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러-카-중 교통회랑 구축과 소다자 협력

4. 소결

3국간 관계와 철도협력 성격의 시기별 변화는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992-1999년까지의 철도협력과정에서 카자흐스탄과 중국이 적 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을 취했지만 러시아의 비교적 수동적인 태도로 인 해 소다자 협력이 이루지 못했고, 중-카 양국의 협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 시기에 러시아는 CIS국가에 대한 관여와 중국과의 협력을 중 요시하기 시작하였고, 카자흐스탄은 세계경제권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필요 하에 러시아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는 것을 추구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 은 낙후된 내륙지역의 발전 문제를 의식하기 시작하였고 중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신장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중국· 카자흐스탄, 러시아는 각각 협 업 파트너 관계와 건설적 동반자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카자흐스탄은 다른 강대국과의 협력을 도모하여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균형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중-카 간 철도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러시아는 자국의 TSR 이 3국이 협력하는 철도와의 경쟁성으로 인해 이 시기의 철도협력에서 적 극적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중-카 간 화물수송이 발전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중-러 간 수송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시기 러-카-중 철도에서의 물동량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중국과 카자흐스탄 정부 간 무역 협력 정책을 기반으로 양국의 무역은 활발히 진행되는 반면, 양국이 러시아와의 경제적 협력은 비교적 느리게 발전되었다.

두 번째 시기, 즉 2000년대에 들어 러시아는 러-카-중 교통회랑협 력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하여 중-카 간 지속적인 추진과 더불어 소다자 협력이 작동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러시아의 태도 전환은 이의 외교 전략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러시아는 균형적인 다자 외교

99) 王德占,“2016年大陸橋運輸指標與中歐班列相關數據分析,” 『大陸橋視野』 , 第2期 (2017).

전략을 모색하기 시작하였고, 미국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중국과의 협력을 보다 중시하였다. 중국은 서부대개발 전략을 실시하면서부터 러시 아와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 서 중국과 러시아는 ‘선린우호조약’, ‘21세기 국제질서에 관한 공동성명’

등을 발표하여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진입시켰다. 한편 카자 흐스탄은 빠른 경제 성장으로 세계경제체제에서 경쟁력을 높이려는 새로 운 국가 건설 목표를 설정하여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러시아, 중국 과의 관계에서 균형을 찾으려 했다. 3국의 협력이 이 시기에 들어서 상하 이협력기구 설립을 통해 제도화되었고, 안보, 군사, 경제 등 분야의 협력 을 강화하였다. 러시아의 적극적인 태도로 3국의 철도 협력은 또한 빠른 진전을 가져왔다. 3자 간의 협력이 이루어졌고, 양자와 다자 협력과정에서 3국의 능동적인 노력이 보이면서, 철도 물동량이 빠르게 증가되었다. 따라 서 이 시기 3국간 경제교류는 모두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러-중, 러- 카, 중-카 간 교역 모두 대폭 늘어났고 3국간의 에너지협력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세 번째 시기, 즉 2013년 이후 중국이 ‘일대일로’전략을 제시하면서 소다자 협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원칙적으로 중국 의 발전을 지지하고 중국과의 협력을 도모하지만 동북아 및 중앙아시아 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장을 우려하면서 경계한 태도를 취하는 한편, 카자 흐스탄은 중국의 지원에 대해 지지하는 태도를 취하면서 러시아와의 긴밀 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중국은 3국 관계에서 주도적인 역 할을 하되 철도협력에서도 가장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였다. 중국은 ‘일대 일로’를 제시하면서 교통회랑 활성화를 중요한 어젠다로 다루고, 해당 노 선에 운행하는 열차를 적극적으로 홍보 할뿐만 아니라 화물 조달, 관리체 제 규범화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었으며, 노선 활성화에 있어서 큰 기여 를 했다. 열차 운행 수량이 빠르게 상승되어 화물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 에 따라 3국이 교통협력 심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철도협력 이외에도 도 로 교통회랑 협력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3국의 소다자 교통회랑협력이 실 질적인 성과를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단계로 진입되었다.

시기 1시기 2시기 3시기

년도 1992-1999 2000-2012 2013이후

철 도 협 력 특징

중-카 주도와 러시 아의 수동적 참여

러-카-중 3국 소다 자 협력 작동

중국의 주도적 역할 강화

러시아

· CIS국가 통합

· 중국과 관계 강 화

· TSR의 활성화에 주력

· 균형적인 다자외교 시도

· 미국 영향력의 대 응

중국에 대한 지지와 경계

카자흐스탄 세계경제권으로 진 입

· 러시아 영향력의 균형

· 국제지위 추구

중국과 러시아 사이 의 균형

중국

· 서부지역 안정 추구

· ‘선린우호’ 외교

‘서부대개발’과 서부 의 대외개방

‘서진’정책 실시와 지역통합 도모 3국 관계 우호적 관계 형성 SCO을 통한 관계의

제도화 새로운 도전 출현

[표4-2] 시기별 러-카-중 3국 협력의 양상

VI. 결론

글로벌 시대에 들어 국가 간의 초국경 협력이 많아짐에 따라 국가들 이 세계와의 융합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협력 틀이 작동되어 협력 을 현실화하고 있다. 국제교통회랑 사업은 국가 간 관계를 긴밀화 하는 매 개체로써 많은 주목을 받아왔고, 이는 국가들의 경제적 이익만 아니라 정 치적 이익에 대한 고려가 작동하는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러- 카-중 협력 사례를 통해 국제교통회랑에서 협력 틀의 작동에 주목한다.

