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체 선거에서의 평균 득표율에 대한 패널 분석

본 절에서는 패널 모형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하였다. [표 24]에서 모형 (1)은 Pooled OLS 모형, (2)는 고정효과(Fixed Effects, FE) 패널 모 형, (3)은 확률효과(Random Effects, RE) 패널 모형이다. 세 가지 모형 중 어떤 분석이 가장 타당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 두 단계로 검 정하였다. 먼저, Hausman 검정을 통해 (2)고정효과 모형과 (3)확률효과 모형 중 어떤 모형이 타당한지 검정하였다. 그 결과, Prob>chi2=0.0003으 로 고정효과 모형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1) Pooled OLS와 (2) 고정효과 모형 중 어떤 모형이 타당할 것인가에 대해 F-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Prob>F=0.0000으로 고정효과 모형이 Pooled OLS 모형보다 타당 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한 회귀 모형은 모형 (2) 고정효과 모형을 채택한다.

먼저, 모형 (2)의 경우 R2값이 0.864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며 당비 항 목은 0.827, 기탁금+기부금 항목은 1.867, 전년도 이월금 항목은 0.440, 선거 비용 항목은 0.109의 계수 값을 가진다. 하지만, 선거 비용 계수의 경우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당비 항목은 p<0.001, 기탁금+기부금 항 목의 경우 p<0.05, 전년도 이월금 항목은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확인 되었다. 패널 모형에서도 계수의 대소 비교를 하면 기탁금+기부금, 전년 도 이월금, 당비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룹 변수와 여당 변수의 경우 각각 p<0.01 수준에서 4.849, p<0.05 수 준에서 5.471의 값을 가지며 유의하였다. 고정효과 모형에서도 3절에서 Pooled OL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과 같이 여당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1) OLS (2) FE (3) RE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

당비 0.758*** 0.827*** 0.783***

(0.104) (0.127) (0.099)

기탁금+기부금 3.907*** 1.867* 3.525***

(0.629) (0.894) (0.558)

전년도 이월금 0.385*** 0.440** 0.456***

(0.105) (0.150) (0.097)

선거 비용 0.168** 0.109 0.157**

(0.0568) (0.0753) (0.0543)

유형 1 0 0 0

(.) (.) (.)

유형 2 -0.507 -5.310* -1.977

(2.125) (2.058) (1.216)

유형 3 -0.121 -1.7 -0.469

(3.818) (1.221) (0.895)

유형 4 -0.92 -2.221 -1.058

(2.926) (1.363) (0.986)

유형 5 -9.281 -8.861 -8.423*

(5.396) (5.048) (3.854)

그룹 1 0 0 0

(.) (.) (.)

그룹 2 2.258* 4.849** 2.068*

(1.011) (1.802) (0.915)

야당 0 0 0

(.) (.) (.)

여당 7.240*** 5.471* 7.110***

(1.803) (2.587) (1.740)

상수항 -1.289 1.67 0.266

(2.227) (1.038) (0.781)

N 138 138 138

R2 0.936 0.864

F 81.2 33.64

ll -365.2 -307.9

* p<0.05, ** p<0.01, *** p<0.001

<선거유형 구분>

[표 24]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한 패널 분석

2. 3대 선거에서의 평균 득표율에 대한 패널 분석

전체 선거가 아닌 3대 선거 득표율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Hausman 검정 결과 p<0.01 수준에서 고정효과 모형이 확률효과 모형보다 타당하였고, F-검정 결과 p<0.05 수준에서도 유의성 이 확인되지 않아 고정효과 모형보다 Pooled OLS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해서는 모형 (1) Pooled OLS 모형을 채택한다. Pooled OLS 모형을 이용한 회귀 분석 은 제3절에서 서술한 바 있으므로 본 절에서는 별도의 설명을 덧붙이지 않도록 하겠다.

유형 1 : 재·보궐선거만 시행, 유형 2 : 대통령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3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4 : 전국동시지방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5 : 대통령선거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그룹 구분>

그룹 1 :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이 2% 미만, 그룹 2 :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이 2% 이상

(1) OLS (2) FE (3) RE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3대 선거 평균 득표율

당비 1.129*** 1.100*** 1.124***

(0.125) (0.145) (0.117)

기탁금 + 기부금 3.132*** 2.533* 3.066***

(0.777) (1.042) (0.686)

선거 비용 0.418*** 0.303*** 0.416***

(0.060) (0.077) (0.057)

[표 25]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에 대한 패널 분석

유형 2 0 0 0

(.) (.) (.)

유형 3 13.45*** 4.010* 2.461*

(3.863) (1.763) (1.096)

유형 4 0 2.783 1.098

(.) (1.971) (1.274)

유형 5 0 -8.355 -11.81***

(.) (4.952) (3.498)

그룹 1 0 0 0

(.) (.) (.)

그룹 2 0.399 5.240* 0.785

(1.234) (2.329) (1.113)

야당 0 0 0

(.) (.) (.)

여당 3.697 0.155 3.908

(2.222) (2.821) (2.134)

상수항 -2.253 -4.248* -2.416*

(1.405) (1.685) (0.971)

N 86 86 86

R2 0.948 0.938

F 101.6 41.87

ll -228 -166.6

* p<0.05, ** p<0.01, *** p<0.001

<선거유형 구분>

유형 1 : 재·보궐선거만 시행, 유형 2 : 대통령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3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4 : 전국동시지방선거 & 재·보궐선거, 유형 5 : 대통령선거 & 국회의원선거 & 재·보궐선거

<그룹 구분>

그룹 1 :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이 2% 미만, 그룹 2 :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이 2%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