표준편차

5.9± 4.8

6.1± 4.2

8.0± 5.8

3.6± 3.1

5.8± 4.8

6.3± 3.7

7.4± 8.5

10.

8.3 5.3± 3.2

5.8± 3.6

10.9± 5.2

8.5±

5.2 7.0±2.1 격자별 평균 밀도:

(개체수±표준편차)/㎢

1.5± 1.2

1.5± 1.0

2.0± 1.5

0.9± 0.8

1.4± 1.2

1.6± 0.9

1.9± 2.1

2.5± 2.1

1.3± 0.8

1.5± 0.9

2.7± 1.3

2.1±

1.3 1.8±0.5 개체수 합계

(격자수 n)

(12)71 67 (11) 88

(11) 40 (11) 69

(12) 69 (11) 89

(12) 122 (12) 64

(12) 70 (12) 131

(12) 102

(12) 81.8±25.9 (11.7±0.5)

[표

-3] 북한산국립공원 격자별 평균 출현 개체수

* -: 무인센서카메라 또는 메모리카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미확보.

2) 멧돼지 개체수

멧돼지 개체수는 연평균 격자당 7.0(±2.1)개체였다. 개체수가 가장 적은 2월은 격자당 3.6(±3.1)개체, 개체수가 가장 많은 9월은 격자당 10.9(±5.2)개체로 2월보다 약 3배 더 많이 출현했다[표

-3, 그림

-5].

월별 분석에 의하면, 2019년 11월에는 격자당 평균 5.9(±4.8)개체, 12월에는 평균 6.1(±4.2)개체, 2020년 1월에는 8.0(±5.8)개체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월에는 3.6(±3.1)개체로 약 2.2배 감소하여 출현했다. 겨울에 접어들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듬해인 2020년 1월에는 격자당 평균 8.0(±5.8)개체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멧돼지의 개체수는 2월에 3.6(±3.1)개체로 감소했으며, 이 수치는 6월까지 점차 증 가하다가 6월에 10.2(±8.3)개체로 높은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이후 7월에 5.3(±3.2)개체까 지 급격히 감소한 후, 8월까지 5.8(±3.6)개체로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9월에는 10.9(±5.2) 개체로 증가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10월에는 8.5(±5.2)개체로 소폭 감소하는 추 세를 나타냈다[그림

Ⅱ-5].

작년 자료와 비교하면, 격자당 연평균 개체수는 2019년 5.2(±2.4)개체로 약 1.8개체 차이가 있었다. 월별 분석에 의하면, 두 기간 모두 2월에 출현 개체수가 가장 적었고 3월부터 개체수 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2019년은 7월에 가장 높은 개체수를 기록하였으나 2020년은 7월에 출현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8월부터 다시 증가하여 9월에 가장 높은 출현 개체수를 나타내었다[그림

-5].

[그림

Ⅱ-5]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당 평균 출현 멧돼지 개체수

3)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2019년 11월~2020년 10월까지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의 개체수를 성체와 새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멧돼지 개체수는 연평균 격자당 7.0(±2.1)개체였는데, 이 중 성체는3.7(±1.0)개체였 으며, 새끼는 3.3(±1.4)개체로, 성체수와 새끼수는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그림

-6].

성체의 개체수는 월동기간인 2019년 11월 2.9(±2.7)개체에서 2020년 1월 4.3(±3.9)개체까지 증가하였다. 2월은 2.3(±2.1)개체로 일시적인 감소가 나타났고, 3월에 들어서면서 전년도 11월의 개체수인 3.0(±2.7)개체와 비슷한 수준인 3.1(±2.9)개체로 회복하였다, 이후 6월까지 5.4(±2.7)개체로 증가하다가 7월에는 감소하여 3.0(±1.4)개체를 나타냈고, 8월 3.1(±1.3)개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9월에는 4.7(±2.5)개체로 소폭 증가했으며, 10월에는 3.4(±2.5)개체로 감소하였다. 월동기를 제외하고는 7월 3.0(±1.4)개체, 8월 3.1(±1.3)개체로 출현하는 개체수가 다른 월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았는데 이는 장마기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그림

Ⅱ-6].