1992년 이래로 러-카-중 3국이 국제교통회랑에 대한 인식은 상이하고, 이 러한 인식은 국가의 정책과 다양한 협력 틀에서 나타났다. 다양한 협력 틀 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3국은 일정한 소다자 협력이 이루어졌고, 이러한 소다자 협력은 교통회랑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다자주의 협 력은 국가들 사이에 신뢰를 증진시키고, 보다 확대된 다자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러-카-중 3국이 이루어진 소다자 협력의 성격이 결국 해당 교통회랑의 발전 방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러-카-중 교통회랑은 3국의 유라시아 교통운송 정책방향을 이니셔 티브로 작용하는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철도 협력 의도는 소련 시기로 소급할 수 있고, 양국은 그 시절부터 철도 연결을 향한 철도 건설을 시작 하였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의 경제가 급속으로 추락되어 철도산업이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러시아 지도자들은 철도산업을 중요시하는 정책을 유지해왔고, 아태지역에 대한 중시로 동북아 국가와의 철도협력을 선호해 왔다. 한편 세계경제권으로의 진입은 교통발달을 요구로 하기 때문에 경제 추락으로 인해 경제 발전이 시급한 카자흐스탄은 경제무역 경로 개척에 강한 의지를 견지해 왔었다. 중국은 국내 경제 발전이 불균형하게 이루어 지는 상황에서 서부 낙후지역에 대한 개발 요구로 출발하여 해당 지역 경 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서쪽에 위치한 국가와의 협력에서 돌파구를 찾는 노력을 하였다.

이와 같이 각국의 유라시아 교통협력 정책을 기반으로 3국의 교통회 랑 협력이 이루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 중에서 작동하는 협력 틀은 주로

양자협력· 지역 다자협력· 국제 다자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양자적 협력은 정부 및 부서 간 협정을 체결하는 형식으로 운송의 정책 방향과 운송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세밀한 협력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양 자 협력의 기제로 교통운송 위원회를 설치하여 정기적인 교류를 진행한다.

지역 협력은 러·중+중앙아시아 국가의 형식에서 상하이협력기구로 발전되 어 지역 특성에 맞는 협력을 진행 해왔다. 애초 러·중+중앙아시아 국가 형식은 국제교통회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앙유라시아지역에서 공유 하고, 향 후 지역 협력이 순조롭게 진행하는 인식적 기반을 만들었고, SCO가 설립된 이후 교통장관회의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제도화된 지역협 력이 형성하였다. 한편, 국제 다자협력 차원에서 OSJD는 주도적 역할을 했다. 이는 국제철도운송에 관한 법적 기반을 마련해주고 총괄적인 교통회 랑 정책 및 발전 전략을 수립한 것이다. 이외에도 UNDP, ESCAP 등 국 제기구들이 해당 노선 협력에 적극 나섰고 지도 및 조직하는 역할을 수행 하였다. 국제회의에서도 이에 관한 사항들을 논의하여 해결책을 모색해 왔 으며 물류기업들도 국제적인 협력을 추진하여 조율적인 역할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협력 틀이 형성하는 과정에서 러-카-중 3국이 이루어 지는 소다자 협력이 작동하면서 협력의 방향이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3 국간의 철도협력이 3국의 이해 투사와 형성되는 정치 관계와 긴밀한 관련 성이 있다. 1992년 소연방 해체 이후로부터 1990년대 말까지 러-카-중 3 국은 서로 수교를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하면서 우호적인 관 계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철도협력을 둘러싸고 카자흐스탄과 중 국은 적극적이면서 능동적인 자세로 여러 가지 협력 수단을 통해 이를 추 진해왔다. 반면 러시아는 협력에 참여하지만 자국의 TSR과 경쟁하는 점을 감안하여 비교적 수동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이로 인해 3국간의 소다자 협력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었고 노선을 통과하는 물동량도 낮은 수준 에 머물렀다. 2000년대에 들어 러시아는 균형적인 다자외교를 실시하기 시작하여 중국과의 협력을 보다 선호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또한 서부대개 발 전략의 실시와 함께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요시하였고, 카 자흐스탄은 국가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강대국 간 균형외교를 강화하였다.

이에 3국의 협력이 SCO의 출시와 함께 제도화 되면서 긴밀해졌다.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