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러-카-중 교통회랑 구축과 소다자 협력
1) 러-카-중 3국 관계의 형성
1992년 소련의 붕괴로 인해 러시아의 정치적 공간은 축소되었다. 러 시아의 안보상 위협이 사방으로부터 증대되어 새로운 안보전략을 요구하 였다. 옐친은 국가안보 영역에 있어서 우선순위로 “러시아 국경부근에 있 어서의 군사적 충돌의 해소, 새로운 순사기술 및 대량살상무기 불확산체제 의 공고화, 국제적 무기무역에 대한 통제 강와”등을 지적하였다. 특히 국 경에서의 안전보장을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러시아는 CIS에서의 경제적 위기와 그의 국경근처에서의 분쟁이 러시아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 요인으 로 작용할 것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56) 또한 발틱해와 흑해지역의 상 실은 구소련의 주요 해군기지의 상실로 나타났고, 러시아의 군사적 안보에 심각한 위협요소로 인식되었다.
56) 신범식, “러시아의 근외정책과 독립국가연합,” 『현대 러시아의 이해』, 현대러시아 연구회 편역. (서울: 퇴설당, 2001), pp.159.
이러한 인식 하에 1992년 12월 러시아는 기존 정책적 노선을 수정 하여 ‘러시아연방의 대외정책 개념’을 제시하여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였 다. 이 문서에서 러시아의 국가적 부흥이라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서방 의 선진국들과의 관계를 발전시켜야 하는 동시에, 다른 지역의 신흥발전국 가들과의 관계도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즉 러시아 대외정책 의 지향성은 초기의 친서방주의 일변도에서 지정학적 실용주의로 전환되 었고, ‘근외정책’이 점차 대두되었다. 옐친 대통령은 CIS체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러시아의 강력한 권한을 요구하면서 신생 공화국들에 대해 여러 조치를 취하여 영향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 들어 NATO의 동진은 러시아 근외정책의 압력으로 작동되었다. 따라서 러시아 는 다자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계산에서 양자적 차원에서도 CIS구성원들과의 통합을 급속으로 추진하였다. 즉, 1995년 관세동맹 설립, 1997년 벨라루시와의 연합조약 체결을 비롯한 형식으로 CIS구성원들과 의 통합을 급속으로 추진하였다.
한편, NATO의 동진을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의 다른 한 가지 전략 은 중국과의 관계 강화이다. 1996년 12월 27일 중국 리펑총리는 예친 대 통령과 크레믈린에서 회담을 진행하였다. 이번 회담은 양국이 냉전체제 이 후에 독주하고 있는 미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다시 초강대국으로 등장하 기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를 고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1997년 4월 23일 옐친 대통령이 중국의 장쩌민 국가주석과 회담을 통해 양국의 ‘전략 적 동반자관계’를 재확인하는 한편, ‘다국화세계와 신 국제질서 건설에 대 한 공동 선언’에 합의하여 발표하였다. 러시아의 입장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형성은 미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대항하고, 유라시아지역에서 동과 서의 균형을 잡으면서 중국과의 경제 및 군사 협력의 가능성을 수용하는 것이다.
독립 초기 카자흐스탄은 취약한 상황에 처해있고, 경제 회복과 발전 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카자흐스탄 지도자 나자르바예프는 애 초 구소련 공화국들이 다자적인 조직을 설립하여 평등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자국의 국익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여기지만 국력의 상승에 따라 러 시아와 ‘주니어 파트너쉽(junior partnership)’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57) 하지만 그는 여전히 자국의 경제발전과 이들 국가와의 협 력 제도 구축을 선호하였다.
1990년대 초반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의 관여를 거부하지 않았다.
1992년 카자흐스탄과 러시아는 「러-카우호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는 양 국이 체결하는 첫 조약이고, 협력 및 상호 원조에 관한 협의로서, 양국 국 방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1994년 러시아는 카 자흐스탄 영토에서 군사 기지를 주둔하고, 무기 운송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으며, 1995년 러시아는 중국과 카자흐스탄 국경을 지키는 권한을 받 았다. 이 시기 러-카 간 경제관계도 긴밀하였다. 1994년까지 카자흐스탄 수출액의 59.4%는 러시아로 수출하는 것이고, 러시아에서의 수입액은 카 자흐스탄 총 수입액의 46.7%차지한다.
하지만 90년대 중반에 들어 카자흐스탄의 러시아에 대한 의존에 벗 으려는 의도가 생겼다. 나자르바예프는 CIS 지역통합이 곧 이루어질 가능 성이 없고 러시아를 덜 두려워하기 시작했으며, 카자흐스탄에 대한 보다 독립적인 국제 입장을 모색하기 위해 자국의 정책을 수정했다. 카자흐스탄 은 러시아와 평등한 관계를 형성하고 러시아의 지도 없는 경제 개혁을 모 색하였다. 따라서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의 일방적인 영향력을 감소하고, 미 국과 중국을 비롯한 국가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려는 균형적 외교정책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나자르바예프는 중국 방문 기간 동안 중국의 시장 경제 개혁에 대한 강한 관심을 표명했다. 1992년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수 교하였고, 국경 협정 체결을 통해 양국 간 신뢰를 구축하였다. 1996년 양 국 관계는 협력동반자 관계로 승화되었고, 고위급 정상 간 빈번한 방문과 더불어 국경 문제의 충분한 해결은 양국 협력에 새로운 동력을 부여했 다.58) 1992년 설립된 중-카 경제무역, 과학기술 위원회, 1994년 양국이 제정한 경제무역협력 원칙도 90년대 중반에 들어 양국 경제협력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카자흐스탄은 국가 발전에 있어서 직면하는 문제점은 자급자족할 수
57) Olcott Martha Brill (eds.), Kazakhstan: Unfulfilled Promise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2), pp. 25.
