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입 및 지출 항목과 정당의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한 회귀

2. 수입 및 지출 항목과 정당의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한

되지 않는 재·보궐 선거의 경우 정당 차원에서 선거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치 자금은 선거보조금 이외 정치 자금 즉, 당비, 기탁금+기부 금, 그리고 전년도 이월금 등이 될 가능성이 크다. 선거보조금은 그 특 성상 선거 비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러한 정치 자금의 특성이 반영된다면 재·보궐 선거가 포함된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 한 회귀 모형에서 전년도 이월금이 3대 선거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보 다 더 높은 유의성을 가지며 회귀 모형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으며, 선거 보조금이 사실상 선거 비용에서 높은 비율로 반영되므로 3대 선거만을 대상으로 하는 회귀 분석 모형에서 더 높은 계수로 반영될 개연성이 존 재한다.

마지막으로 일부 통제변수에 대해 살펴보면, 선거유형 특히 국회의원 선거와 재·보궐 선거에 참여한 유형인 선거유형 분류상 유형 3에 대해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가지며 연도는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진 2008 년, 2012년, 2016년에 대해 통제변수가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유형 3의 경우 국회의원선거와 재·보궐 선거가 함께 치러지면 득표 율이 기준이 되는 대통령선거와 재·보궐 선거가 이뤄진 유형 2와 비교 하면 약 13.45%p 높은 것처럼 나타났으나 부록에 표기된 국회의원선거 의 평균 득표율을 살펴보면 이는 존재할 수 없는 경우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연도의 경우 약 –10에서 –12 사이의 범위에서 값을 가지는 것을 고려하면 연도와 선거유형이 중복하여 통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 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회귀 모형에서 VIF 값은 모두 3.11에서 5.30 사이의 값을 가졌고 상기 예측한 바와 같이 통제 변수인 연도와 선거 유형의 일부에서, 특히 2012 년, 2016년 그리고 유형 3이 10이 넘는 VIF 값을 가졌다. 하지만 해당 변수가 통제변수이며, 회귀 분석 모형 전체의 VIF 값은 약 6.64로 분석 을 이용하는데 큰 부담이 없다고 판단하여 해당 모형으로 분석을 진행하 였다.

(1) (2) (3) (4) (5)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당비 1.584*** 1.136*** 1.027*** 1.086*** 1.129***

(0.146) (0.157) (0.150) (0.127) (0.125)

기탁금+기부금 4.647*** 3.512*** 2.803*** 3.132***

(0.936) (0.936) (0.799) (0.777)

전년도 이월금 0.498*** 0.203

(0.144) (0.131)

선거 비용 0.381*** 0.418***

(0.064) (0.060)

2007년 0 0 0 0 0

(.) (.) (.) (.) (.)

2008년 9.721 0.783 4.46 -7.655 -10.19*

(4.943) (4.690) (4.515) (4.455) (4.183)

2010년 -2.354 -2.86 -1.174 1.541 1.213

(2.630) (2.306) (2.212) (1.923) (1.929)

2012년 8.408 -0.314 3.329 -9.409* -11.93**

(4.403) (4.239) (4.104) (4.072) (3.766)

2014년 -1.068 -4.908 -2.646 0.906 0.459

(2.856) (2.619) (2.536) (2.222) (2.224) 2016년 9.788* -0.0959 3.511 -8.281 -10.70**

(4.851) (4.693) (4.513) (4.297) (4.039)

2017년 1.445 0.898 1.069 0.0876 -0.0668

(2.401) (2.107) (1.972) (1.672) (1.685)

2018년 -2.924 -1.754 -0.732 1.531 1.396

(2.482) (2.187) (2.068) (1.786) (1.801)

유형 2 0 0 0 0 0

(.) (.) (.) (.) (.)

유형 3 -8.386 -0.117 -2.965 11.07** 13.45***

(4.381) (4.184) (4.001) (4.125) (3.863)

유형 4 0 0 0 0 0

(.) (.) (.) (.) (.)

유형 5 0 0 0 0 0

(.) (.) (.) (.) (.)

[표 20]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한 회귀 모형 분석

그룹 1 0 0 0 0 0

(.) (.) (.) (.) (.)

그룹 2 3.904* 3.017* 2.458 0.386 0.399

(1.605) (1.417) (1.336) (1.222) (1.234)

야당 0 0 0 0 0

(.) (.) (.) (.) (.)

여당 4.706 3.334 3.026 3.533 3.697

(3.160) (2.782) (2.605) (2.203) (2.222)

상수항 -0.76 -0.218 -0.848 -2.321 -2.253

(1.954) (1.715) (1.615) (1.392) (1.405)

N 90 90 90 86 86

R2 0.887 0.914 0.926 0.950 0.948

F 55.56 68.42 73.06 96.36 101.6

ll -272.5 -260 -253.4 -226.6 -228

* p<0.05, ** p<0.01, *** p<0.001

<선거유형 구분>

유형 1 : 재·보궐선거만 시행, 유형 2 : 대통령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3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4 : 전국동시지방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5 : 대통령선거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그룹 구분>

그룹 1 :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이 2% 미만, 그룹 2 :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이 2% 이상

3. 수입 및 지출 항목과 정당의 지역구 선거와 비례대표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