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러-카-중 교통회랑 구축과 소다자 협력

2) 중-카 주도한 3국의 철도협력

3국이 각자가 가지고 있는 비전과 서로에 대한 인식 하에 철도협력 을 진행해 왔다. 교통운송협력에 대한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적극적인 행동 을 취한 반면, 러시아는 보조적이고,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역할을 하였다.

러시아 국내에 위치한 TSR는 TCR과 같이 유라시아 대륙 동서쪽을 잇는 노선으로써 TCR과 경쟁적 성격이 내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 시아는 TCR의 협력에 참여하는 것은 TCR의 발전에서 혜택을 얻을 수 있 기 때문이다. 따라서 러시아는 이에 관한 다자적인 회의를 참석하였지만 양자적으로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았다. 반면, 러시아는 많은 노력 을 TSR의 발전에 경주하였다. 1997년 TCR의 물동량이 30276TEU에 달 했고, 연변국가에게 창출하는 외화는 약 16200만 달러였다. 이는 TSR의 총량과 대체적으로 같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TSR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러시아는 이런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되, TSR의 발전을 정부의 주된 사 업으로 추진하여 운송비용 감소, 정기열차 개통, 정부 간 운송협력, 마케 팅 등조치를 취하여 노선의 물동량을 해마다 제고하였다.62)

62) 潘建中, 沈剛,“面對西伯利亞陸橋的競爭,” 『大陸橋視野』,(3期,2003年),pp.19.

중국의 적극적인 추진 태도는 우선 TCR 전담부서 설립에서 나타난 다. 중국은 TCR사업 관련된 부서 설치를 통해 종합적으로 TCR의 운영을 관리해왔다. 1992년 철도부는 유라시아대륙교 컨테이너 국제운송영도소조 를 설립하여 이 노선의 운송 작업을 담당하게 하였다. 1993년 국가과학위 원회, 국가계획위원회 등은 지방정부, 국무원과 함께 신유라시아대륙교발 전 연구회를 설치하였고 TCR의 발전 전략의 연구를 담당하였다. 중국 국 가과학위원회, 국가계획위원회 대외경무부 등은 UNDP와 정기적인 세미나 를 개최하여 발전사항을 협상해 왔다. 또한 2000년 ‘국무원신유라시아대 륙교 조율소조’를 설립하여 각 부서간의 협력을 추진하여 자원 이용의 효 율성을 제고하여 관련 국가와의 경제기술 협력을 두진하고, 정기적인 회의 를 개최한다. TCR운송소조는 TCR 운영과 관련이 깊은 중국 대외무역운 수공사 (SINOTRANS), 중국 원양운수공사(COSCO) 그리고 외수대리점공 사(PENAVICO) 및 철도청에서 선발된 30여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물추적 정보제공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의 도입과 컴퓨터에 의한 화차의 속도조절, 화물의 안전유지 등 수송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 다.

카자흐스탄과 중국은 교통회랑 활성화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면 서 정부 간 고위급 회담 등 공식적인 양자적 회면 기회를 활용해 운송협 력을 추진하였는데, 즉 타 국가 지도자와의 회면에서 교통물류에 대한 중 시를 밝히고 상대국과의 협력의지를 표명하는 것이다. 1995년 9월, 중국 주석 장저민(江澤民)의 요청으로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중국 정식 방문 하 였다. 두 정상은 「우호관계강화 연합성명」을 통해 두 국가 간 관계를 강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롄윈강하역 및 운송통과화물협정」을 통해 국제철도 를 통한 화물운송을 규범화하였다. 1997년 2월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중 국에서 휴가 할 때, 드루쥬바-아라산커우의 화물 운송능력을 강화해야 한 다는 것을 강조하였고, 부족하면 새로운 철도노선을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 을 내려 중국과 운송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이어서 동해 4월 에 양국은 롄윈강-아라산커우 ‘5정’컨테이너 열차를 개설하였다. 이는 고 정한 지점, 운행노선, 발차 횟수, 시간, 운송가격으로 ‘5정’ 컨테이너 열차 라 불린다. 또한 1999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공식으로 중국 방문할

때, 두 국가 정상은 ‘두 나라는 양국이 지리적으로 인접하기 때문에 국제 교통운송 분야의 협력을 고도 중시하고, 고대 실크로드의 부흥을 위해 공 동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합의되어 양국이 국제운송에 대한 공동적 인식 을 명확히 드러냈다.

또한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교통부도 양국 간 교통 분야 협력에서 많 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1997년 카자흐스탄 교통운송부 장관은 9명 관련자 와 같이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외운롄윈강공사의 TCR 운송 사업에 대한 상세한 소개를 들었고, 2004년 5월 17일 중국철도부 장관 류지준(劉志軍) 는 카자흐스탄 운송과 통신부 장관 나그마노프(К.Нагманов) 는 베이징에 서 「중화인민공화국철도부와 카자흐스탄공화국운송 및 통신부 철도운송 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 이와 같이 양국은 교통부 장관 등 교통분야 관련 자들을 빈번하게 파견하여 서로의 발전현황을 파악하고 교류를 강화하는 양상이 보인다.

