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그림 3] 종속변수 분포도

으로 판단하여 독립변수로 포함하였다. 앞서 기술하였듯 기부금 제도의 경우 정치자금법 개정 사항에 따라 2006년 폐지, 2017년 부활하였고, 경 유 기관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당원이 아닌 일반 개인 유권자가 제공하 는 정치 자금이라는 점에서 존재할 경우 기탁금과 합으로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정당의 활동이 선거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고 정책 연 구 등 선거 외 다양한 활동에 정치 자금이 사용되며 회계 보고 자료에서 도 지출 항목이 ‘선거 비용’과 ‘선거 비용 외 정치 자금’으로 나뉘 어 표시된다. 따라서 정당의 운영 방향에 따라 회계 자료상 정당의 수입 이 모두 선거에 사용되는 것이라 보기엔 어렵고 직접 선거에 사용된 비 용이라 할 수 있는 ‘선거 비용’을 독립변수로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겠다고 판단하여 독립변수에 포함하였다. 각 정치 자금의 단위는 ‘10억 원(₩)’으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해서는 모두 회계자료에 표기된 자료를 기준으로 포함하 였으며, 12년간 발간된 자료에서 ‘.’으로 표시된 경우와 공백으로 표 시된 경우 모두 혼용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으로 표시된 경우 를 제외하고는 모두 ‘0’으로 판단하여 분석하였다.

(단위 : 10억 원)

수 입 지출

당비 기탁금+기부금 전년도 이월금 선거보조금 선거 비용

관측값 296 296 296 296 278

평균값 1.746 0.301 1.145 1.095 1.784

중앙값 0.011 0.000 0.000 0.000 0.000

표준편차 4.719 0.818 3.961 4.030 7.139

최솟값 -0.046 -0.020 0.000 0.000 0.000

최댓값 37.614 5.026 25.005 35.959 53.735

왜도 3.932 3.474 4.153 4.894 5.627

첨도 21.079 15.617 20.388 31.741 35.556

[표 12] 독립변수 기술통계 분석

정당의 규모에 따라 소수의 거대정당과 다수의 군소정당이 존재하므 로 정치 자금의 각 항목의 규모 또한 최소 0에서 최대 수십 수백억대로 널리 분포한 모습을 [표 12]에 기술된 것과 같이 관찰할 수 있었다. 선거 비용과 선거보조금의 경우 각 정당의 선거 참여 방식이 다르고 국가의 정치 자금 분배 방식 등에 따라 극소수의 특정 정당에 집중되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중앙값이 0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기탁금과 기부금의 합과 전년도 이월금 또한 중앙값은 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특정 소수의 정 당에 집중하여 분포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왜도(skewness)의 경우 모두 +2 이상 +6 이하의 값을 가졌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왼쪽으로 치는 비대 칭적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종속변수에 비해 더 치우쳐 분포한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첨도(kurtosis) 또한 작게는 약 6에서 38 사이의 값을 가지며 특정 구간에 매우 집중되어 분포되어 있다. 이는 [그림 4]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4] 독립변수(수입 항목)별 분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