새끼의 경우 2019년 11월 격자당 평균 새끼수는 3.0(±2.6)개체, 이듬해 1월에는 3.7(±3.4)개체였지만 2월에는 1.4(±2.6)개체로 약 2.6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3월에 2.7(±2.6)개체, 4월에 2.6(±2.7)개체로 3월과 4월에 관찰되는 낮은 수치의 새끼들은 전년도 늦가을에 출생한 개체들 중 생존한 새끼들에 해당한다[그림

Ⅱ-6]. 5월에는 더 감소하여

2.1(±5.2)개체를 나타냈다. 6월에는 격자당 평균 4.8(±7.1)개체로 5월의 2.1(±5.2)개체 대비 약 2.3배 증가했다. 이후 7월에 다시 2.3(±2.7)개체로 감소하였고, 8월에는 2.8(±2.8)개체로 소폭 증가했다. 9월에는 6.3(±3.2)개체로 8월 보다 약 2.3배 증가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10월에 5.1(±3.1)개체로 소폭 감소하였다[그림

Ⅱ-6].

성체와 새끼의 개체군 변동폭 분석에 의하면, 월동기간인 12월, 1월, 2월을 제외하면 성체의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는 출현 개체수가 가장 낮은 7월에는 3.0(±1.4)개체, 가장 높은 6월에는 5.4(±2.7)개체로 그 차이는 최저 개체수 대비 약 1.8배 정도 범위 내에서 월별로 출현하였다.

새끼의 경우, 월동기간인 12월, 1월, 2월을 제외하고 가장 적은 개체수를 나타낸 5월의 새끼수 2.1(±5.2)개체와 가장 많은 9월의 새끼수 6.3(±3.2)개체를 비교했을 때 약 3배 증가했다.

그러므로 성체와 새끼의 개체군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전년도 11월(2019년 11월)의 성체 개체수 2.9(±2.7)개체와 당해 연도(2020년) 10월의 성체 개체수 3.4(±2.8)개체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새끼수는 각각 3.0(±2.6)개체와 5.1(±3.1)개체로 약 1.7배의 차이가 있었다[그림

Ⅱ-6].

멧돼지의 출산은 월별 새끼 개체수의 증가 추세를 통해 5월부터 9월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Ⅱ-6].

2019년 11월~2020년 8월 동안 매월 성체수는 새끼수보다 비슷하거나 더 많았으며, 새끼는 5월에서 6월까지 증가하는 추세였다. 9월~10월에는 새끼수가 성체수보다 더 많았다[그림

Ⅱ-6].

7월~8월에 성체와 새끼의 개체수 모두 일시적인 감소가 있었으며 이후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장마 등 기상조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그림

Ⅱ-6].

[그림

-6]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당 성체와 새끼의 평균 출현 개체수

[그림

Ⅱ-7]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당 성체와 새끼의 평균 출현 개체수 비교[2019년의 평균 출현 개체수는

국립공원연구원(2019) 보고서를 참고함]

작년 자료와 비교하면, 격자별 평균 성체수는 2019년 2.8(±1.6)개체, 2020년 3.7(±1.0)개체로 약 0.9개체가 증가하였다. 격자별 평균 새끼수는 2019년 2.5(±2.2)개체, 2020년 3.3(±1.4)개체로 약 0.8개체가 증가하였다.

4) 구간별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수

구간별 연평균 개체수는 양주-고양 구간이 4.2(±2.9)개체, 은평-서대문-종로 4.9(±2.6)개체, 도봉-의정부 7.5(±2.4)개체, 성북-강북 11.7(±3.3)개체 순이었다[표

-3, 그림

-8].

은평-서대문-종로(1구간) 구간에서는 진관사 지역이 연평균 6.9(±6.4)개체로 가장 많이 출현했다[표

-3, 그림

Ⅱ-8].