중앙정부와 조응되어 중국 지방정부도 국제교통협력에서 중개자 역 할을 수행하면서 협력의 플랫폼을 제공하였다. 1995년 쉬저우(徐州), 화 이저우(淮州), 이안청(鹽城), 롄윈강 네 개 도시가 주최하는 ‘95중국 장수 신유라시아대륙교 경제무역 간담회’는 롄윈강에서 개최하였다. 회의에서 중국대외운송 롄윈강 대륙교 국경통과화물운송공사는 카자흐스탄철도 대 외경영집단과 서로의 대리인으로 된다는 것에 합의되었다. 이와 동시에 중 국의 운송관련 회사들도 양자적인 국제운송협력에 주력하고 있다. 예컨대 1995년부터 중국대외운송롄윈강공사는 선후로 한국 부산, 카자흐스탄 알 마티, 우즈베키스탄 아섹에서 대표처를 설립하여 해외운송시장을 개척하였 고, 철도부 컨테이너운송센터, 카자흐스탄교통운송부와 장기적인 우호관계 를 구축하여 TCR 발전에 강력한 지원과 보장을 제공해준다. 이와 같이 중국은 중앙정부-지방정부-민간기업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국제교통 협력에 기울이는 노력을 최대화하려고 하였다.

지역 및 국제적 차원의 회의에서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의 다양 한 태도가 보인다.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각자 회의 개최 제안을 통해 지역 국가들의 시선을 끌어 교통협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왔 고, 회의에서 통관절차, 운송요금에 대한 협력방안을 제시하여 중앙유라시

아 지역 운송 편리화를 적극 추진해 왔다. 1995년 10월 26일부터 28일까 지 베이징에서 개최하는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 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7개 국가 철도(운송)장관이 참석 하는 회의는 바로 중국 총리 리펑(李鵬)이 제안하는 것이다. 회의에서 각 국 장관은 협상을 통해 국가 간 철도연합운송 발전 강요를 제정하였고 운 송조직을 보완하여 동일한 운송요금과 청산 시스템을 제정하였다. 또한 1999년 8월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5개 국 가의 제4차 정상회담에서 당시 중국 주석인 장저민은 지역 협력을 강화하 고 지역경제의 발전을 추진하며 유구한 ‘실크로드’를 부흥시키도록 노력해 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63) 또한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회담에서 TCR노 선의 효용을 발휘하여 지역협력을 확대해야 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국제적인 협력에서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대규모 국제회의를 통해 국 제사회의 많은 국가들을 동원하여 TCR의 발전을 위해 인적 및 물적 자원 을 모으고, 국제연합운송에 과한 문제점과 향후과제들을 논의하려 하였다.

중국은 국제기구에 힘입어 이러한 국제회의를 개최해왔다. 1996년 5월 중 국과학기술위원회, 국가계획위원회, 대외경제무역부는 UNDP, EU Committee 등 기구와 협력하여 베이징에서 ‘신유라시아대륙교 지역경제 발전 국제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총 30여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460여명 대표들이 회의에 참석하여 연변지역 경제협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 하는 의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회의에서 철도를 중심으로 한 정책의 조정과 환경 개선, 인력 개발 위주로 한 빈곤 퇴치에 착수해야 한다는 것 을 강조하였다. 또한 2000년 6월 카자흐스탄에서 유라시아 30개 국가들의 철도부 관련자, 출하인, 화물운송대리회사 등이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회의 를 개최하여 드루쥬바-아라산커우 국제연합운송 항구의 보완 작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국제기구와 공동 개최된 국제적 회의는 단순한 국제철 도운송을 넘어서 철도가 경유하는 국가의 빈곤문제, 환경문제 등 국가의 장기적인 발전문제에 주목하여 인류발전의 차원에서 국제교통협력에 보다

63) “江澤民提出五國進一步加強友好合作的五點主張”, 1999년8월 25일

http://news.sina.com.cn/china/1999-8-25/8957.html (검색일: 2018년 11월 15일).

큰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TCR 발전 과정 중 존재하는 난점에 대해 중국은 학술세미나를 통해 해법을 찾으려 하였다. 예컨대 1998년 10월 중국사회과학원, 장수성 정부연구실, 롄윈강시정부, 친황도 시정부가 공동 개최하는 ‘21세기유라시 아 경제무역관계와 신유라시아대륙교 국제학술세미나’는 베이징에서 개최 하였다. 러시아, 독일, 헝가리, 슬로바키아, 네덜란드, 한국, 일본 등 11개 국가의 전문가와 학자들이 회의에 참석하여 TCR의 발전에 대책과 조언을 주었다. 연변지역 인프라를 완화하기 위해 중국은 철도 운영을 보조하는 통신 인프라 건설에도 조직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98년 10월 중국 체신부가 제안하여 연변 국가들이 적극 호응하는 유라시아 육지 광케이블 시스템이 공식적으로 개통하였다. 이는 동쪽 중국 상하이로부터 시작하여, 중간에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 총 20 개 국가를 연결하여 서쪽으로 독일 프랑크푸르트까지 도착한다. 총 길이는 27000km이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육지 광케이블 시스템이다. 이의 개통은 유라시아 지역에서 원활한 정 보 교류를 가능케 하였다.