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도 빈도수 백분율(%) 누적백분율(%)

2007 26 8.78 8.78

2008 30 10.14 18.92

2009 17 5.74 24.66

2010 21 7.09 31.76

2011 21 7.09 38.85

2012 31 10.47 49.32

2013 14 4.73 54.05

2014 17 5.74 59.8

2015 20 6.76 66.55

2016 28 9.46 76.01

2017 36 12.16 88.18

2018 35 11.82 100

합계 296 100

[표 14] 연도 기술통계 분석

선거유형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은 다음 [표 15]와 같다. 선거유형 변 수의 경우 2가 최빈값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정당이 가장 많이 참여한 선거유형이 대통령선거와 재·보궐선거 모두 참여한 유형이 라는 것이다.

선거유형 빈도수 백분율(%) 누적백분율(%)

유형 1 30 20.55 20.55

유형 2 21 14.38 34.93

유형 3 59 40.41 75.34

유형 4 34 23.29 98.63

유형 5 2 1.37 100

Total 146 100

<구분>

유형 1 : 재·보궐선거만 시행, 유형 2 : 대통령선거&재·보궐선거

유형 3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4 : 전국동시지방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5 : 대통령선거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표 15] 선거 유형 기술통계 분석

주요 통제 변수인 그룹 변수의 경우 평균 득표율 2% 이상에 속하는 그룹 1의 경우 전체 정당 가운데 약 35%, 평균 득표율이 2% 미만인 그 룹 2의 경우 약 64%이다.

빈도수 백분율(%) 누적백분율(%)

득표율 2% 이상 52 35.62 35.62

득표율 2% 미만 94 64.38 100

합계 146 100

[표 16] 그룹(득표율 2% 이상 조건 충족 여부) 기술통계 분석

추가적으로 역대 정당을 여당 여부와 평균 득표율에 따라 분류해 분 포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당의 경우 모두 평균 득표율이 2% 이상 인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야당의 경우 평균 득표율이 2% 이상인 그룹에 속하는 정당은 41개, 2% 미만인 그룹에 속하는 정당은 94개이다. 12개년 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여당의 개수가 11개인 것은 2003년 대통령 의 탈당으로 표면적으로 여당에 속하는 정당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 다.

(단위 : 개) 여당 여부

여당 야당 합계

평균 득표율

2% 이상 11 41 52

2% 미만 0 94 94

합계 11 135 146

[표 17] 여당 여부 및 평균 득표율에 따른 정당 분류 기술통계 분석

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위 기술통계 분석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수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보고 회귀 분석에 앞서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이 있는지 확 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 18]에 Pearson의 단순 상관계수 값으로 표기하 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독립변수의 각 항과 종속변수인 득표율의 상관관계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최소 0.544에서 최대 0.897의 값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독립변수로 사용된 정당의 재정 구 조상에서 나타나는 수입과 비용 각 항목 규모의 값이 증가할 때 선거에 서 정당의 득표율 또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인데, 이는 선험적 지식으로 그 개연성을 쉽게 확인 가능한 내용이다. 그 외 종속변수로 사용한 각 득표율 변수도 마찬가지로 비슷한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독립변수 간 상관계수의 경우 p<0.05의 유의수준에서 최소 0.486에서 최대 0.797의 값을 가진다. 각 독립변수의 성질과 0.7을 초과하는 상관계 수 값이 관찰되어 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을 의심해보았으나, 후 에 서술할 회귀 모형마다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분산팽창인자) 값을 검토하였을 때 모두 VIF 값이 10을 초과하지 않아 독립변수 간 존 재할 수 있는 다중공선성의 정도를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1) (2) (3) (4) (5) (6) (7) (8) (9)

(1)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 1

(2)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0.9950* 1

(3) 지역구 선거 평균 득표율 0.9985* 0.9908* 1

(4) 비례대표 선거 평균 득표율 0.9916* 0.9938* 0.9800* 1

(5) 당비 0.8966* 0.9260* 0.8931* 0.9531* 1

(6) 기탁금+기부금 0.8834* 0.8740* 0.8788* 0.8880* 0.7976* 1

(7) 전년도 이월금 0.8216* 0.7876* 0.8203* 0.8122* 0.7112* 0.7540* 1

(8) 선거보조금 0.7270* 0.9060* 0.7181* 0.9024* 0.7984* 0.7209* 0.5531* 1

(9) 선거 비용 0.5444* 0.6911* 0.5292* 0.6437* 0.5572* 0.5311* 0.4862* 0.7982* 1

* shows significance at the 0.05 level

[표 18] 변수 간 상관계수 표

제 3 절 회귀 분석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를 전방향 단계별(forward stepwise)로 포함해 회귀 식에 포함하는 방식으로 회귀 분석 식을 도출해냈다. 당비, 기탁금 과 기부금의 합(기탁금+기부금), 전년도 이월금, 선거보조금, 선거 비용 순으로 포함했다. 회귀 모형에 따라 분석식의 세부 항은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회귀 분석 식을 가지게 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자료의 경우 연도별, 정당별 값을 가지는 패널 구조 데이터지만, 본 절에서는 패널 분석에 앞서 Pooled OLS(합동 OLS) 모형 을 이용한 다중 회귀 분석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3장 제3절에 서 술한 가설에 따라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내용이 달라지므로 각 가설에 따 라 회귀 분석 모형을 달리하였으며, 각 회귀 분석 모형으로 분석을 시행 하며 VIF 값의 10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 

 

  

 

[수식 3] 회귀 분석 모형

전체 선거에서의 득표율  대 선거에서의 득표율

지역구 선거에서의 득표율 비례대표선거에서의 득표율

당비  기탁금기부금  전년도이월금  선거보조금

선거비용  연도  그룹  여당  선거유형

1. 수입 및 지출 항목과 정당의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