성북-강북(2구간) 구간에서는 정릉내원사 지역이 14.5(±8.1)개체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북악공원으로 10.7(±4.8)개체였다. 우이분소의 경우 멧돼지 개체의 출현이 적은 겨울철(2019년 12월~2020년 2월)에 해당하는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Ⅱ-3, 그림 Ⅱ-8].

도봉-의정부(3구간) 구간에서는 무수골 9.6(±4.3)개체로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동일 구간 내 다락원 6.8(±1.8)개체, 도봉분소 6.2(±3.7)개체보다는 더 많았다[표

Ⅱ-3, 그림

Ⅱ-8].

양주-고양(4구간) 구간에서는 사기막골 5.6(±5.6)개체, 우이령 4.8(±3.8)개체, 송추분소 2.3(±2.5)개체로 사기막골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카메라가 운영된 동일 월들만을 추출해 상호 비교했을 때는 사기막골 5.6(±5.8)개체, 우이령 4.8(±3.8)개체, 송추분소 2.5(±2.5)개체로 사기막골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표

Ⅱ-3, 그림 Ⅱ

-8].

지역별(격자당) 멧돼지의 성체와 새끼 출현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성체의 경우 북악공원, 정릉내원사, 우이분소, 무수골 등 4개 지역에서 격자당 평균 4.9~7.3개체로 많은 개체가 출현했다[그림

Ⅱ-8]. 새끼의 경우 정릉내원사, 무수골, 우이분소 등 3개 지역에서 격자당 평균

4.2~7.7개체로 많은 개체수가 출현했다[그림

Ⅱ-8]. 정릉내원사, 우이분소, 무수골 등은 성체와

새끼들 모두 많이 출현하는 지역이다.

성체수와 새끼수의 차이가 지역별 연평균 4개체 이상 차이 나는 곳은 북악공원이었으며, 1개체 이상 차이 나는 곳은 북한산성 1.5개체, 우이분소 1.0개체 등으로 지역별 평균 1.0~1.5개체 차이로 성체가 더 많다. 정릉내원사와 다락원에서는 새끼가 성체보다 연평균 0.9개체, 0.8개체 더 많았다[그림

Ⅱ-8].

[그림

Ⅱ-8] 멧돼지 성체와 새끼의 구간과 격자당 평균 출현 개체수

나.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 밀도 분석

1) 북한산국립공원의 멧돼지 밀도 현황

월별 운행 격자수는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9개 격자에서 12개 격자로 월별 차이가 있었으며, 월평균 운행 격자수는 11.7(±0.5)개였다[표

Ⅱ-3].

연평균 멧돼지 밀도는 2019년 11월~2020년 10월까지 북한산국립공원의 격자별 출현한 멧돼지 개체수를 단위면적당(km2)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연평균 멧돼지 밀도는 1.8(±0.5)개체/km2였고, 밀도가 가장 낮은 2월은 격자당 평균 밀도가 0.9(±0.8)개체/km2였으며, 밀도가 가장 높은 9월의 격자당 평균 밀도는 2.7(±1.3)개체/km2였다. 그러므로 월평균 밀도는 9월이 2월보다 약 3배 더 높았다[표

Ⅱ-4, 그림 Ⅱ-9].

월별 밀도 분석에 의하면, 2019년 11월에는 격자당 평균 밀도가 1.5(±1.2)개체/km2였지만 겨울에 접어들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이듬해인 2020년 1월에는 격자당 평균 밀도가 2.0(±1.5)개체/km2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 2월에는 격자당 평균 밀도가 0.9(±0.8)로 감소하였으며, 3월에는 1.4(±1.2)개체/km2로 증가했다. 이 수치는 5월까지 비슷하게 증가하다가 6월에 2.5(±2.1)개체/km2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7월에는 격자당 1.3(±0.8)개체/km2까지 감소한 후 8월에는 1.5(±0.9)개체/km2로 소폭 증가하였다. 9월에는 크게 증가해 최고 수치인 2.7(±1.3)개체/km2를 기록하였고, 10월에는 2.1(±1.3)개체/km2에 도달했다[표

Ⅱ-4, 그림

Ⅱ-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