58) 蕭長嘯, “淺論中哈關係的演變,” 『科技信息』, 第7期 (2010).
없는 경제, 교통운송체제의 불 발달, 급속으로 악화된 경제상황 등을 곱을 수 있다. 카자흐스탄은 내륙 국가로써 해외로 물건을 수출하려면 다른 국 가를 경유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카자흐스탄은 이 점을 이용하여 외국 투 자를 흡수하려 했다. 나자르바예프는 외국인 투자의 최우선 순위를 에너 지, 특히 석유와 가스, 식품 가공, 금광 및 정제 및 기타 비철광업 및 가 공 등 경제 분야에 두었다. 특히 에너지 분야에서 카자흐스탄은 많은 외국 직접 투자를 흡수하였고, 중국과의 협력도 이루어졌다. 1997년 중국 석유 그룹이 카자흐스탄 ОАОСNPC(Актобемунайгаз)석유 주식회사의 60.3% 주 식을 인수하여 양국의 에너지 협력이 보다 본격화 되었고,59) 9월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정부간 석유가스협력협의」를 체결하여 중-카 간 에너지 협 력은 보다 긴밀화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국 지도부는 낙후된 내륙지역에 대한 관 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1992년 1월 덩샤오핑의 ‘남방담화’에서 “먼저 발 전한 지역은 발전이 늦은 지역을 발전토록 이끌어 최종적으로 공동부유에 도달하게 된다”라고 역설하였다. 이와 발맞추어 그의 ‘삼연(三沿) 정책’ [ 연해(沿海), 연강(沿江), 연변(沿邊)] 역시 경제 개혁의 과실을 오지와 비 한족 지역까지 확대하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런 까닭에 신장 당국은 우루무 치와 쿨자, 타청과 보러를 ‘변경 대외 개방 도시’로 선포하고, 리펑 총리는 직접 제1회 우루무치 대외경제무역 박람회의 개회식을 거행했다. 이 박람 회는 신장의 대외 무역을 촉진하는 연례행사가 되었다.60)
1992년 10월 12일 장쩌민 총서기는 중국 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 대회의 정치보고에서 “중국 각지의 조건격차가 매우 크며 경제발전이 불 균형적이다. 중부와 서부지역은 자원이 풍부하고 연안지역은 대외개방에 지역적으로 우세하여 발전 잠재력이 크다. 나라에서는 통일적 기획 아래 이를 지지해야 한다”고 하였다.61) 이를 계기로 연해·내륙 간 공동발전과
59) Dun Xiaoping, “Nekotorye Voprosy Kitaisko- Kazakhstanskogo Energeticheskogo Sotrudnichestva,” Kazakhstan in Global Processes, Vol.
5, No.3, (2005), p.33.
60) 제임스 A. 밀워드 지음, 김찬영, 이광태 옮김, 『신장의 역사』 (파주: 사계절, 2013), pp.25-28.
61) 新華社通信,1992年 10月 12日字。
전방위 개방으로 집약되는 지역협조발전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중국 정부는 낙후한 신장 지역 발전에 대한 추진 정책을 실행했음에 도 불구하고 신장에 대한 통제를 우려하였다. 그 이유는 바로 신장의 분리 주의 문제이다. 1990년에서 2000년대까지의 시기 동안 영어로 된 자료들 은 20세기 초반의 어느 시기보다도 위구르족의 동요와 분리중의를 더 많 이 다루었다. 분명 제한적인 종교의 부흥뿐만 아니라 소련의 붕괴, 중국의 정치, 경제 개혁, 중앙아시아와 신장 사이의 여행의 증가, 한족의 이주 물 결, 빠른 경제 성장과 신장 도시들의 재형성 역시 적대감을 형성하고 행동 이나 말로써 불화를 표현하는 것을 자극하거나 촉진했을 것이다. 또한 현 실적인 안보 위협이 신장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예로 위구르인 집단들이 해외에서 정치 조직과 일부 군사 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1994년까지 신장 남부에 비밀 훈련 캠프가 있었으며 이것이 이후 중국의 압박으로 인해 해외로 이전했고, 1990년대에는 이따금씩 일종의 무기 훈 련이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 아프가니스탄에서 계속되었던 것처럼 보 인다. 중국 당국 정부는 위구르 분리주의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였고, 이 러한 안보 위협들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새로운 외교적 과제이다.
중국은 높아지고 있는 경제적인 영향력과 함께 중앙아시아에서 크게 그 영향력을 신장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중국은 중앙아시아국가와 ‘선린우 호’ 협력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1991~1997년 중국과 중앙아 시아 국가 지도자와 빈번하게 방문하면서 여러 가지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 중 카자흐스탄과 1996년에 「중·카 연합성명」을 발표하면서 중·카 간 관계를 선린우호 협력관계에서 21세기로 향한 협업 동반자로 발전해 나갔 다. 또한 1996년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을 대표하는 관리들이 상하이에서 모여 구소련 시기부터 지속된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상호 안보 문제를 다루며 경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느슨한 연 합체인 ‘상하이 5개국’의 형성을 발표하였다. 국경 문제는 빠르게 해결되 었고, 또한 이 지역에서 이슬람 과격주의에 대한 높아지는 우려와 아프가 니스탄 탈레반 정권의 영향으로 인해 안보가 가장 중요한 의제로 부상하 였다.
중국과 4300km 국경선을 공유하는 러시아는 중국의 주변지역 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